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동엽의 생애
Ⅱ. 신동엽의 시 세계
1. 전통주의, 정신주의적 한계
2. 참여시
3. 설화적 상상력
4. 원수성의 세계로의 지향
4.1. 대지의 이미지
4.2. 문명 탈피
5. 서사 형식 : 장편 서사시 <금강>을 중심으로
6. 포용하는 여성의 이미지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신동엽의 시 세계
1. 전통주의, 정신주의적 한계
2. 참여시
3. 설화적 상상력
4. 원수성의 세계로의 지향
4.1. 대지의 이미지
4.2. 문명 탈피
5. 서사 형식 : 장편 서사시 <금강>을 중심으로
6. 포용하는 여성의 이미지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심하던 차라리 그 미개지(未開地)에로 가자 달이 뜨는 명절밤 비단치마를 나부끼며 떼지어 춤추던 전설 같은 풍속으로 돌아가자 냇물 굽이치는 싱싱한 마음밭으로 돌아가자.
<香아> 일부
<香아>에서는 우리 풍속을 이야기하면서 토착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시에서 나타난 문명의 사물(기계, 비행기)과는 대비되는 것으로 우리가 다시 돌아가야 할 원수성의 세계로 한국의 원형적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복고주의가 아닌, 이미 한국인에게 내재되어 있지만 잊어버린 원형(원수성의 세계)을 여성 화자에게 말하는 형식으로 깨우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5. 서사 형식 : 장편 서사시 <금강>을 중심으로
<금강>은 모두 26장으로 이루어진, 4,800행의 대작이다. 4.19혁명과 3.1운동 그리고 동학혁명의 의미를 되새긴다. 신동엽은 이 세 가지를 사건을 하나로 연결하여 하나의 서사를 만든다. 주인공 신하늬는 민란의 주동자로 도망 다니다가 의병활동을 벌이는 인물이다. 여자주인공 인진아는 궁을 도망 나온 궁녀로 하늬와 사랑을 하게 되고, 동학에 입문한다. 특히 금강에는 기이한 출생을 하여 초혼에 실패하고 인진아를 만나는 신하늬와 동학에 입교했다가 조병갑의 학정에 아버지를 잃은 전봉준과의 만남과 헤어짐의 이야기도 나온다. 둘은 동학혁명으로 만났다가 혁명의 실패로 헤어진다. 동학혁명이 실패하자 신하늬는 아들을 남긴 뒤 죽음에 이르고, 전봉준은 체포 압송되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신동엽은 과거는 미래를 위한 거울이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금강>의 후화1에 종로에서 마주친 한 소년의 이야기를 담는다.
밤 열한 시 반
종로5가 네거리
부슬비가 내리고 있었다.
통금에 쫓기면서 대폿잔에 하루의 노동을 위로한 잡담 속,
가시오 판 옆
화사한 네온 아래
무거운 멜빵 새끼줄로 얽어맨
소년이, 나를 붙들고
길을 물었다.
충청남도 공주 동혈산, 아니면
전라남도 해남 땅 어촌 말씨였을까,
죄없이 크고 맑기만 한
소년의 눈동자가
내 콧등 아래서 비에
젖고 있었다.
(생략) <금강> 후화1 일부
이 대목에서 신동엽은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온 소년의 누이가 거리에서 몸을 파는 여자가 아닐까 연관짓기도 하고, 소년의 아버지가 고층 건물 공사장에서 자갈 나르는 노동자가 아닐까 하고 독자에게 묻는다. 이것은 바로 1960년대 농촌에서 서울로 이주해 온 농민 가정의 모습이다. 아울러 동학혁명이 일어난 당시의 사회적인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남아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과거와 현재의 문제를 함께 그려내면서 연속적인 현실로 이해하게 하는 데에 서사는 적절한 형식이었다.
6. 포용하는 여성의 이미지
신동엽은 여성을 화자나 청자로 내세울 뿐만 아니라, 여성의 이미지를 원수성의 세계의 상징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나는 밭, (중략)
누워서 기다리고 있어요 여자는 집, 누워 있는 집
씨가 뿌리질 때를 빨래를 한다, 여자는 양말이 아니라 남자의 마음
(중략) . 전장에서 살육하고 돌아온
선택하는 자유는 저한테 있습니다 남자의 마음
좋은 씨 받아서 . 그 피묻은 죄까지
좋은 신성 가꿔보고 싶으니까 (생략)
<여자의 삶> 일부
여인은 스스로 밭이라고 한다. 너무나도 익숙한 씨와 밭의 성적 이미지에서 본다면, 여인은 세상의 모든 것을 포용하고 포괄하는 위대한 어머니의 이미지에 결부된 모성이다. <여자의 삶>에서 ‘껍질만 벗겨 던지면 여성은 神’이라며 모성은 더 나아가 신성을 부여받는다.
이동하는 이를 두고 신동엽은 여성 억압적 가운데 하나를 아무런 반성 없이 되풀이한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했다. 그는 여자를 꼼짝도 못한 채 누워 있는 집으로 비유한 것을 지적했다. 이는 남성을 위하여 존재하는 자로 규정짓는 입장에 완강하게 집착해 있음을 증명한다고 본다. 여성에서 신비의 너울을 씌우는 방법은 시적인 태도로 고상할지 모르나, 이것이야말로 여성에 대한 억압을 영속화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의 하나로서 남성에 의해 줄기차게 애용되어 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동하, 「신동엽론 - 역사관과 여성관」,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pp. 459-460
여성을 누워있다고 표현한 것은 여자를 대지에 은유하기 위함으로 본다면, 누워있음은 부동이 아닌, 어머니의 포용하는 자세이다. 무엇보다 ‘선택하는 자유는 저한테 있습니다’라는 문구는 위의 주장을 무력하게 만든다.
<여자의 삶>은 도입부, 전개부, 결말부의 삼 단계 짜임을 가진다. 그는 도입부를 한 여자로 보여주고, 전개부에서는 한 여자를 한국의 여인으로 확대시켜 자신의 전경인정신을 반영시킨다. 그리고 결말부에서는 다시 먼젓번의 여인으로 돌아오도록 한다. 여기서 시정신은 역시 원수성 세계로 향하는 전경인을 생산하고자 하는 모성을 말하고 있다.
Ⅲ. 맺음말
신동엽은 냉전논리가 극심하게 기세를 떨치던 50년대 말에 등단하여 이후 10년간 당시 한국 시단 풍토에서 우리 현실의 부조리와 민족 모순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진정한 문명은 대지에 뿌리 받은 전경인적 관점에서만 새로 건설할 수 있다는 자연 중심적 사상에 기초한다고 본다. 다시 원수성의 세계로의 회복에 대한 의지는 신비적 복고주의자로 볼 수 도 있지만 그의 과거에 대한 회상은 오늘날 우리의 현실을 대비시켜 우리 현실의 부조리와 민족적 모순을 해소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그것은 깨어있는 역사의식의 소산이었다.
Ⅳ. 참고문헌
김준오,『신동엽』,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이명희,『현대시와 신화적 상상력』, 새미, 2003
유재천, 「1960년대의 시」,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신정섭, 「대지를 아프게 한 못 하나 아버지 얼굴가에 그려넣고」, 1979
오윤정, 「신동엽 시 연구」,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김응교, 『시인 신동엽』, 현암사, 2005
김석영, 「신동엽 시의 서구 지배담론 거부와 대응」, 『상허학보』, 상허학회, 2005
김응교,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이동하, 「신동엽론 - 역사관과 여성관」,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香아> 일부
<香아>에서는 우리 풍속을 이야기하면서 토착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시에서 나타난 문명의 사물(기계, 비행기)과는 대비되는 것으로 우리가 다시 돌아가야 할 원수성의 세계로 한국의 원형적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복고주의가 아닌, 이미 한국인에게 내재되어 있지만 잊어버린 원형(원수성의 세계)을 여성 화자에게 말하는 형식으로 깨우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5. 서사 형식 : 장편 서사시 <금강>을 중심으로
<금강>은 모두 26장으로 이루어진, 4,800행의 대작이다. 4.19혁명과 3.1운동 그리고 동학혁명의 의미를 되새긴다. 신동엽은 이 세 가지를 사건을 하나로 연결하여 하나의 서사를 만든다. 주인공 신하늬는 민란의 주동자로 도망 다니다가 의병활동을 벌이는 인물이다. 여자주인공 인진아는 궁을 도망 나온 궁녀로 하늬와 사랑을 하게 되고, 동학에 입문한다. 특히 금강에는 기이한 출생을 하여 초혼에 실패하고 인진아를 만나는 신하늬와 동학에 입교했다가 조병갑의 학정에 아버지를 잃은 전봉준과의 만남과 헤어짐의 이야기도 나온다. 둘은 동학혁명으로 만났다가 혁명의 실패로 헤어진다. 동학혁명이 실패하자 신하늬는 아들을 남긴 뒤 죽음에 이르고, 전봉준은 체포 압송되어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다.
신동엽은 과거는 미래를 위한 거울이라는 사실을 강조했다. 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금강>의 후화1에 종로에서 마주친 한 소년의 이야기를 담는다.
밤 열한 시 반
종로5가 네거리
부슬비가 내리고 있었다.
통금에 쫓기면서 대폿잔에 하루의 노동을 위로한 잡담 속,
가시오 판 옆
화사한 네온 아래
무거운 멜빵 새끼줄로 얽어맨
소년이, 나를 붙들고
길을 물었다.
충청남도 공주 동혈산, 아니면
전라남도 해남 땅 어촌 말씨였을까,
죄없이 크고 맑기만 한
소년의 눈동자가
내 콧등 아래서 비에
젖고 있었다.
(생략) <금강> 후화1 일부
이 대목에서 신동엽은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온 소년의 누이가 거리에서 몸을 파는 여자가 아닐까 연관짓기도 하고, 소년의 아버지가 고층 건물 공사장에서 자갈 나르는 노동자가 아닐까 하고 독자에게 묻는다. 이것은 바로 1960년대 농촌에서 서울로 이주해 온 농민 가정의 모습이다. 아울러 동학혁명이 일어난 당시의 사회적인 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남아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과거와 현재의 문제를 함께 그려내면서 연속적인 현실로 이해하게 하는 데에 서사는 적절한 형식이었다.
6. 포용하는 여성의 이미지
신동엽은 여성을 화자나 청자로 내세울 뿐만 아니라, 여성의 이미지를 원수성의 세계의 상징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나는 밭, (중략)
누워서 기다리고 있어요 여자는 집, 누워 있는 집
씨가 뿌리질 때를 빨래를 한다, 여자는 양말이 아니라 남자의 마음
(중략) . 전장에서 살육하고 돌아온
선택하는 자유는 저한테 있습니다 남자의 마음
좋은 씨 받아서 . 그 피묻은 죄까지
좋은 신성 가꿔보고 싶으니까 (생략)
<여자의 삶> 일부
여인은 스스로 밭이라고 한다. 너무나도 익숙한 씨와 밭의 성적 이미지에서 본다면, 여인은 세상의 모든 것을 포용하고 포괄하는 위대한 어머니의 이미지에 결부된 모성이다. <여자의 삶>에서 ‘껍질만 벗겨 던지면 여성은 神’이라며 모성은 더 나아가 신성을 부여받는다.
이동하는 이를 두고 신동엽은 여성 억압적 가운데 하나를 아무런 반성 없이 되풀이한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했다. 그는 여자를 꼼짝도 못한 채 누워 있는 집으로 비유한 것을 지적했다. 이는 남성을 위하여 존재하는 자로 규정짓는 입장에 완강하게 집착해 있음을 증명한다고 본다. 여성에서 신비의 너울을 씌우는 방법은 시적인 태도로 고상할지 모르나, 이것이야말로 여성에 대한 억압을 영속화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의 하나로서 남성에 의해 줄기차게 애용되어 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동하, 「신동엽론 - 역사관과 여성관」,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pp. 459-460
여성을 누워있다고 표현한 것은 여자를 대지에 은유하기 위함으로 본다면, 누워있음은 부동이 아닌, 어머니의 포용하는 자세이다. 무엇보다 ‘선택하는 자유는 저한테 있습니다’라는 문구는 위의 주장을 무력하게 만든다.
<여자의 삶>은 도입부, 전개부, 결말부의 삼 단계 짜임을 가진다. 그는 도입부를 한 여자로 보여주고, 전개부에서는 한 여자를 한국의 여인으로 확대시켜 자신의 전경인정신을 반영시킨다. 그리고 결말부에서는 다시 먼젓번의 여인으로 돌아오도록 한다. 여기서 시정신은 역시 원수성 세계로 향하는 전경인을 생산하고자 하는 모성을 말하고 있다.
Ⅲ. 맺음말
신동엽은 냉전논리가 극심하게 기세를 떨치던 50년대 말에 등단하여 이후 10년간 당시 한국 시단 풍토에서 우리 현실의 부조리와 민족 모순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진정한 문명은 대지에 뿌리 받은 전경인적 관점에서만 새로 건설할 수 있다는 자연 중심적 사상에 기초한다고 본다. 다시 원수성의 세계로의 회복에 대한 의지는 신비적 복고주의자로 볼 수 도 있지만 그의 과거에 대한 회상은 오늘날 우리의 현실을 대비시켜 우리 현실의 부조리와 민족적 모순을 해소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그것은 깨어있는 역사의식의 소산이었다.
Ⅳ. 참고문헌
김준오,『신동엽』,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이명희,『현대시와 신화적 상상력』, 새미, 2003
유재천, 「1960년대의 시」, 『한국현대문학사』, 집문당, 2004
신정섭, 「대지를 아프게 한 못 하나 아버지 얼굴가에 그려넣고」, 1979
오윤정, 「신동엽 시 연구」,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김응교, 『시인 신동엽』, 현암사, 2005
김석영, 「신동엽 시의 서구 지배담론 거부와 대응」, 『상허학보』, 상허학회, 2005
김응교,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이동하, 「신동엽론 - 역사관과 여성관」, 『민족시인 신동엽』, 소명출판, 1999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문학연보(30-34)
사이버범죄에대한 정부와경찰의대응방안
선재미술관 관람 평
황순원 그는 누구인가
유비쿼터스에 대한 이해와 유비쿼터스 시대의 도래에 따른 생활 양식의 변화와 문제점 및 개...
[상표권]디지털화에 따른 도메인네임과 관련한 분쟁 및 대안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텍스트 분석
[학급신문][학급문집]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개념,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목적, 학급신문과 ...
WTO (World Trade Organization)
쇼핑몰 조사
우리사주제도와 개정사항에 대한 고찰
『동학이야기』가 말하는 동학사상[東學思想]을 토대로 본 한국 현대문학의 사상 (공장지대, ...
기업 마케팅 사례 분석 - CJ푸드빌의 새로운 한식 브랜드 『계절밥상』 (SWOT STP 7P) - 알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