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치시대의 시와 시인
2. 이념의 시와 순수의 시
《다른 견해》
1. 오장환의 시
2. 『청록집』에 대해서
※참고문헌
2. 이념의 시와 순수의 시
《다른 견해》
1. 오장환의 시
2. 『청록집』에 대해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에 상당한 상상력을 곁들인 언어 표현이 아닐 수 없다. 그런가하면 「묘지송」에서 우리는 한국 서정시의 하나의 새 국면 같은 것을 느끼게 된다. ‘삐이 삐이, 배, 뱃종! 뱃종!’과 같은 의태어도 쓰고 있어 묘지의 분위기를 청각적 심상으로까지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그를 통해서 주검은 한이나 슬픔 이상의 강한 뜻을 지니면서 우리에게 독특한 체험을 갖게 한다.
이렇게 『청록집』 한 권에서 검출되는 특징적 단면은 민족진영쪽의 시에 큰 보탬이 되었다. 나아가 우리 시단 전체로 보아도 의의가 있는 일이었다. 좌파의 계급지상주의에 맞서 민족진영이 내세운 것이 민족, 전통, 역사였다. 그런데 그런 것이 제대로 시가 되기 위해서는 생경한 사상, 관념의 차원이 극복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때 우리가 터득해야 할 것이 말솜씨 또는 기법이다. 그런데 『청록집』을 통해서 보면 이런 몇 가지 요건이 청록파에 의해 상당히 기능적으로 확보되어 있다. 즉 역사, 전통, 민족을 이들은 향토정조나 그 객관적 상관물로 생각되는 여러 풍물, 자연으로 대체시켜 놓았다. 그와 동시에 예술적으로 격이 있는 작품을 추구한 자취도 적실하게 나타난다. 이런 몇 가지 점에서 이들의 공동사화집인 『청록집』은 해방기단의 듬직한 성과임에 틀림없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1.
김용직, 『해방기 한국 시문학사』, 민음사, 1989
김윤식,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 출판부, 1991.
한계전 외,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8.
박윤우, 「오장환 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이렇게 『청록집』 한 권에서 검출되는 특징적 단면은 민족진영쪽의 시에 큰 보탬이 되었다. 나아가 우리 시단 전체로 보아도 의의가 있는 일이었다. 좌파의 계급지상주의에 맞서 민족진영이 내세운 것이 민족, 전통, 역사였다. 그런데 그런 것이 제대로 시가 되기 위해서는 생경한 사상, 관념의 차원이 극복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때 우리가 터득해야 할 것이 말솜씨 또는 기법이다. 그런데 『청록집』을 통해서 보면 이런 몇 가지 요건이 청록파에 의해 상당히 기능적으로 확보되어 있다. 즉 역사, 전통, 민족을 이들은 향토정조나 그 객관적 상관물로 생각되는 여러 풍물, 자연으로 대체시켜 놓았다. 그와 동시에 예술적으로 격이 있는 작품을 추구한 자취도 적실하게 나타난다. 이런 몇 가지 점에서 이들의 공동사화집인 『청록집』은 해방기단의 듬직한 성과임에 틀림없다.
※참고문헌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1.
김용직, 『해방기 한국 시문학사』, 민음사, 1989
김윤식,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 출판부, 1991.
한계전 외,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8.
박윤우, 「오장환 시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추천자료
60년대와 80년대의 시가 장시(서사시/서술시)가 되었던 건 무엇 때문일까?
만해 한용운의 사상과 문학
1940년대 시문학 (시대적 배경과 문단의 상황, 대표적 시인과 작품, 잡지 등)
백석 시 연구
1980년대 노동시와 백무산
국어국문학(현대시론) 김현승 시세계
해방전후 문학운동 - 시를 중심으로
[근대문학]모더니즘의 개념과 형성배경 그리고 모더니즘이 미친 영향과 특징분석
한국 현대시사 정리
2011년 2학기 일본문학의흐름 중간시험과제물 E형(일본 근현대시의 성립과정과 특징)
☆ 초현실주의와 자동기술법 ☆
신동엽
1917~1927년 까지 한국현대문학사(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