목차
1.영아의 수분균형
(1)체표면적
(2)기초대사율
(3)신장기능
2.탈수의 유형
(1)등장성 탈수
(2)저장성 탈수
(3)고장성 탈수
3.탈수의 진단
4.탈수의 치료
5.탈수의 간호방법
(1)체표면적
(2)기초대사율
(3)신장기능
2.탈수의 유형
(1)등장성 탈수
(2)저장성 탈수
(3)고장성 탈수
3.탈수의 진단
4.탈수의 치료
5.탈수의 간호방법
본문내용
람직하며, 증상과 지속기간을 줄여주며 점차 음식을 바꾸는 것과 비교시 체중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모유를 먹는 영아는 모유수유를 계속해야 하며 경구재수화용액은 영아의 체내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지속적인 손실을 대처하기 위해 사용한다. 감염성 설사를 하는 아동은 유당을 소화시키기 어려워 우유, 유제품은 권장하지는 않는다. 우유에 과민성이 있는 아동은 유당이 없는 조제유 사용이 추천되며 곡물, 익힌 야채 및 익힌 고기같이 쉽게 소화가 되는 음식으로 구성된 식사는 나이든 아동에게 적합하다.
5.탈수의 간호방법
-영아는 다양한 상황에서 체액손실이 일어나며 짧은 시간 내 변화가 일어난다. 탈수를 발생시키는 상황은 설사, 구토, 발현, 열, 당뇨병, 신장질환과 심장기형 등과 같은 질병, 이뇨제와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의 투여 그리고 외상 수술, 화상, 심한 장애 등이다.
(1)섭취량과 배설량의 조절
-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의 정확한 측정은 탈수를 사정하는데 필수적이며, 구강 및 비경구 섭취와 소변, 대변, 구토, 누관, 비위관 흡인, 땀, 상처배액 등에 의한 손실이 일어난다.
ㆍ소변
-횟수, 색깔, 농도 및 양
ㆍ대변
-횟수, 양 및 경도
ㆍ구토물
-양, 횟수 및 유형
ㆍ땀
-옷과 린넨 교환 횟수로 추정할 수 있다.
-수분섭취와 배설뿐 아니라 다음의 증상도 탈수를 사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ㆍ활력징후
-체온, 호흡, 맥박, 혈압
ㆍ피부
-색깔, 체온, 긴장도, 부종 유무, 모세혈관 충전
ㆍ점막
-습도, 색깔, 및 분비물 존재와 농도
ㆍ체중
-탈수의 정도에 따라 감소
ㆍ천문
-함몰, 부드러움, 정상
ㆍ감각변화
-갈증
5.탈수의 간호방법
-영아는 다양한 상황에서 체액손실이 일어나며 짧은 시간 내 변화가 일어난다. 탈수를 발생시키는 상황은 설사, 구토, 발현, 열, 당뇨병, 신장질환과 심장기형 등과 같은 질병, 이뇨제와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의 투여 그리고 외상 수술, 화상, 심한 장애 등이다.
(1)섭취량과 배설량의 조절
-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의 정확한 측정은 탈수를 사정하는데 필수적이며, 구강 및 비경구 섭취와 소변, 대변, 구토, 누관, 비위관 흡인, 땀, 상처배액 등에 의한 손실이 일어난다.
ㆍ소변
-횟수, 색깔, 농도 및 양
ㆍ대변
-횟수, 양 및 경도
ㆍ구토물
-양, 횟수 및 유형
ㆍ땀
-옷과 린넨 교환 횟수로 추정할 수 있다.
-수분섭취와 배설뿐 아니라 다음의 증상도 탈수를 사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ㆍ활력징후
-체온, 호흡, 맥박, 혈압
ㆍ피부
-색깔, 체온, 긴장도, 부종 유무, 모세혈관 충전
ㆍ점막
-습도, 색깔, 및 분비물 존재와 농도
ㆍ체중
-탈수의 정도에 따라 감소
ㆍ천문
-함몰, 부드러움, 정상
ㆍ감각변화
-갈증
추천자료
영아기 사회성 발달의 특징(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아기 정서발달(영아의 정서표현, 정서조절, 자아인지)
영아기 언어발달(언어전기, 12-24개월 언어발달, 영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양육방법)
영아기 기질발달(기질의 진단과 구성, 유전과 환경이 기질발달에 미치는 영향)
영아기 생리적 기능의 발달
영아기 주의발달(영아의 주의력 발달)
영아 발달검사
영아기 학습방법
영아기 두뇌발달
[영아기 인지발달] 감각운동기(감각운동지능의 하위단계, 대상영속성)
[영아기 인지발달] 영아기 감각발달 및 지각발달, 영아기 사고의 특성
[영아발달] 영아기 발달특성 및 발달과업, 영아기 배변훈련, 영아기 발달장애, 수유 및 이유(...
영아기 발달장애(영아기 정신지체 및 전반적 발달장애 - 영아기 자폐증, 레트장애, 아스퍼거...
영아기 인지발달(감각운동기, 대상연속성 개념의 발달, 영아기 기억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