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 론
1. 연구동기와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Ⅱ.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레의 선행은총론
1. 칼빈의 예정론
2.웨슬레의 선행은총론
Ⅲ. 예정론과 선행은총론의 비교
Ⅳ. 결론
참 고 문 헌
1. 연구동기와 목적
2. 연구방법과 범위
Ⅱ. 칼빈의 예정론과 웨슬레의 선행은총론
1. 칼빈의 예정론
2.웨슬레의 선행은총론
Ⅲ. 예정론과 선행은총론의 비교
Ⅳ.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구든지 구원의 길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주신 하나님의 은총에 자신의 구원을 위한 책임을 감당해야 함을 말한다. 칼빈과 웨슬레는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인” 자체에는 거의 일치 하지만, 의인의 조건인 믿음을 갖게 되는 은총이 적용에는 차이가 있다.
Ⅳ. 결론
결론적으로 두 은총론 사이의 근본적인 간격의 차이는 각각의 은총론이 형성된 배경을 이해하고, 인정할 때 두 은총론의 일치나 조화를 이룰순 없겠지만 서로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똑같은 하나님의 주권과 이간의 책임 앞에서 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는 것인데, 칼빈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을 말하고 있고, 웨슬레도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을 말하고 있다. 각 신학의 강조점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부분들을 수용해야 할 것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Davin N. Steele, Curtis C. Thomas, 「칼빈주의의 5대강령」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p. 34.
Lidstrom, 「웨슬레와 성화」, 전종옥 역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육국,1984), p. 40.
Calvin, John.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 「기독교 강요」 Vol.4, London: James Clarke & Co., 1962.
장경수. 「칼빈과 웨슬레의 구원론 비교연구」.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전경연. 「칼빈의 생애와 신학사상」. 서울: 한신대출판부, 1984.
조종남. 「존웨슬레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안수도, 「칼빈의 예정론」. 서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1984.
Ⅳ. 결론
결론적으로 두 은총론 사이의 근본적인 간격의 차이는 각각의 은총론이 형성된 배경을 이해하고, 인정할 때 두 은총론의 일치나 조화를 이룰순 없겠지만 서로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똑같은 하나님의 주권과 이간의 책임 앞에서 보는 관점에 차이가 있는 것인데, 칼빈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을 말하고 있고, 웨슬레도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을 말하고 있다. 각 신학의 강조점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부분들을 수용해야 할 것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Davin N. Steele, Curtis C. Thomas, 「칼빈주의의 5대강령」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p. 34.
Lidstrom, 「웨슬레와 성화」, 전종옥 역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육국,1984), p. 40.
Calvin, John. Institute of Christian Religion. 「기독교 강요」 Vol.4, London: James Clarke & Co., 1962.
장경수. 「칼빈과 웨슬레의 구원론 비교연구」. 대전: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1999.
전경연. 「칼빈의 생애와 신학사상」. 서울: 한신대출판부, 1984.
조종남. 「존웨슬레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6.
안수도, 「칼빈의 예정론」. 서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1984.
추천자료
웨슬리 성령론
칼뱅의 종교교육사상
칼빈주의 예정론
웨슬리의 종말론
웨슬리 형제의 성만찬 찬송
종교개혁의 가르침과 대조되는 요한 웨슬리의 신학적 특징을 소개하시오
칼뱅(Calvin)의 사상과 종교개혁
[신학][슐라이어마허][웨슬리][블로흐][리츨][스콜라][아모스]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신...
웨슬리 형제의 성만찬 찬송
[기독교]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생애와 그의 사상적 특징 등을 조사
한국의 성결교(The Holyness Church, 聖潔敎)와 웨슬리신학 - 한국성결교회의 역사, 웨슬리안...
은총의 교리
[기독교 윤리] 웨슬리의 경제윤리
기독교의 태동과 분파루터 생애 사상칼빈과 장로교청교도 운동메소디스트 운동미국의 성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