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하디-와인버그 법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날짜

3. 실험 조원

4. 실험 준비물

5. 서론

1) 혈액형

2) 하디-와인버그의 법칙(Hardy weinberg equilibrium)

6. 실험 방법

7. 결과 및 관찰

8. 고찰

9. 참고문헌

본문내용

, 계산한 값은 아래와 같았다.
그런데 로 , , 의 합은 1이 나오지 않았다.
다음으로 우리 조인 3조의 혈액형 빈도와 유전자 빈도를 계산하였다.
조별 혈액형 빈도와 유전자 빈도 계산에서도 마찬가지로 , , 의 합은 1이 나오지 않았다.
유전자 빈도의 합이 1이 나오지 않은 이유를 하디-와인버그의 법칙의 6가지 가정을 바탕으로 생각해보았다. 집단이 무작위적으로 이루진 것이 아니라 임의적 집단이었으며, 표본으로 잡은 집단의 크기 또한 충분히 크지 않았다. 그리고 돌연변이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정 또한 무시할 수 없으므로 실험한 표본 집단의 유전자 빈도의 합이 1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9. 참고문헌
1) 서울 아산병원, http://amc.seoul.kr/dept/bbs/view.do?dtCode=D103&dtType
=B&menuId=6460&id=68843
2) 네이버 백과사전, ABO식 혈액형[ABO blood group], http://100.naver.com/100.
nhn?docid=110952
3) 다니엘, 2007, 유전체 전망대에서 바라본 필수유전학 4판, 제14장 분자적 진화와 집단유전학, 504~507page, 월드사이언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26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