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행정법의 일반원칙
I. 의의
II. 신뢰보호의 원칙
III. 비례원칙
IV.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V. 그 외의 원칙
통치행위
I. 의의
II. 근거
III. 범위
IV. 한계
V. 판례
공권
I. 의의
II. 국가적 공권
III. 개인적 공권
I. 의의
II. 신뢰보호의 원칙
III. 비례원칙
IV. 행정의 자기구속의 법리
V. 그 외의 원칙
통치행위
I. 의의
II. 근거
III. 범위
IV. 한계
V. 판례
공권
I. 의의
II. 국가적 공권
III. 개인적 공권
본문내용
위를 할 의무를 발생시키는 강행법규가 존재해야 한다.
(2) 법규가 공익뿐만 아니라 사익도 보호해야 한다.
4. 종류
기본권인 개인적 공권과 기본권이 아닌 개인적 공권, 실체적 개인적공권(자유권, 수익권, 참정권)과 절차적 개인적 공권으로 나눌 수 있다.
5. 개인적 공권의 특수성
개인적 공권은 단순히 개인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공익성과 상대성의 성질을 갖는다. 또 권리자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것일 때를 제외하고는 이전, 포기가 제한된다.
6. 공권의 확대화 경향
(1) 반사적 이익의 범위가 축소되고 종래 반사적 이익으로 보던 것을 법적 이익화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2) 국민의 기본권을 실체법뿐만 아니라 절차법적으로도 보장해야 한다는 법적권리화가 요구되었다.
(3)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 개인이 행정청에 대하여 흠 없는 적법한 재량처분을 구하는 적극적 공권을 말한다. 통설 판례는 긍정설을 따른다.
(4) 행정개입청구권 : 광의로는 사인이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행정청에 대하여 자기 또는 제3자에게 행정권을 발동해 줄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고, 협의로는 사인이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행정청이 제3자에게 행정권을 발동할 것을 청구하는 권리이다.
(2) 법규가 공익뿐만 아니라 사익도 보호해야 한다.
4. 종류
기본권인 개인적 공권과 기본권이 아닌 개인적 공권, 실체적 개인적공권(자유권, 수익권, 참정권)과 절차적 개인적 공권으로 나눌 수 있다.
5. 개인적 공권의 특수성
개인적 공권은 단순히 개인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공익성과 상대성의 성질을 갖는다. 또 권리자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것일 때를 제외하고는 이전, 포기가 제한된다.
6. 공권의 확대화 경향
(1) 반사적 이익의 범위가 축소되고 종래 반사적 이익으로 보던 것을 법적 이익화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2) 국민의 기본권을 실체법뿐만 아니라 절차법적으로도 보장해야 한다는 법적권리화가 요구되었다.
(3)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 : 개인이 행정청에 대하여 흠 없는 적법한 재량처분을 구하는 적극적 공권을 말한다. 통설 판례는 긍정설을 따른다.
(4) 행정개입청구권 : 광의로는 사인이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행정청에 대하여 자기 또는 제3자에게 행정권을 발동해 줄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고, 협의로는 사인이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행정청이 제3자에게 행정권을 발동할 것을 청구하는 권리이다.
추천자료
행정상 개인적 공권
공권과 반사적 이익
교육행정개혁의 발전방향
[행정법]특수한 개인적 공권으로서의 행정개입청구권
거부또는 부작위에 대한 공권의 성립여부
(역사 이야기-장의식저) 제11장 인간으로 본 종교의 역사 요약 정리,비평
헌법소송강의-헌법관과 통치구조론
경찰인사관리
행정법상 기속행위와 재량행위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따른 친일파 양성과 영향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환수에 관한 특별법 위헌여부
[반민족행위][반민족행위특별위원회][과거청산(과거사청산)][재산환수]반민족행위의 시각과 ...
글로벌 경영환경-아프리카 시장
[방통대 행정학과 4학년 통치의 기본구조 공통] 대통령의 권한을 설명하시기 바랍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