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이유 ······································································· 2
2 현 문제점의 대안, ‘공동육아’ ········································· 3
3 공동육아가 시작된 배경 ·················································· 4
4 공동육아와 일반 유치원 비교 ······································· 5
5 공동육아의 특징적인 부분 ············································ 15
6 인터뷰 ····················································································· 16
7 공동육아의 한계점 ··························································· 17
8 참고문헌 ··············································································· 18
2 현 문제점의 대안, ‘공동육아’ ········································· 3
3 공동육아가 시작된 배경 ·················································· 4
4 공동육아와 일반 유치원 비교 ······································· 5
5 공동육아의 특징적인 부분 ············································ 15
6 인터뷰 ····················································································· 16
7 공동육아의 한계점 ··························································· 17
8 참고문헌 ··············································································· 18
본문내용
같이 아이를 키우고 교육하면 자신의 아이를 더 편애하는 마음이 들거나 더 잘해주고 싶은 마음이 들지는 않을까요?
A. 이 질문의 핀트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아마활동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항으로 생각하겠다. 일단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물론 내 아이가 더 예쁜 건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공동육아의 아마활동를 하면서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내 아이를 더욱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마활동을 하는 중에는 내 아이와 다른 아이가 싸우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중립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아마활동에서는 누구누구 엄마 아빠가 아니라 모두의 엄마 아빠이기 때문이다.
Q. 일반 어린이 집과의 차이점은 커리큘럼의 차이인가요?
또 다른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커리큘럼의 차이뿐만 아니라 기반하고 있는 철학도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덫붙여 말하자면 먹거리 같은 경우도 이제는 일반 유치원에서도 실시하는 부분이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부분 중에 하나다.
Q. 나들이를 매일 나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나들이는 공동육아의 매일매일의 삶이다. 어린이집 문을 나가서 목적지까지 갔다가 돌아오기까지의 전 과정은 아이들에게 보고 듣고 느낄 거리다. 아이들은 이 속에서 나무에 이름을 지어주거나 길의 이름을 나름대로 지어주는 등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관계를 맺고 지낸다.
Q. 나들이의 장소는 특정한 의미를 두고 정하시는 건가요?
A. 특정한 의미가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한다. 공동육아 어린이집은 도심한복판에 있는 경우도 있고 주택가에 있는 경우, 산 속에 있는 경우 등 다양한 곳에 있는데 아무리 생태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할 지 라도 도심 한복판에 있는 어린이집 아이들이 차를 타고 산속으로 몇 시간씩 갈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럴 경우는 주변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공원에서 논다거나 학교 운동장, 동네를 둘러보는 것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Q. 나들이를 통해서 아이들에게 오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시거나 직접 경험하신 적이 있나요?
A. 일단 아이들이 굉장히 튼튼해진다. 성격적으로도 밝아지기도 하고 맨 처음에는 산에 안 간다고 떼쓰고 힘들어서 몸이 아팠던 애들이 조금만 지나면 훌쩍 건강해져있어서 어른들을 능가하는 경우도 생긴다.
Q. 일반 어린이집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는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A. 공동육아에서는 경쟁이라는 것이 추구하는 주된 가치가 아니다. 이러한 질문을 많은 사람들이 하는데 공동육아를 나왔다고 해서 더 좋은 대학을 가고 일반 유치원 출신 아이들에게 있어서 더욱 우위가 있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 가치를 추구한다. 이러한 점들이 아이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가족의 화합에 도움이 된다.
7 공동육아의 한계점
앞에서 공동육아가 현대의 아이들이 직면해 있는 자기중심성의 과다,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는 공동체의 부적응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는 점들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공동육아가 현대의 아이들을 위한 교육으로 자리잡는 것에 있어 몇 가지 한계점을 발견하였다.
하나. 다수의 의견을 수렴한 민주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여력을 투자하게 되어 조직 운영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둘. 비영리적 운영형식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고 조합원들에게 교육비 부담이 많음
셋. 부모참여활동인 아마제도가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으로 특히 직장을 가진 부모에게는 부담
넷. 유아의 흥미를 중시한 체험교육을 중시하지만, 하루 일과에서 주제에 따른 통합적인 교육활동의 체계성 부족
다섯. 유아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는 교육적 환경과 비형식적인 교육방법으로 진정한 공동체성을 함양한다는 것은 한계
여섯. 나들이가 단순한 체험적 인식에 머무르지 않으려면 다양한 경험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교육활동과의 통합이 필요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한다면 ‘공동육아’는 우리 아이들이 더불어 사는 사회에 성공적으로 녹아들 수 있는 좋은 교육이 되지 않을까? 아직 시작의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은 만큼 공동육아가 한계점들을 하나 둘 씩 보완해나가며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즐거운 교육으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8 참고문헌
우희숙 (2005), 「학교폭력 피해자의 관련 요인 분석」, 순천향대산업정보대학원
이부미(1999), 「공동육아 "나들이" 활동의 교육적 과정과 의미: 참여관찰 연구」, 한국열린 유아교육학회
이부미(2000),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병호(199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와 바람직한 공동육아-인류학적 시각」,삼성복지재단
송우영(2008), 「공동육아 시설의 생태적 식생활 프로그램이 부모 인식과 자녀 식생활 지도 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화(2005), 「공동육아의 대안교육모델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 경산:영남대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부미(2001), 『놀면서 자라고 살면서 배우는 아이들』, 또 하나의 문화
공동육아연구원(1994), 『함께 크는 우리아이』, 또하나의문화
공동육아연구원(2001), 『코뿔소 나들이 가자』, 또하나의문화
공동육아 인터넷 사이트(www.gongdong.or.kr )의 공동육아 협동 조합 현황자료
2011년도 보건사업 안내(보건복지부) http://www.judong.co.kr/72723
<학교폭력에 우는 새싹… 피해자 54% “초등학교 때부터 맞았다”> 헤럴드 생생 뉴스 사회 2011.05.05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504000916)
<흉기까지 동원된 학교 폭력사건> - KBS 9시 뉴스 (2006.11.04)
이기범(1998), “참여민주주의와 지역사회 중심의 보육을 통한 보육복지의 경쟁력 제고” , 영유아 보육제도 개혁방안 토론자료, 한국 아동 인구 환경 의원 연맹
의정부 소슬유치원 http://www.sosl.kg.kr/s3-2.htm
예일유치원 http://www.yale.kg.kr/
남의 아이 잘 키워야 내 아이도 되는 ‘공동육아의 원리’ 내일신문 칼럼 (2011.05.18.)
A. 이 질문의 핀트가 무엇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아마활동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항으로 생각하겠다. 일단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물론 내 아이가 더 예쁜 건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공동육아의 아마활동를 하면서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내 아이를 더욱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마활동을 하는 중에는 내 아이와 다른 아이가 싸우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는 중립성을 지키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아마활동에서는 누구누구 엄마 아빠가 아니라 모두의 엄마 아빠이기 때문이다.
Q. 일반 어린이 집과의 차이점은 커리큘럼의 차이인가요?
또 다른 것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커리큘럼의 차이뿐만 아니라 기반하고 있는 철학도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덫붙여 말하자면 먹거리 같은 경우도 이제는 일반 유치원에서도 실시하는 부분이 많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부분 중에 하나다.
Q. 나들이를 매일 나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나들이는 공동육아의 매일매일의 삶이다. 어린이집 문을 나가서 목적지까지 갔다가 돌아오기까지의 전 과정은 아이들에게 보고 듣고 느낄 거리다. 아이들은 이 속에서 나무에 이름을 지어주거나 길의 이름을 나름대로 지어주는 등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관계를 맺고 지낸다.
Q. 나들이의 장소는 특정한 의미를 두고 정하시는 건가요?
A. 특정한 의미가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한다. 공동육아 어린이집은 도심한복판에 있는 경우도 있고 주택가에 있는 경우, 산 속에 있는 경우 등 다양한 곳에 있는데 아무리 생태적인 교육이 중요하다고 할 지 라도 도심 한복판에 있는 어린이집 아이들이 차를 타고 산속으로 몇 시간씩 갈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럴 경우는 주변에 인공적으로 조성된 공원에서 논다거나 학교 운동장, 동네를 둘러보는 것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Q. 나들이를 통해서 아이들에게 오는 긍정적인 영향을 보시거나 직접 경험하신 적이 있나요?
A. 일단 아이들이 굉장히 튼튼해진다. 성격적으로도 밝아지기도 하고 맨 처음에는 산에 안 간다고 떼쓰고 힘들어서 몸이 아팠던 애들이 조금만 지나면 훌쩍 건강해져있어서 어른들을 능가하는 경우도 생긴다.
Q. 일반 어린이집과 비교했을 때 경쟁력이 있는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
A. 공동육아에서는 경쟁이라는 것이 추구하는 주된 가치가 아니다. 이러한 질문을 많은 사람들이 하는데 공동육아를 나왔다고 해서 더 좋은 대학을 가고 일반 유치원 출신 아이들에게 있어서 더욱 우위가 있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 가치를 추구한다. 이러한 점들이 아이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과 가족의 화합에 도움이 된다.
7 공동육아의 한계점
앞에서 공동육아가 현대의 아이들이 직면해 있는 자기중심성의 과다, 타인을 배려하지 못하는 공동체의 부적응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는 점들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공동육아가 현대의 아이들을 위한 교육으로 자리잡는 것에 있어 몇 가지 한계점을 발견하였다.
하나. 다수의 의견을 수렴한 민주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여력을 투자하게 되어 조직 운영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둘. 비영리적 운영형식으로 재정적인 어려움이 있고 조합원들에게 교육비 부담이 많음
셋. 부모참여활동인 아마제도가 선택이 아닌 의무사항으로 특히 직장을 가진 부모에게는 부담
넷. 유아의 흥미를 중시한 체험교육을 중시하지만, 하루 일과에서 주제에 따른 통합적인 교육활동의 체계성 부족
다섯. 유아의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는 교육적 환경과 비형식적인 교육방법으로 진정한 공동체성을 함양한다는 것은 한계
여섯. 나들이가 단순한 체험적 인식에 머무르지 않으려면 다양한 경험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교육활동과의 통합이 필요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한다면 ‘공동육아’는 우리 아이들이 더불어 사는 사회에 성공적으로 녹아들 수 있는 좋은 교육이 되지 않을까? 아직 시작의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은 만큼 공동육아가 한계점들을 하나 둘 씩 보완해나가며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즐거운 교육으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
8 참고문헌
우희숙 (2005), 「학교폭력 피해자의 관련 요인 분석」, 순천향대산업정보대학원
이부미(1999), 「공동육아 "나들이" 활동의 교육적 과정과 의미: 참여관찰 연구」, 한국열린 유아교육학회
이부미(2000),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서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병호(199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와 바람직한 공동육아-인류학적 시각」,삼성복지재단
송우영(2008), 「공동육아 시설의 생태적 식생활 프로그램이 부모 인식과 자녀 식생활 지도 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서울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화(2005), 「공동육아의 대안교육모델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 경산:영남대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이부미(2001), 『놀면서 자라고 살면서 배우는 아이들』, 또 하나의 문화
공동육아연구원(1994), 『함께 크는 우리아이』, 또하나의문화
공동육아연구원(2001), 『코뿔소 나들이 가자』, 또하나의문화
공동육아 인터넷 사이트(www.gongdong.or.kr )의 공동육아 협동 조합 현황자료
2011년도 보건사업 안내(보건복지부) http://www.judong.co.kr/72723
<학교폭력에 우는 새싹… 피해자 54% “초등학교 때부터 맞았다”> 헤럴드 생생 뉴스 사회 2011.05.05 (http://biz.heraldm.com/common/Detail.jsp?newsMLId=20110504000916)
<흉기까지 동원된 학교 폭력사건> - KBS 9시 뉴스 (2006.11.04)
이기범(1998), “참여민주주의와 지역사회 중심의 보육을 통한 보육복지의 경쟁력 제고” , 영유아 보육제도 개혁방안 토론자료, 한국 아동 인구 환경 의원 연맹
의정부 소슬유치원 http://www.sosl.kg.kr/s3-2.htm
예일유치원 http://www.yale.kg.kr/
남의 아이 잘 키워야 내 아이도 되는 ‘공동육아의 원리’ 내일신문 칼럼 (2011.05.18.)
추천자료
21C 희망의 교육공동체 창조를 위한 새로운 교사상의 모습
기독교 공동체교육
학교공동체의식향상방안
학교 공동체(학교가 열리고 있다는데?)
[교장][학교장][교장제도][학교장상]교장의 역할, 교장의 과업, 교장의 자율성, 교장제도의 ...
장애아동과 지역사회의 연관(지역 영유아보육시설의 장애아동과 공동육아 정책)
일본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목표와 변천, 일본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지도내용...
예술교육공동체의 정의와 특징 및 유형 조사분석
지역사회교육운동
(한국사회문제 E형)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가 왜 ...
(열린사회와21세기 공통) 다음 도서 가운데 한 권을 읽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마을 만들기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