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카이로프랙틱의 역사
2. 카이로프랙틱의 치료이론
①전위와 교정
②리스팅
③보상
3. 카이로프랙틱과 골격
1)척추와 골반의 구조
①가동추-경추, 흉추, 요추
②부동추-골반,관골,선골,미골
③추간판
④만곡
⑤척주의 관절
2)척주의 기능
①척추의 기능
②추간판의 기능
4. 카이로프랙틱 시술 시 주의사항
5. 참고문헌
1. 카이로프랙틱의 역사
2. 카이로프랙틱의 치료이론
①전위와 교정
②리스팅
③보상
3. 카이로프랙틱과 골격
1)척추와 골반의 구조
①가동추-경추, 흉추, 요추
②부동추-골반,관골,선골,미골
③추간판
④만곡
⑤척주의 관절
2)척주의 기능
①척추의 기능
②추간판의 기능
4. 카이로프랙틱 시술 시 주의사항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되며 전방, 후방 및 측방으로의 척추 운동이 가능하다. 부위에 따라 그 끝이 뾰족하기도 하고 둔하기도 한 극돌기가 후방으로 돌출하고 양 측방으로는 횡돌기가 돌출되어 있다.
①가동추
경추(7개)
추체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횡돌기가 있고, 뒤로는 극돌기가 있어서 경추의 특성인 이분극돌기를 가지고 있다. 상,하로는 관절 돌기가 있어서 상,하 경추간에 관절을 이룬다.
-1경추는 환추로서 추체가 없으며 두개골과 환추후두관절을 이룬다.
-2경추는 축추로서 머리의 화전운동을 가능케 한다.
-7경추인 융추는 척추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심점이 된다.
흉추(12개)
흉곽의 후부에 위치하며 늑골두와 늑골결절의 두 부위에서 늑골과 관절한다. 극돌기가 다른 추체에 비해 하향되어 있으며, 추체에 비해 극돌기가 유난히 길다.
요추(5개)
허리의 가장 섬세한 부분을 지지한다. 요추는 극돌기나 횡돌기 외에 유두돌기와 부돌기 등 많은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추체가 크고 두터워서 척추의 약 1/2이나 된다. 선괄과 만나
요선관절을 이룬다.
②부동추
골반
↗대골반 : 복강내의 내장을 받치고 있어서 가성골반이라고 한다.
↘소골반 : 방광, 자궁 등의 골반내 비뇨생식기를 보호하고 있어 진성골반이라고 한다.
관골 : 장골, 좌골 및 치골로 구성되며, 어렸을 때는 이 3개의 뼈가 관골구를 중심으로 Y자형의 연골에 의해 분리되 어 있었으나, 성인에서는 골결합에 의해 한 개의 관골이 되었다.
선골과 미골
요추의 밑에 위치하며, 천골은 5개로 갈라진 천추들이 결합하고 미골은 4-5개의 미추들이 결합 하였다. 선골과 장골이 만나 선상관절을 이룬다.
③추간판 : 상하 두 개의 추골사이에 위치하고 섬유륜과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 전종 인대와 뒤 후종인대로 둘러싸고 있다. 추간판의 두께는 경부에서는 얇고, 흉추에서 요추의 척주하부로 감에 따라 두께가 늘어난다.
④만곡 : 중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분산하고, 척주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무게균형을 유지 하기 위해 척주는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으로 만곡을 가지고 있다.
↗선천적 만곡(1차만곡) : 흉부와 선골부 만곡
↘후천적 만곡(2차만곡) : 경부와 요부의 만곡
⑤ 척주의 관절
평면관절 : 관절면이 평면에 가까운 상태로 손과 발목관절, 척추간 관절, 경비관절 등이 있다.
반가동 관절 : 두 뼈 사이에 연골조직이 끼어 있는 관절로서 연골성 관절이라하여 약간 의 운동이 가능하다.
2)척주의 기능
①척추의 기능
체중 지지한다.
흉복부의 중요기관을 보호한다.
두개 지지한다.
척수를 보고한다.
자세를 유지한다.
②추간판의 기능
C2에서 선골까지의 추체를 연결한다.
체중 지지를 한다.
척주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 완화한다.
추간판의 전부와 후부의 두께 정도로 척주의 생리적만곡 형성을 조성하고 있다.
4. 카이로프랙틱 시술 시 주의 사항
척추 검사를 바르게한다.
CP와 SCP를 정확히 한다.
무리한 힘을 사용하거나 가하지 않는다.
환자의 힘을 빼게 한다.
순간 급압의 방향을 바르게 한다.
일회의 치료로 교정이 잘 되지 않는다고 같은 부위를 여러번 급압하지 않는다.
전위가 일어난지 오래되었는지 비교적 새로운 것인지 판단하여 행한다. 오래된 때는 무리 를 하지 말고 조금씩 횟수를 거듭하여 교정한다.
순간적인 급압을 가하여 교정한다.
척주의 암 전이 시 수기치료를 금기한다.
만성관절 류마티스 경추 시 수기요법을 금기한다.
골다공증의 경우 칼슘치료를 동반한 숙련도 있는 치료가 필요하다.
5. 참고자료
해부생리학 /구자영 외 / 성화 (2003)
초보자를 위한 카이로프랙틱 / 김명일,박용만 공저 / 금광미디어 (2008)
카이로프랙틱 개론 / 스즈끼세이쿄오 /금광미디어 (2008)
①가동추
경추(7개)
추체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횡돌기가 있고, 뒤로는 극돌기가 있어서 경추의 특성인 이분극돌기를 가지고 있다. 상,하로는 관절 돌기가 있어서 상,하 경추간에 관절을 이룬다.
-1경추는 환추로서 추체가 없으며 두개골과 환추후두관절을 이룬다.
-2경추는 축추로서 머리의 화전운동을 가능케 한다.
-7경추인 융추는 척추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심점이 된다.
흉추(12개)
흉곽의 후부에 위치하며 늑골두와 늑골결절의 두 부위에서 늑골과 관절한다. 극돌기가 다른 추체에 비해 하향되어 있으며, 추체에 비해 극돌기가 유난히 길다.
요추(5개)
허리의 가장 섬세한 부분을 지지한다. 요추는 극돌기나 횡돌기 외에 유두돌기와 부돌기 등 많은 돌기를 가지고 있으며, 추체가 크고 두터워서 척추의 약 1/2이나 된다. 선괄과 만나
요선관절을 이룬다.
②부동추
골반
↗대골반 : 복강내의 내장을 받치고 있어서 가성골반이라고 한다.
↘소골반 : 방광, 자궁 등의 골반내 비뇨생식기를 보호하고 있어 진성골반이라고 한다.
관골 : 장골, 좌골 및 치골로 구성되며, 어렸을 때는 이 3개의 뼈가 관골구를 중심으로 Y자형의 연골에 의해 분리되 어 있었으나, 성인에서는 골결합에 의해 한 개의 관골이 되었다.
선골과 미골
요추의 밑에 위치하며, 천골은 5개로 갈라진 천추들이 결합하고 미골은 4-5개의 미추들이 결합 하였다. 선골과 장골이 만나 선상관절을 이룬다.
③추간판 : 상하 두 개의 추골사이에 위치하고 섬유륜과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 전종 인대와 뒤 후종인대로 둘러싸고 있다. 추간판의 두께는 경부에서는 얇고, 흉추에서 요추의 척주하부로 감에 따라 두께가 늘어난다.
④만곡 : 중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분산하고, 척주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고 무게균형을 유지 하기 위해 척주는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으로 만곡을 가지고 있다.
↗선천적 만곡(1차만곡) : 흉부와 선골부 만곡
↘후천적 만곡(2차만곡) : 경부와 요부의 만곡
⑤ 척주의 관절
평면관절 : 관절면이 평면에 가까운 상태로 손과 발목관절, 척추간 관절, 경비관절 등이 있다.
반가동 관절 : 두 뼈 사이에 연골조직이 끼어 있는 관절로서 연골성 관절이라하여 약간 의 운동이 가능하다.
2)척주의 기능
①척추의 기능
체중 지지한다.
흉복부의 중요기관을 보호한다.
두개 지지한다.
척수를 보고한다.
자세를 유지한다.
②추간판의 기능
C2에서 선골까지의 추체를 연결한다.
체중 지지를 한다.
척주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 완화한다.
추간판의 전부와 후부의 두께 정도로 척주의 생리적만곡 형성을 조성하고 있다.
4. 카이로프랙틱 시술 시 주의 사항
척추 검사를 바르게한다.
CP와 SCP를 정확히 한다.
무리한 힘을 사용하거나 가하지 않는다.
환자의 힘을 빼게 한다.
순간 급압의 방향을 바르게 한다.
일회의 치료로 교정이 잘 되지 않는다고 같은 부위를 여러번 급압하지 않는다.
전위가 일어난지 오래되었는지 비교적 새로운 것인지 판단하여 행한다. 오래된 때는 무리 를 하지 말고 조금씩 횟수를 거듭하여 교정한다.
순간적인 급압을 가하여 교정한다.
척주의 암 전이 시 수기치료를 금기한다.
만성관절 류마티스 경추 시 수기요법을 금기한다.
골다공증의 경우 칼슘치료를 동반한 숙련도 있는 치료가 필요하다.
5. 참고자료
해부생리학 /구자영 외 / 성화 (2003)
초보자를 위한 카이로프랙틱 / 김명일,박용만 공저 / 금광미디어 (2008)
카이로프랙틱 개론 / 스즈끼세이쿄오 /금광미디어 (20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