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다원시대의 기독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다원시대의 기독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종교다원주의의 기원과 배경
2. 종교적 다원주의의 관계
3. 다원주의의 허구성
4. 다원주의적 시대정신
5. 타종교인에 대한 사랑과 협력
6. 타종교의 가치
7. 타종교와의 평화로운 경쟁

Ⅲ. 결론

본문내용

타종교와 신사적으로 경쟁해야 한다. 인류사회에서 선의의 경쟁은 불가피하며, 또한 결과적으로는 사회에 도움이 된다. 여러 종교가 공존하면서 평화롭게 경쟁하는 것은 다원적 혹은 포스트모던적 사고에도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종교적 다원주의란 단지 배타적 종교에 부정적일뿐 여러 종교를 인정한다는 전제에 근거하고 있다. 종교란 정치나 군사와 달라서 강제력이나 무력으로 목적을 달성하지도 않으며 경제나 상업과 달라서 돈이나 마케팅기술에 의존하지도 않는다. 종교는 영적 감화와 설득이라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며, 보다 평화롭고 온유한 방식으로 초청한다. 타종교인에게 전도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다원적 사회에서 여러 종교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선택을 하거나 심지어 교체를 하는 것은 공정하고 민주적이다. 물론, 이미 타종교를 선택하였고 더욱이 성직자나 독실한 신자인 경우 무례하게 그 종교를 매도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단지 자기 종교를 성실하게 전하면 된다. 물론, 본인이 듣기를 원하지 않으면 강요할 수 없다. 종교간에는 상호에게 적용되는 호혜적 불문율이 있어서, 상식과 예의를 거스려서는 안 된다. 강요와 억지가 현대인의 전도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겸손과 사랑, 그리고 인격적 매력과 모범이 전도를 성공하게 만든다. 효과적인 전도는 전도대상을 잘 이해하고 그가 수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자세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모두에게는 성령의 시간이 있다. 전도는 우리의 의무이지만, 회심은 성령의 역사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
Ⅲ. 결론
다원주의는 시대적 상황의 산물이라고 말하나 초대교회도 다원적 종교와 문화에서 시작되었고 발전되었다. 그러나 박해받는 배타주의가 도리어 신앙의 생명과 순수성과 전도의 열정으로 넘쳐서 국교회 시대 보다 확장되었다. 순교는 오직 배타적 신앙에서 발생한다. 19세기 서구 기독교는 배타적 신앙의 절정기이다. 바로 이때 부흥운동이 일어났고, 선교가 활발하였으며 사회봉사와 복지가 정착하도록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아시아 기독교 신자들은 사실 동양 종교의 희생자들이다. 만약 아시아 종교가 진리이고 좋다면 왜 우리는 고난을 무릅쓰고 기독교로 개종하였는가? 아시아 기독교인들, 특히 복음적 신자들은 더 과거 종교를 거부한다. 다원주의는 신 중심에서 인간 중심으로, 이성에서 감정으로, 객관주의에서 실존주의로, 확신보다 견해를 더 중시하는 시대 풍조의 산물이다. 국제정치학자들이 아시아 종교가 정치, 경제, 사회에 미친 부정적 결과를 논하는 많은 글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인도네시아 진보적 신학자 Yewangoe는 아시아에서는 아시아 종교로부터 해방이 없이는 진정한 해방은 불가능하다는 이론은 음미할 진리이다. 현대는 종교적 관용이 새로운 우상이 된다고 하지만 아시아는 관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배타적 구원관의 교인들이 교만할 곳이 아시아에서는 없다
참고문헌
A.피어리스, 『아시아의 해방신학』, 성염 역, 분도출판사, 1988.
D.G. 도오·J.B. 카먼 편, 『종교 다원주의와 기독교 신앙』, 한숭흥 역, 나눔사, 1993.
D.죌레, 『현대 신학의 패러다임』, 서광선 역, 한국신학연구소, 1993.
E.샤프,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역사적 이해」, 『기독교 사상』(1992/11),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F.번햄 편, Postmodern Theology: Christian Faith in a Pluralist World (1989), Frederic B.Burnharm(ed.), 세계 신학 연구원; 『포스트 모던 신학』, 서울, 조명, 1990.
H.R.슐렛테 『신학적 주제로서의 종교―종교신학의 정립을 위하여』, 정은순 역, 김승혜 감수, 분도출판사, 1984.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6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