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소묘의 정의
Ⅲ. 소묘의 특징
Ⅳ. 소묘의 재료
1. 연필
2. 목탄
3. 펜
4. 콩테
5. 모필
6. 기타
Ⅴ. 스케치의 곤충스케치
Ⅵ. 스케치의 구도방법
Ⅶ. 스케치의 지도방법
참고문헌
Ⅱ. 소묘의 정의
Ⅲ. 소묘의 특징
Ⅳ. 소묘의 재료
1. 연필
2. 목탄
3. 펜
4. 콩테
5. 모필
6. 기타
Ⅴ. 스케치의 곤충스케치
Ⅵ. 스케치의 구도방법
Ⅶ. 스케치의 지도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곰곰이 생각해보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여름 방학’이라는 주제가 주어졌을 경우 이 주제를 받은 아동은 주어진 사각의 화면에 무엇을 어떻게 그려놓아야 할 지 잘 모른다. 이런 경우에는 ‘무엇’을 좀더 구체적으로 나열한다. 예를 들면 해수욕장,수영장,야영,여행,원두막,시원한 것 먹는 모습, 컴퓨터 게임 등으로 말해준다.
대개의 경우 이렇게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들을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아동은 자신의 마음에 드는 것을 그르게 된다. 만일 아동이 소극적인 반응을 보일 때에는 고사가 조심스럽게 질문을 해보아야 한다. ‘지름 선생님이 말한 것 중에 네가 본 것이 있니?’ 라는 식으로 질문을 한다. 가능하면 아동 스스로가 여러 가지 나열된 것 중에 고르도록 해야지 교사가 골라주는 식으로 나아가면 안 된다.
아동이 소재를 선택하게 되면 교사는 뒤로 물러나 다른 아동을 지도한다. 선택한 소재를 화면에 어떻게 채울 것인가는 아동이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이 과정은 아동의 미적 감각을 길러주는 주요한 과정이므로 아동이 어려워해도 점차로 이 과정에 익숙해지면 스스로 노력하여 완성하려는 자세를 갖게 되며 이러한 마음 자세를 형성하는 것이 아동미술의 주된 목적이다. 그림 그 자체의 좋고 나쁨보다는 그림을 그리는 주체에게 그림을 대하는 바른 마음자세를 갖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아동이 선택한 소재가 ‘해수욕장’인 경우 중심이 되는 사람들의 위치와 크기를 정한다. 그리고 이 사람들을 중심으로 부제가 되는 것들을 빈 공간에 적절하게 채우도록 한다. 이러한 훈련이 일정기간 지속되면 아동은 주제가 주어질 경우 나름대로 화면을 꾸밀 수 있게 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더 나은 구도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그림이 완성되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아동의 그림을 어떤 틀에 집어넣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참고문헌
▷ 21세기 미술교육(1999), 21세기 미술교육16, 서울
▷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모임(1990), 신나는 미술시간, 도서출판 푸른나무, 서울
▷ 박래경(1982), 마티스, 세계의 미술 37, 서문당
▷ 심상용 외(2001), 또 하나의 완성, 드로잉의 세계, 월간미술 3월호, 중앙일보사
▷ 스탠스미스 저, 이주연 역(1995), 미술재료 및 용구백과, 예경
▷ Heuser, K. C, 윤여항 옮김(1996), Freehand Drawing & Sketching, 프리핸드 드로잉과 스케칭, 서울 : 예경
대개의 경우 이렇게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들을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아동은 자신의 마음에 드는 것을 그르게 된다. 만일 아동이 소극적인 반응을 보일 때에는 고사가 조심스럽게 질문을 해보아야 한다. ‘지름 선생님이 말한 것 중에 네가 본 것이 있니?’ 라는 식으로 질문을 한다. 가능하면 아동 스스로가 여러 가지 나열된 것 중에 고르도록 해야지 교사가 골라주는 식으로 나아가면 안 된다.
아동이 소재를 선택하게 되면 교사는 뒤로 물러나 다른 아동을 지도한다. 선택한 소재를 화면에 어떻게 채울 것인가는 아동이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이 과정은 아동의 미적 감각을 길러주는 주요한 과정이므로 아동이 어려워해도 점차로 이 과정에 익숙해지면 스스로 노력하여 완성하려는 자세를 갖게 되며 이러한 마음 자세를 형성하는 것이 아동미술의 주된 목적이다. 그림 그 자체의 좋고 나쁨보다는 그림을 그리는 주체에게 그림을 대하는 바른 마음자세를 갖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아동이 선택한 소재가 ‘해수욕장’인 경우 중심이 되는 사람들의 위치와 크기를 정한다. 그리고 이 사람들을 중심으로 부제가 되는 것들을 빈 공간에 적절하게 채우도록 한다. 이러한 훈련이 일정기간 지속되면 아동은 주제가 주어질 경우 나름대로 화면을 꾸밀 수 있게 되며 시간이 흐를수록 더 나은 구도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그림이 완성되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아동의 그림을 어떤 틀에 집어넣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참고문헌
▷ 21세기 미술교육(1999), 21세기 미술교육16, 서울
▷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모임(1990), 신나는 미술시간, 도서출판 푸른나무, 서울
▷ 박래경(1982), 마티스, 세계의 미술 37, 서문당
▷ 심상용 외(2001), 또 하나의 완성, 드로잉의 세계, 월간미술 3월호, 중앙일보사
▷ 스탠스미스 저, 이주연 역(1995), 미술재료 및 용구백과, 예경
▷ Heuser, K. C, 윤여항 옮김(1996), Freehand Drawing & Sketching, 프리핸드 드로잉과 스케칭, 서울 : 예경
추천자료
[서양미술] 크리스토 야바체프의 삶과 예술
전통 미술의 이해
서양미술 이해에 있어 예수의 의미와 예수의 삶을 통해 바라본, 서양미술사 속 예수의 모습
서양 미술사 그리스로마 미술에서 로코코까지
심리치료에서 미술치료 역할과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조선 후기 문학과미술의 기호학적 사물인식
[후기인상주의][후기인상주의미술][빈센트 반 고흐]후기인상주의(후기인상주의미술) 형성, 후...
서양미술사 총정리 - 선사시대~추상표현주의 까지
[조각][미술 조각][미술][후삼국시대 조각][부산 조각][조각의 정의][조각의 역사]조각(미술 ...
중세미술과 기독교, 그리고 『장미의 이름』
[그리스][그리스 미술][그리스 음악][그리스 조각][그리스 건축][그리스 예술][그리스 문화]...
서양미술사 - 중세 미술에서 후기 인상파까지 (중세미술 성립과정과 발전, 로마네스크, 고딕...
[프랑스 미술의 역사] 프랑스 미술의 흐름을 고전주의-바로크-로코코-신고전주의-낭만주의-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