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학제의 형태
1. 단선형 학교제도(single ladder system)
2. 복선형 학교제도(dual ladder system)
Ⅲ. 학제의 특징
Ⅳ. 학제의 현황
Ⅴ. 학제의 다양화
1. 신학제 도입 및 시범 운영
2. 신대학의 설립 및 운영
3. 기대되는 효과
Ⅵ. 학제의 문제점
Ⅶ. 프랑스 학제의 사례
Ⅷ. 학제의 개선 방안
참고문헌
Ⅱ. 학제의 형태
1. 단선형 학교제도(single ladder system)
2. 복선형 학교제도(dual ladder system)
Ⅲ. 학제의 특징
Ⅳ. 학제의 현황
Ⅴ. 학제의 다양화
1. 신학제 도입 및 시범 운영
2. 신대학의 설립 및 운영
3. 기대되는 효과
Ⅵ. 학제의 문제점
Ⅶ. 프랑스 학제의 사례
Ⅷ. 학제의 개선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및 그 바탕이 되는 기초 교육 내지 교양 교육의 철저, 고등 교육에서의 영재 교육 제도, 교사 자격에 대한 엄격한 시험제, 의무교육제의 확립(10년간), 국민 학교 5년제와 중학교 4년제, 고등학교까지의 무상화 및 고등 교육 기관의 등록금 저렴 및 교육비의 국가부담 증대 등은 프랑스 학제의 특징적 요소라 하겠다. 이러한 특징적
요소들은 한국의 학제에서도 충분히 검토해 볼만하다고 하겠다.
Ⅷ. 학제의 개선 방안
교육개혁심의회에서는 현 6-3-3-4제를 幼-5-3-4-4제로 개편하자는 학제개편안을 내 놓았으며,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을 유아학교로 개칭하여 기본 학제에 포함시킨다.
(2) 초등학교를 5년으로 단축한다.
(3) 중학교는 종전대로 3년으로 하되 지역 여건에 따라 초등학교에 병설유치원을 설치하거나 중학교를 통합 또는 병설 운영할 수 있게 한다.
(4) 고등학교는 4년으로 개편하고 진로준비 교육과 인성 함양교육을 강화한다.
(5) 기술, 체육, 예술 등을 포함한 특수 재능 분야의 교육을 위하여 각급학교 단계에서 특별학제를 발전시킨다.
또 현행 학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학제를 교육개혁위원회에서는 5-5-2-4 학제안을 연구 검토하고 있다. 초등학교 6년, 중고교 6년을 각각 5년으로 단축하고, 그렇게 해서 생기는 2년을 대학 예비교육과정으로 하고, 실업고의 교육연한도 줄고, 중학교에서 고교 입학할 때 입시도 생략되는 이 학제는 현행 학제보다 장점이 많다고 보고 있다.
정태범은 학제의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① 학제는 국민의 교육기회를 확장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능력과 적성을 기르기 위하여 다양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② 학제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어느 트랙을 선택하든지 발전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되어야 한다.
③ 학제는 그 운영에서 누구에게나 개방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종철 외, 학제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제22집, 서울 : 대한교육연합회, 1976
김도수, 평생교육사회의 교육제도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노종희(외), 교육제도론, 도서출판 하우, 1996
박재윤,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 개편 방안(Ⅱ), 한국교육개발원, 2007
손지희, 학제와 교육과정, 진보교육연구소워크샵 자료집, 발표논문, 2002
윤정일 외, 한국 교육정책의 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장기옥, 학교교육제도, 서울 :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1
요소들은 한국의 학제에서도 충분히 검토해 볼만하다고 하겠다.
Ⅷ. 학제의 개선 방안
교육개혁심의회에서는 현 6-3-3-4제를 幼-5-3-4-4제로 개편하자는 학제개편안을 내 놓았으며,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을 유아학교로 개칭하여 기본 학제에 포함시킨다.
(2) 초등학교를 5년으로 단축한다.
(3) 중학교는 종전대로 3년으로 하되 지역 여건에 따라 초등학교에 병설유치원을 설치하거나 중학교를 통합 또는 병설 운영할 수 있게 한다.
(4) 고등학교는 4년으로 개편하고 진로준비 교육과 인성 함양교육을 강화한다.
(5) 기술, 체육, 예술 등을 포함한 특수 재능 분야의 교육을 위하여 각급학교 단계에서 특별학제를 발전시킨다.
또 현행 학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학제를 교육개혁위원회에서는 5-5-2-4 학제안을 연구 검토하고 있다. 초등학교 6년, 중고교 6년을 각각 5년으로 단축하고, 그렇게 해서 생기는 2년을 대학 예비교육과정으로 하고, 실업고의 교육연한도 줄고, 중학교에서 고교 입학할 때 입시도 생략되는 이 학제는 현행 학제보다 장점이 많다고 보고 있다.
정태범은 학제의 개선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① 학제는 국민의 교육기회를 확장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능력과 적성을 기르기 위하여 다양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② 학제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어느 트랙을 선택하든지 발전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되어야 한다.
③ 학제는 그 운영에서 누구에게나 개방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종철 외, 학제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 제22집, 서울 : 대한교육연합회, 1976
김도수, 평생교육사회의 교육제도론,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노종희(외), 교육제도론, 도서출판 하우, 1996
박재윤,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 개편 방안(Ⅱ), 한국교육개발원, 2007
손지희, 학제와 교육과정, 진보교육연구소워크샵 자료집, 발표논문, 2002
윤정일 외, 한국 교육정책의 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장기옥, 학교교육제도, 서울 :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