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일상생활 속 감춰진 ‘문화제국주의’
II. 본론
이론의 정의와 한계
ⅰ. 문화제국주의이론
ⅱ. 근대화이론
ⅲ. 종속이론
III. 결론
Ⅳ. 참고문헌
일상생활 속 감춰진 ‘문화제국주의’
II. 본론
이론의 정의와 한계
ⅰ. 문화제국주의이론
ⅱ. 근대화이론
ⅲ. 종속이론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으로는 두 이론 모두 자국중심으로 바라보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서방국가들의 경우 저개발국의 발전이라는 좋은 명목을 바탕으로 제국주의를 정당화 하려 하였다. 요한 갈퉁은 발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제 1명제 : 발전의 첫째 정의
발전(development)은 특정 문화(culture)의 펼쳐짐(unfolding)이다. 즉 그 문화의 부호(code)나 우주관을 구현하는 것이다(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1996, p.283).
다시 말해, 자국의 발전은 타국에 의해 배척되거나 소멸되는 과정이 아닌 그들의 고유문화를 펼치는 과정이다. 그러나 서방국가들은 발전을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의하려 하였다.
제 6명제
서구 문명은 스스로를 보편적 문명이라 이해하고, 자신의 역사를 남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발전의 역사라고 보편화한다. 도식화하면,
A. 발전 = 서구의 발전 = 근대화
B. 발전 = 성장 = 경제성장 = GNP 성장
(중략) 근대화 개념이 서양적 사고에 입각할 때, ‘개발’이라는 용어에 내재하는 잠재력이 무시되고 수많은 사업들이 개발이라는 이름하에 획일적으로 시도된다. 그렇게 되면 앞에서 언급한 3가지 정의와 두 문법적 명제들이 모두 부정되는 결과가 초래된다(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1996, p.290-291).
즉, 서방국가들의 저개발국을 위한 발전은 명목상에 불과한 것이었으며 서구중심적인 시선으로 제국주의 현상을 바라봄에 따라 제국주의보다 더욱 구체화된 문화 식민주의화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남미를 중심으로 한 개발도상국의 경우도 자국을 중심으로 중심국과 주변국이라는 단순한 구조만을 통해 제국주의를 바라본 점에 근대화 이론과 비슷한 오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문화제국주의 현상에 대한 나의 관점이 분명 개발도상국 중심의 입장에 치우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나의 한계인 것 같다. 다시 말해 문화제국주의에 관한 나의 관점은 앞서 말한 이론의 적용 한계에 대한 위험성을 망각하는 오류를 범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미국은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세계의 여러 국가를 자국의 생산과 소비를 위한 발판으로 삼으려 하였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과정에서도 저개발 국가를 발판으로 삼아 도약을 한 바 있다. 즉, 미국이 고부가가치의 지식산업으로 변화하는 이면에는 저개발국의 적지 않은 희생이 존재 하였으며 이러한 희생을 미국은 자신들만의 패권주의적인 방법으로 정당화 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 개발도상국인 우리나라 국민인 내가 좋은 시선으로 그들을, 그리고 문화 제국주의를 바라보기란 어려운 일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의 과정에서 문화제국주의의 피해 국가들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서방국가가 아닌 자신들이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문제 해결의 근본을 스스로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자국문화에 대한 소중함을 망각한 채 자신들보다 경제적 풍요로움이 더 한 서방국가들에 대한 막연한 환상은 문화제국주의의 수단으로 요긴하게 쓰일 수 가 있다. 더불어 미디어의 글로벌화가 거듭될수록 제국주의의 확산은 급속도로 번져나가기 십상이다. 미디어 국제화의 문화제국주의 현상에 따른 진정한 수혜자가 되기 위해서는 비정상적이거나 불필요할 정도의 종속의 관계가 아닌 사이의 상관성을 띄는 의존의 관계가 되도록 자국문화의 유지 노력과 동시에 세계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수용자의 해석능력을 스스로 키워야하는 필연성을 깨달아야 한다. 더불어 기술의 발달이 격차심화의 촉매제가 아닌 희망의 매개체가 되기 위해서 스스로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서적|
이모토 요코, 『아기 돼지 삼형제』, 2008
다야 키샨 쑤쑤(Daya Kishan Thussu), 국제 커뮤니케이션, 2004, 2.국제 커뮤니케이션의 이론화를 위한 접근방법
엘빈토플러(Alvin, Toffler), 제3의 물결, 1992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Said), 문화와 제국주의, 2005
요한 갈퉁(Johan, Galtung),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1996
윌버 슈럼(Wilbur, Schramm), 인간커뮤니케이션, 1990
|인터넷 검색 엔진|
구글 http://www.google.co.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알타비스타 http://kr.altavista.com/
위키피디아 http://www.wikipedia.org/
http://ko.wikipedia.org/
제 1명제 : 발전의 첫째 정의
발전(development)은 특정 문화(culture)의 펼쳐짐(unfolding)이다. 즉 그 문화의 부호(code)나 우주관을 구현하는 것이다(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1996, p.283).
다시 말해, 자국의 발전은 타국에 의해 배척되거나 소멸되는 과정이 아닌 그들의 고유문화를 펼치는 과정이다. 그러나 서방국가들은 발전을 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정의하려 하였다.
제 6명제
서구 문명은 스스로를 보편적 문명이라 이해하고, 자신의 역사를 남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발전의 역사라고 보편화한다. 도식화하면,
A. 발전 = 서구의 발전 = 근대화
B. 발전 = 성장 = 경제성장 = GNP 성장
(중략) 근대화 개념이 서양적 사고에 입각할 때, ‘개발’이라는 용어에 내재하는 잠재력이 무시되고 수많은 사업들이 개발이라는 이름하에 획일적으로 시도된다. 그렇게 되면 앞에서 언급한 3가지 정의와 두 문법적 명제들이 모두 부정되는 결과가 초래된다(요한 갈퉁,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1996, p.290-291).
즉, 서방국가들의 저개발국을 위한 발전은 명목상에 불과한 것이었으며 서구중심적인 시선으로 제국주의 현상을 바라봄에 따라 제국주의보다 더욱 구체화된 문화 식민주의화가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또한 남미를 중심으로 한 개발도상국의 경우도 자국을 중심으로 중심국과 주변국이라는 단순한 구조만을 통해 제국주의를 바라본 점에 근대화 이론과 비슷한 오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문화제국주의 현상에 대한 나의 관점이 분명 개발도상국 중심의 입장에 치우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나의 한계인 것 같다. 다시 말해 문화제국주의에 관한 나의 관점은 앞서 말한 이론의 적용 한계에 대한 위험성을 망각하는 오류를 범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미국은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세계의 여러 국가를 자국의 생산과 소비를 위한 발판으로 삼으려 하였다. 또한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과정에서도 저개발 국가를 발판으로 삼아 도약을 한 바 있다. 즉, 미국이 고부가가치의 지식산업으로 변화하는 이면에는 저개발국의 적지 않은 희생이 존재 하였으며 이러한 희생을 미국은 자신들만의 패권주의적인 방법으로 정당화 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 개발도상국인 우리나라 국민인 내가 좋은 시선으로 그들을, 그리고 문화 제국주의를 바라보기란 어려운 일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의 과정에서 문화제국주의의 피해 국가들이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서방국가가 아닌 자신들이 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문제 해결의 근본을 스스로에게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자국문화에 대한 소중함을 망각한 채 자신들보다 경제적 풍요로움이 더 한 서방국가들에 대한 막연한 환상은 문화제국주의의 수단으로 요긴하게 쓰일 수 가 있다. 더불어 미디어의 글로벌화가 거듭될수록 제국주의의 확산은 급속도로 번져나가기 십상이다. 미디어 국제화의 문화제국주의 현상에 따른 진정한 수혜자가 되기 위해서는 비정상적이거나 불필요할 정도의 종속의 관계가 아닌 사이의 상관성을 띄는 의존의 관계가 되도록 자국문화의 유지 노력과 동시에 세계화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수용자의 해석능력을 스스로 키워야하는 필연성을 깨달아야 한다. 더불어 기술의 발달이 격차심화의 촉매제가 아닌 희망의 매개체가 되기 위해서 스스로가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서적|
이모토 요코, 『아기 돼지 삼형제』, 2008
다야 키샨 쑤쑤(Daya Kishan Thussu), 국제 커뮤니케이션, 2004, 2.국제 커뮤니케이션의 이론화를 위한 접근방법
엘빈토플러(Alvin, Toffler), 제3의 물결, 1992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Said), 문화와 제국주의, 2005
요한 갈퉁(Johan, Galtung),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1996
윌버 슈럼(Wilbur, Schramm), 인간커뮤니케이션, 1990
|인터넷 검색 엔진|
구글 http://www.google.co.kr/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알타비스타 http://kr.altavista.com/
위키피디아 http://www.wikipedia.org/
http://ko.wikipedia.org/
추천자료
IT의 현황과 전망
과거와 현대의 제국주의
인디언과 제국주의
미군정기의 교육과 문화적 제국주의
『문화와 제국주의』, 그리고『개고기 먹는 사람들』― 문화와 제국주의적 양상, 그것에 대한 ...
프랑스 제국주의 특징
제국주의 문화침략과 한국 교육의 대미 종속화
[제국주의][환경제국주의][경제제국주의]제국주의의 특징, 제국주의의 역사, 제국주의의 이론...
성적 착취와 영국 제국주의
대중문화와 문화 산업 -이미지와 영상, 상품미학, 문화 제국주의와 문화상대주의-
[동북아시아][동북아][동북아시아 제국주의][동북아시아 패권주의][다자주의]동북아시아(동북...
서구중심주의와 제국주의, 인종주의가 어떤 면에서 서로 다르고 어떤 면에서 서로 공통점이 ...
[현대의 서양문화 B형] “서양 문명”에 대해 내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은 어떠했는지를 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