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기업전략의 상황, 운영분석
Ⅰ. 상황분석의 개념
Ⅱ. 전략적 의사결정의 과정
Ⅲ. 기업전략의 모델과 운영
Ⅳ. 성장전략의 분석
1. 성장전략의 운영방법과 득실
2. 성장전략에서의 논쟁점
1) 복합적 다양화와 집중적 다양화
2) 내적 성장과 외적 성장
Ⅴ. 안정전략과 긴축전략의 분석
1. 안정전략
1) 신중한 중단이나 속행추진
2) 변화나 이익전략이 아님
2. 긴축전략
1) 전환전략
2) 현상유지 또는 매도전략
3) 파산이나 또는 청산전략
Ⅰ. 상황분석의 개념
Ⅱ. 전략적 의사결정의 과정
Ⅲ. 기업전략의 모델과 운영
Ⅳ. 성장전략의 분석
1. 성장전략의 운영방법과 득실
2. 성장전략에서의 논쟁점
1) 복합적 다양화와 집중적 다양화
2) 내적 성장과 외적 성장
Ⅴ. 안정전략과 긴축전략의 분석
1. 안정전략
1) 신중한 중단이나 속행추진
2) 변화나 이익전략이 아님
2. 긴축전략
1) 전환전략
2) 현상유지 또는 매도전략
3) 파산이나 또는 청산전략
본문내용
유인력을 갖고 있는 산업에서 강력한 경쟁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기업전략으로 변화를 추구하지는 않는다. 일시적(감정적) 휴식전략은
일반적으로 고도성장 이후 관리적 체계강화와 보다 높은 차원으로의 새로운 도
전을 준비 계획하는 단계에서 선택한다. 이러한 전략은 경기가 호전되어 성장
이 불가피한 환경을 외면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뜻하지 않고 다만 조직의 내외
적 환경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신중하게 추진
되어야 한다.
2) 변화나 이익전략이 아님
변화전략이 없거나 이익전략을 수립하지 않고 기업을 현상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유지전략의 성격을 의미한다.
이는 역시 안정성에 초점을 두고 현상유지상태에서 오히려 기술과 제품의 개발 및 종업원의 관리적 사고의 혁신 등을 중시하면서 미래의 성장전략을 대비하고 있는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긴축전략
긴축전략(retrenchment strategies)은 기업의 경쟁위치가 약화되거나 산업의 유인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을 때 추구되는 전략으로, 이 전략을 규모 면에서 축소전략 또는 감량전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긴축전략은 매출액이 하락하고 이익이 감소되는 상황에 대응하여 산업의 유인력에 의존하는 관리자는 관리방향의 전환(turnaround)과 현상유지 또는 매도(captive company or selling out) 파산이나 청산(bankruptcy or liquidation)전략을 선택한다.
1) 전환전략
이 전략은 기업이 고도의 유인력(매력)과 높은 평판을 받고 있을 때 취하는 전략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이 전략은 운영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축소와 강화 또는 정리를 위한 합동 및 통합의 개념을 갖고 있다. 여기서 축소 또는 감량(contraction)은 규모와 원가 면에서 축소 내지 감량을 통해 신속하게 대처하는 주된 노력을 뜻하고, 합동(consolidation)은 기업에 의존하는 사람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2) 현상유지 또는 매도전략
기업의 유인력이 하향추세에 있는 산업 중에서 경쟁위치가 약한 상태에 있는 기업은 완전한 전환전략상태에서는 경영관리가 어렵다. 이 경우에 유지 또는 매도전략(selling strategy)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는 기업의 성장이 저조하거나 성장전망이 보이지 않고 극한 상황에 처한 기업의 입지를 의미한다. 현상유지 및 매도전략에서 기업은 기존 장기 계약의 유지문제와 기업의 신용도 및 기업가의 이미지를 고려하여 경영의 전문가인 대자본주 또는 완전권리인수를 위한 원매자를 찾게 된다.
3) 파산이나 또는 청산전략
기업의 유인력과 경쟁위치가 최악의 상태 일 때에는 관리의 대체안은 제한되므로, 선택대상에서 제외된다. 다만 파산전략(bankruptcy strategy)이나 청산전략만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이때에 파산(bankruptcy)은 법원에서 경영권을 포기시키는 것을 뜻하며, 청산(liquidation)은 기업 자체를 영속시키면서 경영상태
를 종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은 기업전략으로 변화를 추구하지는 않는다. 일시적(감정적) 휴식전략은
일반적으로 고도성장 이후 관리적 체계강화와 보다 높은 차원으로의 새로운 도
전을 준비 계획하는 단계에서 선택한다. 이러한 전략은 경기가 호전되어 성장
이 불가피한 환경을 외면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뜻하지 않고 다만 조직의 내외
적 환경이 안정성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신중하게 추진
되어야 한다.
2) 변화나 이익전략이 아님
변화전략이 없거나 이익전략을 수립하지 않고 기업을 현상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하는 유지전략의 성격을 의미한다.
이는 역시 안정성에 초점을 두고 현상유지상태에서 오히려 기술과 제품의 개발 및 종업원의 관리적 사고의 혁신 등을 중시하면서 미래의 성장전략을 대비하고 있는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긴축전략
긴축전략(retrenchment strategies)은 기업의 경쟁위치가 약화되거나 산업의 유인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을 때 추구되는 전략으로, 이 전략을 규모 면에서 축소전략 또는 감량전략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긴축전략은 매출액이 하락하고 이익이 감소되는 상황에 대응하여 산업의 유인력에 의존하는 관리자는 관리방향의 전환(turnaround)과 현상유지 또는 매도(captive company or selling out) 파산이나 청산(bankruptcy or liquidation)전략을 선택한다.
1) 전환전략
이 전략은 기업이 고도의 유인력(매력)과 높은 평판을 받고 있을 때 취하는 전략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이 전략은 운영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축소와 강화 또는 정리를 위한 합동 및 통합의 개념을 갖고 있다. 여기서 축소 또는 감량(contraction)은 규모와 원가 면에서 축소 내지 감량을 통해 신속하게 대처하는 주된 노력을 뜻하고, 합동(consolidation)은 기업에 의존하는 사람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2) 현상유지 또는 매도전략
기업의 유인력이 하향추세에 있는 산업 중에서 경쟁위치가 약한 상태에 있는 기업은 완전한 전환전략상태에서는 경영관리가 어렵다. 이 경우에 유지 또는 매도전략(selling strategy)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는 기업의 성장이 저조하거나 성장전망이 보이지 않고 극한 상황에 처한 기업의 입지를 의미한다. 현상유지 및 매도전략에서 기업은 기존 장기 계약의 유지문제와 기업의 신용도 및 기업가의 이미지를 고려하여 경영의 전문가인 대자본주 또는 완전권리인수를 위한 원매자를 찾게 된다.
3) 파산이나 또는 청산전략
기업의 유인력과 경쟁위치가 최악의 상태 일 때에는 관리의 대체안은 제한되므로, 선택대상에서 제외된다. 다만 파산전략(bankruptcy strategy)이나 청산전략만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이때에 파산(bankruptcy)은 법원에서 경영권을 포기시키는 것을 뜻하며, 청산(liquidation)은 기업 자체를 영속시키면서 경영상태
를 종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 마케팅 전략
넥슨의 경영전략 및 성공요인
세계최고의 철강기업, 포스코(POSCO) 분석
애플의 전략과 분석
HSBC 의 해외진출 및 마케팅 전략
p&g기업분석
HRD교육 기획 운영의 이해
[의사결정][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사결정의 정의, 의사결정의 중요성, 의사결정의 수준과 의...
[A+] 건설산업에서의 공급사슬관리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
네이버 기업 분석
유니클로 마케팅 전략 Marketing Plan for UNIQLO
[A+] IKEA 이케아 기업전략 사례분석 ( 이케아 성공요인,SWOT분석,경영전략,마케팅전략,혁신...
[중소기업 경영론] 크라제버거 기업 분석 및 지속적 성장 전략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