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_문제_요점정리]사라져가는_우리말의_실태와_문제점_및_올바른_우리말_가꾸기_방안(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문제제기

2. 원인

3. 현황과 문제점
⑴속어, 비어로 매도 당하는 현대 국어
⑵사투리 문제
⑶ 외국어, 외래어에 밀려 잘 쓰지 않는 우리말

4.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기

5. 대책

본문내용

떼다 - 문지르다
*강원도 헝덩하다- 무언가 비어보이는모양
가제나 - 가뜩이나
*전라도 다구지다 - 똑똑하다
나락 - 벼
⑶ 외국어, 외래어에 밀려 잘 쓰지 않는 우리말
순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는데도 다소 촌스러워 보이고, 지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우리 고유어가 외래어에 밀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말에는 외래어로 표현 할 수 없는 말이 많이 있다. 또한 고유어가 많아질수록 우리가 표현하는 느낌이나 생각도 더 다양해지므로, 잘 쓰이지 않는 토박이말을 찾아내서 쓰는 일은 언어의 다양성, 생각과 느낌의 다양성을 높이는 일이다.
▲머드러기-과일중 다른것들보다크고굵은것
▲부엉이셈-이해관계에 어두운셈
▲비거스렁이 -비가 갠뒤 바람이 불고 기온이 낮아지는 현상
▲되모시 - 이혼하고 처녀행세를 하는여자
4.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꾸기
코너→모퉁이
인스턴트 식품→즉석식품
서클→동아리
키친타월→ 종이 행주
포스트잇→붙임쪽지
인터체인지→ 나들목
리플→댓글
스쿨존 → 어린이보호구역
인테리어→실내장식
치어리더→흥돋움이
5. 대책
1.사라져가는 우리말을 바꿔쓰려는 노력이 필요
2.사투리에 대해서 좀 더 열린 자세로 접근 할 것
3.정책적으로 노력이 필요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1.07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