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권근(權近, 1352~1409)
2. 조식(曺植, 1501~1572)
3. 이황(李滉, 1501~1570)
4. 이이(李珥, 1536~1584)
5. 김광필(金広弼, 1454~1504)
6. 서경덕(徐敬德, 1489~1546)
2. 조식(曺植, 1501~1572)
3. 이황(李滉, 1501~1570)
4. 이이(李珥, 1536~1584)
5. 김광필(金広弼, 1454~1504)
6. 서경덕(徐敬德, 1489~1546)
본문내용
1. 권근(權近, 1352~1409)
약력
1. 조선 초기의 문신 학자
2. 문장력이 뛰어남
3. 경학에 밝아 사서요경의 구결을 정함
4. 주요 저서 : 입학도설, 사서오경구결, 동현사략
교육관
1. 교육을 통하여 기질을 변화시키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함, ‘존양’과 ‘성찰’을 중시
2. ‘인재는 국가의 명맥’이라 하여, 국가 차원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
3. 어려서부터 소학을 읽는 것을 주장함
자녀교육론
1. 公(공변될 공) : 마음이 맑고 욕심이 없음
2. 勤(부지런할 근) : 게으르지 않고 부지런함
3. 寬(너그러울 관) : 까다롭지 않고 어질음
4. 信(믿을 신) : 성의를 가지고 그 뜻을 지킴
약력
1. 조선 초기의 문신 학자
2. 문장력이 뛰어남
3. 경학에 밝아 사서요경의 구결을 정함
4. 주요 저서 : 입학도설, 사서오경구결, 동현사략
교육관
1. 교육을 통하여 기질을 변화시키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함, ‘존양’과 ‘성찰’을 중시
2. ‘인재는 국가의 명맥’이라 하여, 국가 차원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
3. 어려서부터 소학을 읽는 것을 주장함
자녀교육론
1. 公(공변될 공) : 마음이 맑고 욕심이 없음
2. 勤(부지런할 근) : 게으르지 않고 부지런함
3. 寬(너그러울 관) : 까다롭지 않고 어질음
4. 信(믿을 신) : 성의를 가지고 그 뜻을 지킴
추천자료
한국 고대의 교육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조선전기문학 총정리
실학과 유아교육의 발전
님웨일즈의 아리랑을 읽고
[실학사상]실학의 등장배경 및 발달과 실학자의 역사관
주자학(성리학)의 전파, 주자학(성리학)의 기본이념, 주자학(성리학)의 학파분화, 주자학(성...
다이쇼시대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2권 - 07, 08 (중세 후기 문학 : 제1기 고려후기, 중세 후기 문...
교육과 철학을 주도한 사상가들 - 교육철학 관련 사상가 동양 20명, 서양 20명 요약정리
조선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 임윤지당(任允摯堂)
유학과 직업윤리
한국의 문학사상 -『정과 개성의 문학』- 교산 허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