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남북한의 민족기원론 비교 Ⅱ. 남북한의 역사의 이용
1. 남북한의 민족기원론 1. 남한의 역사의 이용
2. 남북한의 민족기원론에 나타나는 문제점 1)국사교과서
1) 주민2단계교체설 2)역사적 인물의 재발견
2) 민족단혈성기원론 2. 북한의 역사의 이용
1)역사학
2)역사적 인물의 재발견
1. 남북한의 민족기원론 1. 남한의 역사의 이용
2. 남북한의 민족기원론에 나타나는 문제점 1)국사교과서
1) 주민2단계교체설 2)역사적 인물의 재발견
2) 민족단혈성기원론 2. 북한의 역사의 이용
1)역사학
2)역사적 인물의 재발견
본문내용
굳건한 의지, 그리고 통일 후에 전개될 우리 역사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다.의지는 먼저 이념적으로 남북한이 하나의 국가라는 의식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나야 할 것이다.북한도 ‘조선은 하나’임을 천명하고 있고, 남한도 한 국가라고 하는 입장에서는 마찬가지이다.우리 역사에서 경험한 두 번의 통일 가운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때에는 그들이 하나의 국가라는 의식은 없었다.그러나 후삼국시기에는 비록 나라는 셋으로 갈라져 있지만 자신들이 하나의 국가라는 의식이 있었다.이미 통일신라로서 200여년의 역사적 경험을 공유했기 때문인데, 그들은 영역적으로 한반도가 하나의 국가이며 역사적으로도 하나라고 의식했다. 이것이 통일전쟁의 이념이 됐다.남북한도 하나의 국가라는 이념을 역사적으로 새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민족의 분단을 역사학의 분단으로 몰고가기 보다 오히려 역사연구로 분단을 극복해야 할 것인데, 이를 위해 서로의 연구성과를 허심탄회하게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참고자료>
논문 서적
1. 이선복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1. 남북한 역사관의 비교- 신형식( 솔 1994.11.01)
우리민족의 기원과 형성-고고학적 관점 , 남북한의 입장 2.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강의- 정용욱, 도진순 외
2. 전재호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일송정 1989.10.25)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역사의 이용'을 중심으로 3.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3. 최광식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한울 2006.11.30)
남북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비교 연구
민족의 분단을 역사학의 분단으로 몰고가기 보다 오히려 역사연구로 분단을 극복해야 할 것인데, 이를 위해 서로의 연구성과를 허심탄회하게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참고자료>
논문 서적
1. 이선복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1. 남북한 역사관의 비교- 신형식( 솔 1994.11.01)
우리민족의 기원과 형성-고고학적 관점 , 남북한의 입장 2. 남북한 역사인식 비교강의- 정용욱, 도진순 외
2. 전재호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일송정 1989.10.25)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역사의 이용'을 중심으로 3.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3. 최광식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한울 2006.11.30)
남북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 비교 연구
추천자료
문화현상으로 본 19세기
한국 고대 민의 계층구조
기생의 역사와 문화적의미를 통한 분석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사’를 위하여 : 연구방법론에 관한 성찰을 중심으로
간도 분쟁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꼭두각시놀음][박첨지놀이][꼭두각시놀음 기원론][박첨지놀이 유래]꼭두각시놀음의 기원론, ...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대응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 특징, 중학교(중등) 국사과(국사교육) 내용선정기준, 중학교(...
고종과 대한제국의 성격 논쟁
역사적 과정에서 우리의 사회의식은 어떤 변화를 겪어 왔는지를 ‘철학의 빈곤’과 ‘정체성의 ...
세계사 교재화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