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한국 교육의 흐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절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1. 교육사의 개념 규정
 2. 교육사 연구의 목적
 3. 교육사 연구의 태도와 방법
 4. 교육사 연구 영역

제 2 절 한국 교육의 흐름
 1. 원시시대의 교육
 2. 삼국시대의 교육
 3. 고려시대의 교육
 4. 조선시대의 교육

본문내용

인격적인 존재로 대해야 한다고 주장
② 여성교육관 - 남녀 차별을 극복, 구속에서 벗어나 인간답게 살 것을 권고
5) 구한말의 근대교육
(1) 근대교육의 의미
- 개화교육
- 전통적 유교교육을 종식하고 서구의 신문화를 섭취하려는 교육을 총칭
(2) 근대학교의 성립과정
- 신교계 선교사들에 의해 세워진 미션스쿨들
1885, 광혜원(알렌)
1886, 배재학당(아펜젤러), 경신학교(언더우드), 이화학당(스크랜튼)
1894, 광성학교, 충실학교, 정의여학교
1906, 숭실학교 대학부 설립
1910, 이화학당 대학부 설립
기타 - 영명학교, 성은학교, 송도학교, 영흥학교, 숭일학교, 숭인학교, 영실학교, 보신학교, 보신여학교, 계성학교, 신명여학교
(3) 신학제의 제정과 관립학교의 건립
1894, 예조 폐지, 과거제 폐지, 학무아문
1895, 홍범14조, 한성사범학교 관제 공포
1905,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개칭, 수업연한 단축, 일어 부과
→ 이에 반해 민족의식 고취시키려는 민간인 사립학교들이 세워짐
6) 일제침략기의 식민지 교육
(1) 식민지 교육의 특징
① 일선동조론, 내선일체론 - 동화교육
② 신도사상 - 국가주의, 제국주의적 성격으로 참배 강요
③ 우민화 교육 - 한국인을 바보스러운 사람으로 만드는 교육
④ 우리의 글, 말의 말살, 역사 왜곡
⑤ 복선형 - 일본인, 한국인이 다니는 학교 분리하여 규정한 학교 제도
⑥ 엄격한 중앙집권적 제도 하에 식민지 교육행정 이루어짐
⑦ 사립보다는 관립, 공립학교를 우위에 두어 자주의식, 독립심 육성 차단
(2) 일제침략기 교육의 구분
① 식민지교육 준비기(1910년 이전)
- ‘한일외국인고문용빙에 관한 협정’ - 교육에 행정적으로 직접 관여
- 목적 : 민족의 독립의식 없애고 일본어 교육으로 자주성 말살
② 식민지교육 추진기(1910~1919)
- 식민지적 제 요인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 식민지적 인간상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정책
- 내용 : 한국인일 황국신민으로, 한국문화 말살, 식민지 경영위한 실업교육 강화
- 교사, 교과서, 교과과정 규제, 반항 시 폐쇄
③ 식민지교육 본격화기(1919~1938)
- 문화정치를 표방하여 회유, 융화 정책
- 교묘한 논리로 식민교육정책 펼침
④ 황민화 교육 정책기(1938~1945)
- ‘황국신민화’ - 한국인의 노예화, 일본어 상용 강요, 일상생활의 일본화, 창씨개명 등
- 목적 : 천황제사상을 주입하여 한국 청소년의 황국민화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2.0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6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