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전기와 정전용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5. 실험 결과

6-1. 결과 분석
6-2. 오차의 원인

7-1. 토의 내용
7-2. 결론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두 극판 사이의 거리에는 관계없이 전기장의 세기는 변함없는 것이다. 만약 평행판이 아닌 점전하였다면 공간으로 발산하기 때문에 전기장의 세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 하겠지만, 무한표면의 전기장은 발산하지 않을 것이다. 오로지 전하밀도와 유전율만 관계될 것이다.
7-2. 결론
즉 이 실험을 통해 우리는 두 도체 사이에 전위차를 가할 때 두 극판에는 똑같은 크기에 반대부호를 가진 전하량이 대전된다는 것을 살펴 보았고, 이를 통해 축전기의 정전용량을 측정해 보았다. 특히, 기존의 기하학적 정전용량구하는 방식이 아닌, 직접 실험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이론이 제대로 된 것인가를 검증했다. 그리고 유전체의 삽입을 통한 정전용량 측정이라는 추가실험을 함으로써, 유전상수의 개념과 유전체의 역할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지는지 생각해 보았다. 비록 수치적으로는 오류가 있었고 유리와 아크릴의 유전상수를 구할 수가 없어 결과를 내지 못햇지만, 실험의 전체적인 의도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생각하며, 보고서를 마친다.
8. 참고문헌
- 연세대 물리실험실 (phylab.yonsei.ac.kr)
- hecht physics calculus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1.11.2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7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