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자는 깊이 있는 자기 성찰과 이론적 지식이 풍부해야 합니다. 좋은 상담자가 되기 위해 내가 더욱 살릴 나의 장점과 좀 더 노력하고 보완해야 할 점을 찾아 봅시다.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내담자가 치료를 받으러 왔다고 미숙한 대처로 더 큰 마음의 상처나 불안을 상담자가 야기시킬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외상의 경우, 수술과 치료로 그 상처 자국을 완전히 남지 않게 만들 수는 있지만 상담이 잘못된 경우 마음의 상처자국은 쉽게 지울 수 없을 것입니다.
상담자의 전문성은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이고 기초적인 덕목입니다. 이는 의사가 의료지식을 당연히 알아야 하는 것처럼, 누군가 대신할 수 없는 그런 전문적인 지식을 항상 숙지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더 나아가 지식을 아는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제대로, 적시에 활용할 줄 알아야겠습니다.
-참고자료-
아동상담(이론과 실제) / 김춘경
상담심리학 / 김계현
카운슬링의 실제 / 김계현
상담의 이론적 접근 / 이형득
  • 가격3,3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2.03.21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1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