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장 시장 패턴의 진화
제6장 자기조정 시장 그리고 허구 상품 : 노동․토지․화폐
제6장 자기조정 시장 그리고 허구 상품 : 노동․토지․화폐
본문내용
인간과 자연환경의 운명이 순전히 시장 메커니즘 하나에 좌우된다면 결국 사회는 완전히 폐허가 될 것이다.
시장경제는 생산을 판매와 구매에 의해 조직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중상주의까지의 상업사회에서는 ‘선대제’에 참여한 상인들이 시장의 요구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생산이 이뤄질 수 있었다. 즉 18세기 말까지 서유럽에서는 산업 생산은 단지 상업의 부산물이었다. 그런데 기계가 정교해지고 공장제가 도입되면서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산업 생산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상업의 보조자 역할을 하던 산업이 이제 주도권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노동토지화폐의 지속적인 공급이 보다 중요해졌고, 이를 위해서는 이 세 가지는 연제든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이들의 조직 원리를 마치 상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즉 시장의 형태로 바꾸어야만 했다. 인간 사회는 이제 모든 면에서 경제 체제의 부속물이 되어버렸다.
영국 역사의 종획운동, 산업혁명은 거대한 사회적 혼란이었다. 그러나 전자가 공동체의 의해 감내될 수 있었던 반면, 후자는 거대하고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했다.
19세기 사회사는 이중적 운동(double movement)의 결과이다. 진짜배기 상품에 대해서는 시장적인 조직 방식을 확장해나가는 과정, 그리고 허구 상품에 대해서는 시장적 조직 방식을 제한하는 과정이 서로 나란히 나타났던 것이다. 사회는 시장경제 체제의 자기조정에 내재한 재난에 맞서 스스로를 보호했으니, 이것이 19세기 역사의 가장 포괄적인 특징이다.
시장경제는 생산을 판매와 구매에 의해 조직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중상주의까지의 상업사회에서는 ‘선대제’에 참여한 상인들이 시장의 요구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생산이 이뤄질 수 있었다. 즉 18세기 말까지 서유럽에서는 산업 생산은 단지 상업의 부산물이었다. 그런데 기계가 정교해지고 공장제가 도입되면서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산업 생산이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그 결과, 상업의 보조자 역할을 하던 산업이 이제 주도권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노동토지화폐의 지속적인 공급이 보다 중요해졌고, 이를 위해서는 이 세 가지는 연제든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되어야만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이들의 조직 원리를 마치 상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즉 시장의 형태로 바꾸어야만 했다. 인간 사회는 이제 모든 면에서 경제 체제의 부속물이 되어버렸다.
영국 역사의 종획운동, 산업혁명은 거대한 사회적 혼란이었다. 그러나 전자가 공동체의 의해 감내될 수 있었던 반면, 후자는 거대하고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끔찍했다.
19세기 사회사는 이중적 운동(double movement)의 결과이다. 진짜배기 상품에 대해서는 시장적인 조직 방식을 확장해나가는 과정, 그리고 허구 상품에 대해서는 시장적 조직 방식을 제한하는 과정이 서로 나란히 나타났던 것이다. 사회는 시장경제 체제의 자기조정에 내재한 재난에 맞서 스스로를 보호했으니, 이것이 19세기 역사의 가장 포괄적인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