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식품 과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Catechin의 효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녹차, 홍차 및 우롱차의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비교 설명하시오.

3. 마시는 차와 먹는 차의 효능을 비교하시오.

4. 시루떡의 특징과 제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단자의 제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설기떡의 제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하여 설명하시오.
시루에 안쳐서 찌는 시루떡의 하나. 특히 떡의 켜를 만들지 않고 한 덩어리가 되게 찌는 떡이다. 《거가필용(居家必用)》《목은집(牧隱集)》《지봉유설(芝峰類設)》등의 기록에서 고려시대에 설기떡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종류가 다양해져서 불린 콩을 섞어서 찐 콩설기, 쑥을 버무려 찐 쑥설기, 무를 채쳐서 섞은 무설기, 밤대추곶감 등을 섞은 잡과설기 등이 있었다. 설기떡은 주로 맵쌉로 만들고, 찹쌀로는 켜떡은 만들어도 설기떡은 만들지 않는다. 멥쌀은 설기떡처럼 한 덩어리로 두껍게 안쳐도 김이 잘 오르지만, 찹쌀로는 두껍게 안치면 김이 잘 오르지 않고 중간이 설기 때문이다. 떡가루를 다 안친 다음에는 백지로 위를 덮고 손바닥으로 조금 힘을 주면서 눌러 자리를 잡아주어야 한다. 이렇게 해야 가루에 금이 가지 않고 쪄낸 뒤에도 떡이 갈라지지 않는다.
종류
설기떡은 백설기와 콩설기, 감설기, 밤설기, 쑥설기, 잡과병, 당귀병 등이 있다. 켜떡은 쌀가루나 찹쌀 가루를 팥, 녹두, 깨 등의 고물을 켜마다 번갈아 안쳐서 찌는데, 붉은팥 시루편은 가장 대표 격의 켜떡이다. 쌀가루에 꿀, 석이가루, 승검초가루 등을 섞어서 만들기도 하며, 고물 대신에 밤채, 대추채, 석이채, 잣 등의 고명을 얹은 각색편도 있다. 철에 따라 봄에는 쑥떡, 느티떡, 여름에는 수리치떡, 상치떡, 가을에는 물호박떡, 무떡 등을 만들고, 겨울에는 호박고지 떡과 대추, 밤, 곶감 등을 넣은 잡과병을 만든다.
출처 - 백과사전,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i=1485280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4.15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0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