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각(Perception)
2 지각오류(Perceptual Distortion)
3 지각오류와 조직성과
4 성격(Personality)
5 가치관(Value)
6 학습(learning)
7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8 강화(Reinforcement)
9 사회학습(social learning)
10 조직학습
2 지각오류(Perceptual Distortion)
3 지각오류와 조직성과
4 성격(Personality)
5 가치관(Value)
6 학습(learning)
7 고전적 조건화(Classical Conditioning)
8 강화(Reinforcement)
9 사회학습(social learning)
10 조직학습
본문내용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자극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일련의 심리적 과정
지각의 과정
Reception & Selection(수용, 선택) : 환경으로부터의 자극 수용
선택
Interpretation(해석) : 선택적으로 받아들인 자극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평가
성격이나 과거 경험 등이 영향
Sense-Making(의미부여) : 인과관계, 원인분석(귀인)
자신의 기존 정보/지식체계에 맞추어 종합정리
(조 직화)
그 자극에 대한 지각 종료
세단계의 지각과정은 전의식(pre-conscious)수준에서 순식간에 발생하며 단계별 구분 의식이 불가능
Stereotyping (편견)
어떤 개인의 행동, 태도, 자질, 능력 등을 평가할 때 그 사람이 소속된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에 의존하는 것
인지적으로 효율적. 편리하고 비용이 적음
Selective Perception (선택적 지각)
정보를 객관적으로 모두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기존의 인지체계(지식, 가치관)과 일치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자신이 듣고 싶은 것만 듣는 것
Halo Effect(후광효과, 현혹효과)
인상, 외모 등 지각 대상의 어느 한 특성이 그 대상 전체의 지각에 영향
Contrast Effect(대비효과)
각 대상을 독립적으로 지각하지 않고 최근에 상호 작용했던 대상과의 비교하에 대조 평가
조직의 효율적 기능에 역효과 : 특히 선발이나 인사고과 등의 평가시 오류발생 가능성 발생
Stereotype
여성직원에 대한 편견으로 우수한 인력 낭비
Halo Effect
외모만 보고 직무를 맡기거나 한 직무에서의 성과가 우수한 사람을 전혀 다른 직무에도 중용하는 경우
지각오류의 반복
superstitious learning
잘못된 인과관계를 이론화하는 오류적 조직학습
지각의 과정
Reception & Selection(수용, 선택) : 환경으로부터의 자극 수용
선택
Interpretation(해석) : 선택적으로 받아들인 자극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평가
성격이나 과거 경험 등이 영향
Sense-Making(의미부여) : 인과관계, 원인분석(귀인)
자신의 기존 정보/지식체계에 맞추어 종합정리
(조 직화)
그 자극에 대한 지각 종료
세단계의 지각과정은 전의식(pre-conscious)수준에서 순식간에 발생하며 단계별 구분 의식이 불가능
Stereotyping (편견)
어떤 개인의 행동, 태도, 자질, 능력 등을 평가할 때 그 사람이 소속된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에 의존하는 것
인지적으로 효율적. 편리하고 비용이 적음
Selective Perception (선택적 지각)
정보를 객관적으로 모두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의 기존의 인지체계(지식, 가치관)과 일치하거나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자신이 듣고 싶은 것만 듣는 것
Halo Effect(후광효과, 현혹효과)
인상, 외모 등 지각 대상의 어느 한 특성이 그 대상 전체의 지각에 영향
Contrast Effect(대비효과)
각 대상을 독립적으로 지각하지 않고 최근에 상호 작용했던 대상과의 비교하에 대조 평가
조직의 효율적 기능에 역효과 : 특히 선발이나 인사고과 등의 평가시 오류발생 가능성 발생
Stereotype
여성직원에 대한 편견으로 우수한 인력 낭비
Halo Effect
외모만 보고 직무를 맡기거나 한 직무에서의 성과가 우수한 사람을 전혀 다른 직무에도 중용하는 경우
지각오류의 반복
superstitious learning
잘못된 인과관계를 이론화하는 오류적 조직학습
추천자료
크룸볼츠(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
도덕성 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사회학습이론,인지발달이론)
사회참여학습법
성숙주의(몬테소리프로그램)와 행동주의(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과제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 이론과 매슬로우(Maslow)의 인본주의 이론 요약
아동발달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행동주의와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생태학이론을 비교...
[진로進路상담이론]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의 개관 -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제시하고 기본가정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