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고령자에서 외상이 많은 이유
2.고령자 외상의 특성
3.고령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
(1)순환기 계통
(2)호흡기 계통
(3)내분비 계통
(4)약물복용에 따른 변화
①이뇨제
②β-blocker, calcium channel blocker
4.고령자 외상의 치료원칙
(1)충분한 환자감시
(2)순환기능 유지
2.고령자 외상의 특성
3.고령화에 따른 생리적 변화
(1)순환기 계통
(2)호흡기 계통
(3)내분비 계통
(4)약물복용에 따른 변화
①이뇨제
②β-blocker, calcium channel blocker
4.고령자 외상의 치료원칙
(1)충분한 환자감시
(2)순환기능 유지
본문내용
한 환자감시
-장비를 이용해 초기부터 환자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평가해야 한다. 초기부터 invasive monitoring을 시행하면 생존률은 5~7배까지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2)순환기능 유지
-혈압이 저하된 경우 1,500~2,000 ml의 Ringer's lactate solution을 투여하고 계속 혈압이 낮으면 수혈을 시행한다. 수혈을 시행하는 경우 모든 고령자에게서 폐동맥 도자나 동맥삽관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WP가 15mmHg이상 시는 산소공급량을 유지하기 위해 inotropic agent를 투여한다.
①지속적인 산소포화도 측정
②심전도 감시
③지속적인 혈압 측정
④시간당 소변량 측정
⑤가능하면 동맥관삽입과 페동맥 도자를 시행한다.
-고령자 외상시에 감시할 사항
-장비를 이용해 초기부터 환자상태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평가해야 한다. 초기부터 invasive monitoring을 시행하면 생존률은 5~7배까지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2)순환기능 유지
-혈압이 저하된 경우 1,500~2,000 ml의 Ringer's lactate solution을 투여하고 계속 혈압이 낮으면 수혈을 시행한다. 수혈을 시행하는 경우 모든 고령자에게서 폐동맥 도자나 동맥삽관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WP가 15mmHg이상 시는 산소공급량을 유지하기 위해 inotropic agent를 투여한다.
①지속적인 산소포화도 측정
②심전도 감시
③지속적인 혈압 측정
④시간당 소변량 측정
⑤가능하면 동맥관삽입과 페동맥 도자를 시행한다.
-고령자 외상시에 감시할 사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