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영상물 요약
Ⅱ. 기질이란?
Ⅲ. 기질의 형성
Ⅳ. 기질의 유형
Ⅴ. 기질에 따른 육아법
Ⅵ. 논문자료
Ⅶ. 느낀점
Ⅶ. 출처
Ⅱ. 기질이란?
Ⅲ. 기질의 형성
Ⅳ. 기질의 유형
Ⅴ. 기질에 따른 육아법
Ⅵ. 논문자료
Ⅶ. 느낀점
Ⅶ. 출처
본문내용
야단을 치고 감정적으로 대하면 안 된다.
-느긋하고 낙천적인 엄마의 돌보기
01_아이의 충동성을 어느 정도 자제시킬 수 있으나 느긋하게 바라보기만 한다면 점차 버릇이 나빠질 수 있다.
02_참고 서적을 보거나 남편, 이웃 엄마 등 다른 사람과 의논한다.
-허용적인 엄마의 돌보기
01_엄마와 아이 사이에서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공공장소 등에서 아이의 행동 때문에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02_아이의 문제 행동을 객관적으로 보고 단호한 훈육이 필요하다.
-완벽주의적 까탈스러운 엄마의 돌보기
01_엄마가 아이의 문제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고 교정하려 애쓰기 때문에 엄마가 지쳐 쓰러질 지경으로 피곤해지기 쉽다.
02_문제의 우선순위를 매겨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부터 해결한다.
Ⅵ. 논문자료
출처: 아동의 충동성과 학대경험 및 기질과의 관계
(김지연.김광웅숙명여자대학교 건강ㆍ생활과학연구소.1999)
본 연구는 아동의 충동성과 그가 속한 가정내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극단적인 양육형태인 학대경험 및 아동의 유기체적 기질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충동성 유형과 정도를 알아보고, 아동의 충동성과 학대경험 및 기질과의 상관관계, 아동의 충동성에 대한 학대경험 및 기질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아동의 충동성 유형을 살펴본 결과, 아동변인에서는 성별에 따라서 충동성 하위유형 중 운동 충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가 여아보다 운동 충동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속도로 본 이전의 연구결과에서 유아의 충동성이 환경적 요인 즉,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이 지능, 문화, 성별, 사회계층, 체격, 부모의 양육태도 등 다면에 걸쳐 관련이 있음을 밝힌 결과와도 일치한다.
둘째, 아동의 충동성과 학대경험 및 기질의 관계에서는 먼저 단순상관관계를 보고, 학대경험 및 기질의 변인들을 군으로 묶어 아동의 충동성군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임을 경험한 아동일수록 비계획적이고 사려적이지 못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고,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일수록 집중하여 몰입하지 못하고 즉각적인 행동을 많이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충동성을 하위변인군으로 나눈 선행연구는 없지만 충동성과 부정적인 양육태도인 학대경험의 관련 연구결과들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신체적 학대를 받은 아동이 공격적, 충동적이고 과다행동을 많이 보이며, 정서적 학대를 받은 아동이 적대적이고 반사회적 행동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강영일, 1982; 이진숙, 1989; 박은미, 1994; Brenner, 1984; Kinard, 1982; Mussen외, 1991)들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학대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아동의 정서·행동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학대적 가정환경에서 신체에 상처를 남기는 신체적 학대 뿐만아니라, 정서적 학대, 방임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감안할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충동성에 대한 학대경험과 기질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운동 충동성에 대하여 학대경험 중 정서적 학대와 사회성 기질요인의 상호작용효과, 학대경험 중 방임과 사회성 기질요인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아동의 사회성이 낮은 경우에 정서적 학대에 의해 아동의 운동 충동성이 크게 상승하였고, 또한 아동의 사회성이 낮은 경우에 방임 경험이 아동의 운동 충동성을 크게 상승시킴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아동의 기질 특성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질 특성과 맥락적 환경내에서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정서·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타고난 기질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기초적인 경향일 뿐, 발달적 최종결과는 환경의 영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감안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질적으로 타고났다 하더라도 정서적 학대경험과 방임경험이 아동의 운동 충동성을 더욱 증폭시키는 상승효과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어 학대경혐을 최소화시키고 아동발달에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Ⅶ. 느낀점
기질에 대한 것은 예전부터 관심이 많이 가던 부분 이었습니다.
이번기회를 통해서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게 되었고 여러 유형의 기질을 가진 아이들의 교육법까지 알게되어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나중에 부모가 된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느긋하고 낙천적인 엄마의 돌보기
01_아이의 충동성을 어느 정도 자제시킬 수 있으나 느긋하게 바라보기만 한다면 점차 버릇이 나빠질 수 있다.
02_참고 서적을 보거나 남편, 이웃 엄마 등 다른 사람과 의논한다.
-허용적인 엄마의 돌보기
01_엄마와 아이 사이에서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공공장소 등에서 아이의 행동 때문에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02_아이의 문제 행동을 객관적으로 보고 단호한 훈육이 필요하다.
-완벽주의적 까탈스러운 엄마의 돌보기
01_엄마가 아이의 문제에 대해 일일이 대응하고 교정하려 애쓰기 때문에 엄마가 지쳐 쓰러질 지경으로 피곤해지기 쉽다.
02_문제의 우선순위를 매겨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부터 해결한다.
Ⅵ. 논문자료
출처: 아동의 충동성과 학대경험 및 기질과의 관계
(김지연.김광웅숙명여자대학교 건강ㆍ생활과학연구소.1999)
본 연구는 아동의 충동성과 그가 속한 가정내에서 경험하는 부모의 극단적인 양육형태인 학대경험 및 아동의 유기체적 기질 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충동성 유형과 정도를 알아보고, 아동의 충동성과 학대경험 및 기질과의 상관관계, 아동의 충동성에 대한 학대경험 및 기질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아동의 충동성 유형을 살펴본 결과, 아동변인에서는 성별에 따라서 충동성 하위유형 중 운동 충동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가 여아보다 운동 충동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속도로 본 이전의 연구결과에서 유아의 충동성이 환경적 요인 즉,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이 지능, 문화, 성별, 사회계층, 체격, 부모의 양육태도 등 다면에 걸쳐 관련이 있음을 밝힌 결과와도 일치한다.
둘째, 아동의 충동성과 학대경험 및 기질의 관계에서는 먼저 단순상관관계를 보고, 학대경험 및 기질의 변인들을 군으로 묶어 아동의 충동성군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방임을 경험한 아동일수록 비계획적이고 사려적이지 못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고,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일수록 집중하여 몰입하지 못하고 즉각적인 행동을 많이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충동성을 하위변인군으로 나눈 선행연구는 없지만 충동성과 부정적인 양육태도인 학대경험의 관련 연구결과들과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신체적 학대를 받은 아동이 공격적, 충동적이고 과다행동을 많이 보이며, 정서적 학대를 받은 아동이 적대적이고 반사회적 행동을 보인다는 선행연구(강영일, 1982; 이진숙, 1989; 박은미, 1994; Brenner, 1984; Kinard, 1982; Mussen외, 1991)들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학대환경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들에 대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아동의 정서·행동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학대적 가정환경에서 신체에 상처를 남기는 신체적 학대 뿐만아니라, 정서적 학대, 방임에 대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감안할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충동성에 대한 학대경험과 기질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운동 충동성에 대하여 학대경험 중 정서적 학대와 사회성 기질요인의 상호작용효과, 학대경험 중 방임과 사회성 기질요인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아동의 사회성이 낮은 경우에 정서적 학대에 의해 아동의 운동 충동성이 크게 상승하였고, 또한 아동의 사회성이 낮은 경우에 방임 경험이 아동의 운동 충동성을 크게 상승시킴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아동의 기질 특성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상호작용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질 특성과 맥락적 환경내에서의 상호작용이 아동의 정서·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타고난 기질이라 하더라도 각각의 기초적인 경향일 뿐, 발달적 최종결과는 환경의 영향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감안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질적으로 타고났다 하더라도 정서적 학대경험과 방임경험이 아동의 운동 충동성을 더욱 증폭시키는 상승효과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어 학대경혐을 최소화시키고 아동발달에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Ⅶ. 느낀점
기질에 대한 것은 예전부터 관심이 많이 가던 부분 이었습니다.
이번기회를 통해서 좀더 자세하게 알아보게 되었고 여러 유형의 기질을 가진 아이들의 교육법까지 알게되어서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나중에 부모가 된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