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성장보고서_5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사회성이 떨어지곤 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자주 만들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평소 자신의 의사를 분명히 밝힐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한 부담이 없는 역할놀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본다.
*타고난 기질 살리는 플러스 육아법
1. 아이에게 도움이 되는 기질을 살린다.
예를들어 호기심은 아이의 두뇌발달과 지는계발에 도움이 되므로 계속 키워질만한 기질이다. 하지만 너무 지나치게 호기심만 길러주는것도 좋지 않다. 호기심만 쫓다보면 위험한 행동을 할수 있으므로 호기심과 동시에 경계심을 가질수 있도록 조절해 줄필요가 있다.
2.아이가 감정을 조절하여 표현할수 있도록 한다.
기질적으로 화를 잘 내고 신경질적인 아이라면 적절하게 화를 조절하고 완화해서 표현할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한다. 예를 들어 화가날때 물건을 던지거나 우는 대신 왜 화가 났는지 이유를 차근차근 설명할수 있도록 알려준다. 기질적으로 우울한 아이는 스스로 유쾌한 기분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취미를 가질수 있게 된다.
3. 기분 전환의 여건을 만들어 준다.
아이가 의기소침해 하거나 속상해 할때 빨리 기분전환을 할 수 있도록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아이가 분노나 짜증에서 빨리 벗어날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분노나 짜증을 느끼는 시간이 줄어들면, 아이의 분노하는 기질 자체가 점차 엷어진다.
● 잘난 척하는 아이 이렇게 북돋워주세요
01. 아이가 하고 싶은 대로 놔둔다
아이를 간섭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잘난 척하는 기질이 다칠 수 있다. 아이가 하고 싶은 대로 놔두고 지켜본다.
02. 아이의 장점을 높이 평가한다
아이가 잘난척 하는 부분에 대해 인정을 해주고 “네가 최고!”라고 말해 준다. 사람들은 누군가 인정해 주면 그에 맞게 행동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03. 엄마에게 도움을 청할 때 도와준다
잘난 척하는 아이들은 자기 스스로 하려는 의지가 강하므로 누가 도와주는 것을 싫어한다. 도와주지 말되 스스로 끝까지 끝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도움을 요청할 때에만 도와주도록 하자.
POINT. 장점으로 살려주는 놀이법>>> 엄마가 놀이를 지정해 주지 말고 아이에게 하고 싶은 놀이를 하게 하고 혼자 놀게 한다. 혼자 놀다가 도움을 청할 경우에만 같이 놀아주는 게 좋다.
● 반응이 느린 아이 이렇게 북돋워주세요
01. 아이에게 적응할 시간을 준다
느린 아이는 낯선 상황에 처했을 때 새로운 상황을 받아들이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 아이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시간이므로 아이에게 적응할 시간을 줘야 한다. 서두르지 말고 기다려주는 자세가 필요하다.
02. 감정을 표현하게 한다
적응이 늦으면 자신의 감정 표현도 잘 하지 않는다. 아이에게 감정을 묻는 질문을 자주 하도록 한다.
03. 간섭하지 않는다
아이가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느리다고 해서 엄마가 개입하거나 간섭하는 것은 좋지 않다. 엄마가 아이의 행동에 개입하면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더욱 수줍어 하고 적응력도 떨어진다. 아이가 자율적으로 행동하도록 간섭은 피한다.
POINT. 장점으로 살려주는 놀이법>>> 아이가 잘하는 놀이를 함께 한다. 느린 아이들은 자신감도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이 잘하는 놀이를 하면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 순한 아이 이렇게 북돋워주세요
01. 관심을 더 기울여야 한다
순하고 순종적이라고 해서 관심을 덜 주게 되면 자신이 사랑을 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바로 떼쓰는 아이로 변할 수 있다. 보통 아이들보다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02. 자율성을 인정하며 키운다
순한 아이는 부모의 말을 잘 듣는다. 엄마가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도 부모가 하지 말라고 하면 쉽게 포기한다. 통제하기는 쉬우나 자율성이나 주도성을 꺾을 수가 있으므로 아이의 의견을 존중해줘야 한다.
03. 대화를 많이 나눈다
아이와 대화를 많이 나누면서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 아이 내면에 있는 긍정적인 마인드가 표출되어 장점으로 살릴 수 있다.
POINT. 장점으로 살려주는 놀이법>>> 모험심을 키워주기 위해 바깥 놀이를 많이 하고 또래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만들어 준다.
*아이 기질 드러나는 일상생활과 연관을 해본다.
< 기질검사 분석의 예 >
연세대학교에서 한 아이 기질검사 결과지
* 아이정보
아동이름 : 변하람
성 별 : 여
생년월일 : 2008년 3월15일
검사일 : 2009년 4월16일
나 이 : 13.0 개월
* 기질검사
<하람이의 점수와 또래 평균>
구성 요인 긍정적 정서 주의 지속성 접근/회피 부정적 정서 주의 전환성 활동성
아동 점수 3.78 3.00 3.60 2.44 3.00 2.00
또래평균(여) 3.70 3.37 2.40 2.73 3.35 2.61
또래평균(남) 3.72 3.32 2.79 2.97 3.36 2.71
< 기질 검사 구성 요인 설명 >
- 긍정적 정서: 목욕, 놀이, 일상활동에서 미소와 웃음으로 표현되는 기쁨의 정서 측정
- 주의 지속성: 놀이 상황에서 책이나 장난감을 몇 분 이상 계속 가지고 놀거나
한가지 자세로 계속 TV를 바라보는 행동 측정
- 접근 / 회피: 낯선이를 만났을 때의 접근과 후퇴 반응을 측정
- 부정적 정서: 수유를 기다리거나 싫어하는 음식을 줄 때, 또는 갖고 놀던 놀이감을 치웠을 때
표현되는 울기와 보채기 행동 측정
- 주의 전환성: 울거나 보채기 또는 불평을 감소시키기 위해 안아주거나 먹을 것 주기,
쓰다듬기 등 달래기 기술의 효과 측정
- 활동성 : 수유나 목욕 시 활동 수준 측정
<하람이의 기질검사 결과>
하람이는 또래 아이들과 비슷한 정도로 기쁨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의 지속
성은 또래 아이들과 비슷합니다. 하람이가 낯선이를 만났을 경우 그 사람에게 다가가
지 않거나 회피하는 반응은 또래 아이들보다 다소 높습니다.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정도는 또래와 유사합니다. 하람이의 불평을 감소하기 위해 어머니께서 하
시는 달래기에 대한 반응은 또래 아이들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일상생활에서 하람이의
활동성은 또래 아이들과 비슷합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11.30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7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