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작하며
Ⅱ 준비하기
1.학생의 실태 분석
Ⅲ 들어가기
1. 단원 및 주제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단원의 구성 및 체계
5.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6. 수업모형 적용에 따른 이론 탐색
Ⅳ 수업 속으로
1. 교수학습 과정안
2. 판서 및 칠판 활용 계획
3. 좌석 배치도
4. 본시에서의 평가
Ⅱ 준비하기
1.학생의 실태 분석
Ⅲ 들어가기
1. 단원 및 주제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단원의 구성 및 체계
5. 단원 지도상의 유의점
6. 수업모형 적용에 따른 이론 탐색
Ⅳ 수업 속으로
1. 교수학습 과정안
2. 판서 및 칠판 활용 계획
3. 좌석 배치도
4. 본시에서의 평가
본문내용
맞춰보세요.
이 피자 조각들을 가분수로 바꿀 수 있을까요?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모둠원들과 이야기해서 나타내봅시다.
1는 가분수로 나타내면 몇 입니까?
왜 그렇게 생각했나요?
네, 좋은 생각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약속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과 함께 1을 을 가분수로 나타내볼까요?
익힘책에 쉽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익힘책 110쪽을 볼까요?
‘분자는 대분수의 자연수와 분모의 곱에 대분수의 분자를 더한다’는 방법을 익힘책에 제시된 식
1==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렇다면 2을 가분수로 바꾸어볼까요?(교과서 익히기1번)
● 가분수를 대분수로
자, 지금까지 우리는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바꾸어 볼 거예요.
99쪽에 어떤 그림이 보이나요?
큰 사각형은 몇 등분되어 있습니까?
네, 여러분이 사용한 피자판과 똑같이 4등분 되어 있죠? 그래서 이번에도 색칠하기 대신 직접 피자 조각으로 나타내보겠습니다.
피자판으로 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 은 이 몇 개 모인 것인지 떠올리면서 나타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 만든 피자판을 보세요. 피자 네 조각을 모아서 만들 수 있는 커다란 한 판은 몇 개입니까?
그렇다면 가분수을 대분수로 나타내볼 수 있겠네요. 얼마입니까?
왜 그렇게 나타낼 수 있습니까?
그렇죠. 의 분자가 너무 넘치니까 넘치지 않도록 빼내어 주는 거죠?
보세요. 분자11을 분모4로 나누어주면 몫이 몇이 됩니까? 그 나머지는 얼마입니까?
네, 2는 가 2개 있다는 뜻이죠? 그래서 자연수1이 2개, 이것을 앞으로 빼내어주고 나머지를 분자로 남겨둡니다.
아래 익히기1번을 풀어보세요. 얼마가 나옵니까?
익히기2번을 풀어봅시다. (네 명의 학생이 칠판에서 풀어보도록 한다.)
● 내 짝을 찾아줘!
게임 활동을 준비시킨다.
할리갈리 게임의 방법을 본 수업에 적용한 것이다.
피자판과 같은 원 두 개가 그려져 있습니다.
모둠별 바구니에서 직접 만든 피자판을 꺼낸다.
●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본다.
이 7개이기 때문입니다.
분모는 같고 분자는 자연수와 분모를 곱하고 분자를 더한 것입니다.
2=
사각형 세 개가 있습니다.
4등분 되어 있습니다.
피자판으로 을 표현해본다.
2개입니다.
2
1이 2개이고 이 있기 때문입니다.
분모는 같고 자연수는 분자를 분모로 나눈 몫이고 분자는 분자를 분모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입니다.
2가 됩니다. 나머지는 3입니다.
=
2=
3=
=3
=5
책상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모둠별로 할리갈리 분수카드를 준비한다.
게임 규칙
카드 : 같은 값을 가지는 대분수 16장과 가분수 16장
4인 1모둠, 32장의 카드를 섞어 8장씩 나누어 갖는다.
① 카드를 똑같이 나눠가진다.
② 카드는 뒤집은 상태에서 종을 향해 둔다. 가위 바위 보에서 진 사람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카드를 한 장씩 오픈한다.
③ 돌아가면서 카드를 내다가, 같은 값의 카드가 나온다면(가분수와 대분수 한 쌍이므로), 재빨리 종을 친다. 가장 먼저 종을 친 사람은 가운데에 놓인 모든 카드를 가진다.
④ 만약 다른 값의 카드인데 종을 치거나 규칙을 어기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카드를 한 장씩 나누어주어야 한다.
⑤ 가지고 있는 카드가 없다면 탈락이며, 가장 많은 카드를 가진 사람이 우승한다.
할리갈리 게임 알죠?
지금부터 할리갈리 게임을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카드에는 대분수와 가분수가 한 쌍씩 들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분수은 어떤 대분수 카드와 짝일까요?
그렇죠. 같은 값의 대분수나 가분수가 나오면 재빨리 종을 치는 겁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얼마나 빨리 카드를 집느냐가 아닙니다. 어떤 가분수가 어떤 대분수와 짝이 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제한시간 5분! 시작합니다!
● 활동 결과 정리하기
오늘 우리는 무엇에 대해서 배웠습니까?
네, 수업에 열심히 참여해서 잘 이해한 것 같네요. 스마트 공책을 꺼내서 정리해봅시다.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하기
오늘 배운 부분 잘 기억하면서 익힘책 110쪽과 111쪽에서 풀지 않았던 문제들을 풀어오세요.
다음 시간에는 분모가 같은 분수끼리의 크기를 비교해보겠습니다.
2
할리갈리 게임에 참여한다. 가분수와 대분수의 관계에 집중한다.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스마트 공책에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2. 판서 및 칠판 활용 계획
단원명 : 6. 분수
학습문제 :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내보자.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보자.
학습활동 : 활동1. 대분수를 가분수로 (피자판 모형 사용)
활동2. 가분수를 대분수로
활동3. 내 짝을 찾아줘!
3. 좌석 배치도
교탁
김지현
이민형
전혜원
한재희
전유진
김태형
김가영
박효중
김윤희
심재선
나연주
박민혁
서홍비
서희찬
최민서
박준성
김민주
윤종현
황수현
조정빈
문혜경
안형재
최승호
손지창
4. 본시에서의 평가
가. 본시 평가 계획
단원
재재요소
학습주제
성취기준
분수
대분수
가분수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기
-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세부 평가 내용
평가방법
-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꾸는 방법을 아는가?
- 가분수를 대분수로 바꾸는 방법을 아는가?
- 다양한 대분수와 가분수를 표현할 수 있는가?
- 관찰법
- 교과서 및
익힘책 활용
나. 본시 평가 기준
평가 관점
평가 요소
평가 내용
대분수와 가분수를 이해하며 서로 바꾸어 나타낼 수 있다.
이해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아는가?
참여
모둠 활동과 개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평가 기준
평가 방법
상
중
하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모두 안다.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낼 수 있지만, 정확한 방법을 모른다.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지 못한다.
교과서 및 익힘책을 활용하며, 동시에 관찰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모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다소 소극적으로 참여한다.
활동에 흥미를 보이지 않으며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다.
이 피자 조각들을 가분수로 바꿀 수 있을까요?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모둠원들과 이야기해서 나타내봅시다.
1는 가분수로 나타내면 몇 입니까?
왜 그렇게 생각했나요?
네, 좋은 생각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약속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과 함께 1을 을 가분수로 나타내볼까요?
익힘책에 쉽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익힘책 110쪽을 볼까요?
‘분자는 대분수의 자연수와 분모의 곱에 대분수의 분자를 더한다’는 방법을 익힘책에 제시된 식
1==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렇다면 2을 가분수로 바꾸어볼까요?(교과서 익히기1번)
● 가분수를 대분수로
자, 지금까지 우리는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바꾸어 볼 거예요.
99쪽에 어떤 그림이 보이나요?
큰 사각형은 몇 등분되어 있습니까?
네, 여러분이 사용한 피자판과 똑같이 4등분 되어 있죠? 그래서 이번에도 색칠하기 대신 직접 피자 조각으로 나타내보겠습니다.
피자판으로 을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 은 이 몇 개 모인 것인지 떠올리면서 나타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이 만든 피자판을 보세요. 피자 네 조각을 모아서 만들 수 있는 커다란 한 판은 몇 개입니까?
그렇다면 가분수을 대분수로 나타내볼 수 있겠네요. 얼마입니까?
왜 그렇게 나타낼 수 있습니까?
그렇죠. 의 분자가 너무 넘치니까 넘치지 않도록 빼내어 주는 거죠?
보세요. 분자11을 분모4로 나누어주면 몫이 몇이 됩니까? 그 나머지는 얼마입니까?
네, 2는 가 2개 있다는 뜻이죠? 그래서 자연수1이 2개, 이것을 앞으로 빼내어주고 나머지를 분자로 남겨둡니다.
아래 익히기1번을 풀어보세요. 얼마가 나옵니까?
익히기2번을 풀어봅시다. (네 명의 학생이 칠판에서 풀어보도록 한다.)
● 내 짝을 찾아줘!
게임 활동을 준비시킨다.
할리갈리 게임의 방법을 본 수업에 적용한 것이다.
피자판과 같은 원 두 개가 그려져 있습니다.
모둠별 바구니에서 직접 만든 피자판을 꺼낸다.
●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본다.
이 7개이기 때문입니다.
분모는 같고 분자는 자연수와 분모를 곱하고 분자를 더한 것입니다.
2=
사각형 세 개가 있습니다.
4등분 되어 있습니다.
피자판으로 을 표현해본다.
2개입니다.
2
1이 2개이고 이 있기 때문입니다.
분모는 같고 자연수는 분자를 분모로 나눈 몫이고 분자는 분자를 분모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입니다.
2가 됩니다. 나머지는 3입니다.
=
2=
3=
=3
=5
책상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모둠별로 할리갈리 분수카드를 준비한다.
게임 규칙
카드 : 같은 값을 가지는 대분수 16장과 가분수 16장
4인 1모둠, 32장의 카드를 섞어 8장씩 나누어 갖는다.
① 카드를 똑같이 나눠가진다.
② 카드는 뒤집은 상태에서 종을 향해 둔다. 가위 바위 보에서 진 사람부터 시작하여, 자신의 카드를 한 장씩 오픈한다.
③ 돌아가면서 카드를 내다가, 같은 값의 카드가 나온다면(가분수와 대분수 한 쌍이므로), 재빨리 종을 친다. 가장 먼저 종을 친 사람은 가운데에 놓인 모든 카드를 가진다.
④ 만약 다른 값의 카드인데 종을 치거나 규칙을 어기면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카드를 한 장씩 나누어주어야 한다.
⑤ 가지고 있는 카드가 없다면 탈락이며, 가장 많은 카드를 가진 사람이 우승한다.
할리갈리 게임 알죠?
지금부터 할리갈리 게임을 하겠습니다.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카드에는 대분수와 가분수가 한 쌍씩 들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분수은 어떤 대분수 카드와 짝일까요?
그렇죠. 같은 값의 대분수나 가분수가 나오면 재빨리 종을 치는 겁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얼마나 빨리 카드를 집느냐가 아닙니다. 어떤 가분수가 어떤 대분수와 짝이 되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제한시간 5분! 시작합니다!
● 활동 결과 정리하기
오늘 우리는 무엇에 대해서 배웠습니까?
네, 수업에 열심히 참여해서 잘 이해한 것 같네요. 스마트 공책을 꺼내서 정리해봅시다.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하기
오늘 배운 부분 잘 기억하면서 익힘책 110쪽과 111쪽에서 풀지 않았던 문제들을 풀어오세요.
다음 시간에는 분모가 같은 분수끼리의 크기를 비교해보겠습니다.
2
할리갈리 게임에 참여한다. 가분수와 대분수의 관계에 집중한다.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스마트 공책에 학습한 내용을 정리한다.
2. 판서 및 칠판 활용 계획
단원명 : 6. 분수
학습문제 :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내보자.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보자.
학습활동 : 활동1. 대분수를 가분수로 (피자판 모형 사용)
활동2. 가분수를 대분수로
활동3. 내 짝을 찾아줘!
3. 좌석 배치도
교탁
김지현
이민형
전혜원
한재희
전유진
김태형
김가영
박효중
김윤희
심재선
나연주
박민혁
서홍비
서희찬
최민서
박준성
김민주
윤종현
황수현
조정빈
문혜경
안형재
최승호
손지창
4. 본시에서의 평가
가. 본시 평가 계획
단원
재재요소
학습주제
성취기준
분수
대분수
가분수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기
- 대분수를 가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세부 평가 내용
평가방법
- 대분수를 가분수로 바꾸는 방법을 아는가?
- 가분수를 대분수로 바꾸는 방법을 아는가?
- 다양한 대분수와 가분수를 표현할 수 있는가?
- 관찰법
- 교과서 및
익힘책 활용
나. 본시 평가 기준
평가 관점
평가 요소
평가 내용
대분수와 가분수를 이해하며 서로 바꾸어 나타낼 수 있다.
이해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아는가?
참여
모둠 활동과 개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평가 기준
평가 방법
상
중
하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는 방법을 모두 안다.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낼 수 있지만, 정확한 방법을 모른다.
대분수를 가분수로, 가분수를 대분수로 나타내지 못한다.
교과서 및 익힘책을 활용하며, 동시에 관찰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모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다소 소극적으로 참여한다.
활동에 흥미를 보이지 않으며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다.
추천자료
수학 4학년 8단원 문제 푸는 방법 찾기 지도안 세안
초등 수학 4학년 7단원 분수 지도안 세안
초등 수학 4학년 4단원 수직과 평행 세안 지도안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 초등학교 3...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초등수학교육[수학과][수학교육]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수학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
4학년-수학-6.분수-분수와_진분수알기
4학년-수학-7.분수-분수의덧셈(4차시)
4학년-수학-7.소수-소수_세자리수_알아보기(3차시)
4학년-수학-7.소수-소수알아보기(1차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