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의대형화_항만_운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국제물류론(선박의 대형화에 따른 항만 및 운하)

1. 선박의 대형화

□ 컨테이너 선박의 발전

□ 컨테이너 선박의 발전

□ 컨테이너선의 운항현황

□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전망

□ 대형화가 해운에 미치는 영향

□ 대형화의 한계

2. 운 하

□ 수에즈 운하

□ 파나마 운하

□ 니카라과 운하

<출 처>

본문내용

1. 선박의 대형화

□ 컨테이너 선박의 발전
○ 미국 Sea Land사가 1957년 휴스톤과 뉴욕항 사이의 연안 수송에 소형
탱크선을 개조한 최초의 컨테이너선 ‘Gate Way City’호를 투입함으로써
처음 시작
○ 이후 Sea Land사는 1966년 4월 대서양 항로(뉴욕-유럽)에 풀 컨테이너선
‘Fairland’호를 투입, 국제 해상에 컨테이너 수송시대를 개막
.
.
.

1. 선박의 대형화

□ 컨테이너 선박의 발전
○ 수에즈막스(Suezmax)
▶ ‘Suez Canal Maximum’의 준말
▶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선형
▶ 135~150천 DWT까지의 선박을 말하며 주로 Tanker에만 사용
▶ 실제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는 폭 54m, 흘수 16m
선박들까지 운항
○ 파나막스(Panamax)
▶ 재화중량 톤수 65∼73천DWT정도(대략 70천DWT 내외)
▶ 폭이 32.2m, 만재흘수 12m 이하의 선박
▶ Bulk carrier로서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 크기
▶ 과거에는 통상 56∼64천 DWT 규모의 선박이 이에 해당
▶ Liner(정기운항)적 요소가 강함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2.04.03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7375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