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문 가사와 한문 가사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참고 문헌>
2. 전고(典考)
3. 국어학적 분석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른 부사를 수식한다.
‘뉘’는 대명사 ‘누’ 뒤에 주격 조사 ‘-ㅣ’가 결합했다. ‘請니’는 ‘請다’의 어간에 반말의 평서형 종결 어미 ‘-니’가 결합했다. ‘
지금까지 살펴본 <용비어천가> 제18장을 현대어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여산으로 가는 역도를 잃으시어, 집으로 돌아오실 때에 열 사람의 마음을 하늘이 달래시니.
서울 사자를 꺼리시어 바다를 건너실 때에 이백호를 어느 누구가 청하니.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
‘뉘’는 대명사 ‘누’ 뒤에 주격 조사 ‘-ㅣ’가 결합했다. ‘請니’는 ‘請다’의 어간에 반말의 평서형 종결 어미 ‘-니’가 결합했다. ‘
지금까지 살펴본 <용비어천가> 제18장을 현대어로 바꾸면 다음과 같다.
여산으로 가는 역도를 잃으시어, 집으로 돌아오실 때에 열 사람의 마음을 하늘이 달래시니.
서울 사자를 꺼리시어 바다를 건너실 때에 이백호를 어느 누구가 청하니.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2011, 집문당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문법”, 2010, 두산동아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이론편”, 2010, 교학연구사
이관규, “학교 문법론”, 2007, 월인
허웅, “우리 옛말본” 1975, 샘문화사
허웅. “용비어천가”, 1955, 정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