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트레이닝의 요소
2.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3. 근력 트레이닝의 기본원리
4. 근력 트레이닝의 실제 원리 및 방법
5. 심폐지구력 강화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6. 유연성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2.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3. 근력 트레이닝의 기본원리
4. 근력 트레이닝의 실제 원리 및 방법
5. 심폐지구력 강화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6. 유연성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본문내용
키는 트레이닝 방법이다.
(1) 인터벌 트레이닝(interval training)
운동 중 불안정 휴식을 취하는 방법으로 심폐지구력과 무산소성 요소들을 발달시킬 수 있다.
①반복 트레이닝 : 실제 뛰고자 하는 거리보다 짧은 거리나 긴 거리를 반복해서 뜀으로써 심폐지구력을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②모형 트레이닝 : 반복 트레이닝을 변형한 방법으로써, 초기에는 유산소성 지구력 발달을 위하여 거리와 강도를 설정하여 훈련하고, 후기에는 스피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훈련을 한다.
(2) 파트렉 트레이닝(fartlec training)
변화있는 자연환경을 트레이닝 장소로 하여 일정한 페이스로 자유롭게 달리면서 심폐기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운동강도는 자발적으로 최고강도에서부터 천천히 조깅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변화를 대상의 기질과 지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3) 지속 트레이닝(continuity training)
계속적인 저강도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써, 트레이닝을 한번 시작하면 휴식없이 끝까지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트레이닝 방법으로 호흡순환기능 트레이닝의 중심적 방법이다.
(4) 레피티션 트레이닝(repetition training)
전력의 운동강도 혹은 전력에 가까운 운동강도로 반복 실시하는 강도 높은 운동의 트레이닝이다. 운동과 운동 사이에는 완전한 휴식을 취하며, 휴식시간의 길이는 전력 운동를 실시하는 시간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격렬한 산소부채의 상태로 인한 인체 적응현상이 기대되는 트레이닝이다.
6. 유연성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유연성은 관절의 가동범위로 정의되며, 동작의 범위를 넓혀 줄 뿐만 아니라 동작을 빠르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이다.
①능동적 훈련 장법 : 근육활동을 통하여 관절의 최대 유연성을 추구해 나가는 훈련방법이다. 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6~12초 간 머물러 있는 정적 훈련법과 움직이면서 팔이나 다리 등을 흔들며 유연성을 키워 나가는 동적 훈련법이 있다.
②수동적 훈련 방법 : 보조자의 보조를 받는 상태에서 훈련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발목, 고관절, 늑골, 어깨, 손목 등의 관절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효과적 방법이다.
③복합적 훈련 방법 : 보조자의 보조를 받는 상태에서 관절의 한계에 이를 때까지 능동적으로 관절을 구부리고 최대의 등장성 수축운동을 해내가는 방법이다. 등장성 수축상태에서 4~6초 동안의 정지 동작을 수차례 반복한다.
(1) 인터벌 트레이닝(interval training)
운동 중 불안정 휴식을 취하는 방법으로 심폐지구력과 무산소성 요소들을 발달시킬 수 있다.
①반복 트레이닝 : 실제 뛰고자 하는 거리보다 짧은 거리나 긴 거리를 반복해서 뜀으로써 심폐지구력을 발달시키는 방법이다.
②모형 트레이닝 : 반복 트레이닝을 변형한 방법으로써, 초기에는 유산소성 지구력 발달을 위하여 거리와 강도를 설정하여 훈련하고, 후기에는 스피드 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훈련을 한다.
(2) 파트렉 트레이닝(fartlec training)
변화있는 자연환경을 트레이닝 장소로 하여 일정한 페이스로 자유롭게 달리면서 심폐기능을 강화시키는 방법이다. 운동강도는 자발적으로 최고강도에서부터 천천히 조깅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변화를 대상의 기질과 지형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3) 지속 트레이닝(continuity training)
계속적인 저강도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써, 트레이닝을 한번 시작하면 휴식없이 끝까지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트레이닝 방법으로 호흡순환기능 트레이닝의 중심적 방법이다.
(4) 레피티션 트레이닝(repetition training)
전력의 운동강도 혹은 전력에 가까운 운동강도로 반복 실시하는 강도 높은 운동의 트레이닝이다. 운동과 운동 사이에는 완전한 휴식을 취하며, 휴식시간의 길이는 전력 운동를 실시하는 시간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격렬한 산소부채의 상태로 인한 인체 적응현상이 기대되는 트레이닝이다.
6. 유연성 트레이닝의 기본 원리
유연성은 관절의 가동범위로 정의되며, 동작의 범위를 넓혀 줄 뿐만 아니라 동작을 빠르게 구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운동이다.
①능동적 훈련 장법 : 근육활동을 통하여 관절의 최대 유연성을 추구해 나가는 훈련방법이다. 동작을 취한 상태에서 6~12초 간 머물러 있는 정적 훈련법과 움직이면서 팔이나 다리 등을 흔들며 유연성을 키워 나가는 동적 훈련법이 있다.
②수동적 훈련 방법 : 보조자의 보조를 받는 상태에서 훈련을 실시하는 방법이다. 발목, 고관절, 늑골, 어깨, 손목 등의 관절의 유연성을 길러주는 효과적 방법이다.
③복합적 훈련 방법 : 보조자의 보조를 받는 상태에서 관절의 한계에 이를 때까지 능동적으로 관절을 구부리고 최대의 등장성 수축운동을 해내가는 방법이다. 등장성 수축상태에서 4~6초 동안의 정지 동작을 수차례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