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마늘의 기원
1)마늘의 사전적 의미
2)마늘의 기원과 유래
3)마늘의 상징적 의미
2.마늘의 형태
3.마늘의 종류
1)만생종 晩生種 (late variety)
2)조생종 早生種
3)종류별 특성
4. 마늘의 특성
1)마늘의 특징
2)마늘을 올바르게 먹는법
3)본초강목으로 본 마늘 사용법
5.마늘의 영양성분
1)100g당 영양성분
2)중요성분
3)마늘냄새의 성분
4)마늘의 향기성분들
-마늘의 향유성분
-Allithiamine의 효과
6.마늘의 효능, 효과
* 마늘의 대표적 효능 및 작용
1) 강정(强精),강장(强壯)
2) 혈액순환개선, 고혈압, 동맥경화(심근경색,협심증,뇌졸증)
3) 해독, 살균
4) 항암작용
<마늘의 10대 효능>
<마늘과 질병의 관계>
* 마늘과 노화
* 6쪽마늘과 성 기능제고
* 마늘과 암
* 마늘과 심혈관질환(한국의 성인 사망원인 2위)
* 6쪽마늘과 위장병
* 6쪽마늘과 감기
* 마늘과 변비/설사
* 마늘과 불면증
* 마늘과 결핵
* 마늘과 천식/기관지염
* 마늘과 당뇨병
* 마늘과 갱년기 증상
* 마늘과 미용
* 마늘과 무좀
* 마늘과 치질
* 마늘과 냉증
* 마늘과 비만(다이어트)
* 마늘과 아토피성 피부염 (항 알레르기 효과)
* 마늘과 해독작용
* 마늘을 구우면
* 구운 마늘의 특징
* 구운 밭마늘 복용방법은
<마늘 복용법>
7.마늘 선별 및 보관법
1)좋은 마늘 구입 방법
2)가정에서의 보관방법
◆ 실온 보관
◆ 냉장 보관
◆ 냉동 보관
3)저온저장 방법
1>저장전처리
2>장기저장마늘의 선택
3>저장방법
1)마늘의 사전적 의미
2)마늘의 기원과 유래
3)마늘의 상징적 의미
2.마늘의 형태
3.마늘의 종류
1)만생종 晩生種 (late variety)
2)조생종 早生種
3)종류별 특성
4. 마늘의 특성
1)마늘의 특징
2)마늘을 올바르게 먹는법
3)본초강목으로 본 마늘 사용법
5.마늘의 영양성분
1)100g당 영양성분
2)중요성분
3)마늘냄새의 성분
4)마늘의 향기성분들
-마늘의 향유성분
-Allithiamine의 효과
6.마늘의 효능, 효과
* 마늘의 대표적 효능 및 작용
1) 강정(强精),강장(强壯)
2) 혈액순환개선, 고혈압, 동맥경화(심근경색,협심증,뇌졸증)
3) 해독, 살균
4) 항암작용
<마늘의 10대 효능>
<마늘과 질병의 관계>
* 마늘과 노화
* 6쪽마늘과 성 기능제고
* 마늘과 암
* 마늘과 심혈관질환(한국의 성인 사망원인 2위)
* 6쪽마늘과 위장병
* 6쪽마늘과 감기
* 마늘과 변비/설사
* 마늘과 불면증
* 마늘과 결핵
* 마늘과 천식/기관지염
* 마늘과 당뇨병
* 마늘과 갱년기 증상
* 마늘과 미용
* 마늘과 무좀
* 마늘과 치질
* 마늘과 냉증
* 마늘과 비만(다이어트)
* 마늘과 아토피성 피부염 (항 알레르기 효과)
* 마늘과 해독작용
* 마늘을 구우면
* 구운 마늘의 특징
* 구운 밭마늘 복용방법은
<마늘 복용법>
7.마늘 선별 및 보관법
1)좋은 마늘 구입 방법
2)가정에서의 보관방법
◆ 실온 보관
◆ 냉장 보관
◆ 냉동 보관
3)저온저장 방법
1>저장전처리
2>장기저장마늘의 선택
3>저장방법
본문내용
상 복용한다.
위경련(胃經攣)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3일 먹는다.
위암(胃癌)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먹는다. 주 침해서도 복용한다.
음식체(飮食滯)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먹는다.
음종(陰縱)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5~6회 먹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 다.
이뇨(利尿)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4~5일 먹는다.
정력증진(精力增進)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10일 이상 먹는 다.
조갈증(操喝症)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5~6일 먹는다.
종독(腫毒)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5~6회 공복에 먹는다. 또는 마늘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중이염(中耳炎) -마늘을 까서 귓구멍에 4~5일 환부에 갈아가며 끼워 넣는다.
진정(鎭靜)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4~5일 먹는다. 주침해서 도 복용한다.
진통(陣痛) -마늘 4~5g 또는 구운 마늘 15~20g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먹는다. 주침 해서도 복용한다.
출혈(出血)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먹는다.
충치(蟲齒)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먹으면서 아울러 구운 마늘을 입에 담고 있는다. 2~3회 하면 통증이 가신다.
치은염(齒은炎)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먹는다.
치질(痔疾)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먹으면서 아울러 구운 마늘을 으깨어 5~6회 빠져 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갈아 넣는 다.
토사곽란(吐瀉?亂)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2~3회 먹는다.
토혈(吐血)과 각혈(?血)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먹 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티눈 -구운 마른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 에 살구 씨를 금한다.
풍습(風濕)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먹는다.
피로회복(疲勞回復)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단, 먹기가 거북한 것이 흠이다.
해수(咳嗽)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혈담(血痰)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먹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 다.
7.마늘 선별 및 보관법
1)좋은 마늘 구입 방법
색이 하얗고 통통하며 묵직한 것이 좋습니다.
껍질은 얇고 불그스름한 빛이 돌며 잘 마른 것을 고릅니다.
알이 작게 여러 쪽으로 나누어진 것보다 알의 크기가 굵은 육쪽마늘이 좋습니다.
2)가정에서의 보관방법
실온 보관
마늘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그대로 망에 담아 바람이 잘 통하는 벽에 걸어두면 됩니다.
냉장 보관
마늘 껍질을 벗긴 뒤 깨끗이 씻어 물기를 완전히 빼고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면 됩니다. 또는 요리하기 쉽도록 다져서 조그만 밀폐용기에 꼭꼭 눌러 담아 주고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모두 5일 이상 두지 않도록 적당한 양만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마늘을 담아 두었던 용기는 냄새가 심하게 배므로 전용용기로 이용하면 좋습니다.
냉동 보관
마늘을 넉넉히 다져서 냉동시켜 두면 편리 합니다.
곱게 다진 마늘은 작은 지퍼백에 아주 얇게 펴 담아 냉동시키면 됩니다.
꽁꽁 언 뒤 지퍼백의 마늘을 조금씩 떼면 마늘이 똑똑 부스러져 쓰기가 편합니다.
3)저온저장 방법
1>저장전처리
마늘저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분이다. 6 7월초에 수확한 직후의 마늘의 수분함량은 약80% 정도인데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65%이하가 되게 건조시켜야 한다. 대개의 경우 수확 후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2 3개월 건조시켜야 수분함량65%의 상태가 되는데 열풍건조(40 50 )를 하면 2 3일 정도에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건조를 하기 위해서는 마늘의 잎줄기를 마늘통 위에서 1 2cm정도 남기고 자르며 뿌리부분도 짧게 자르는 것이 좋다.
2>장기저장마늘의 선택
마늘의 저장력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대체로 휴면이 얕은 제주종, 고흥종, 대서마늘, 남도마늘 등의 난지형마늘은 맹아(萌芽)가 빨라서 저장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감모율 및 부패율이 많아지게 되므로 年內에 김장용으로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면이 깊은 한지형 마늘(서산종(안면도산 육종마늘), 의성종, 단양종 등)은 맹아(萌芽)가 늦기때문에 이듬해 봄까지 장기저장이 가능하다. 특히 안면도산 육종마늘은 구(球)가 단단하고 매운맛이 많기 때문에 저장력이 매우 높다.
3>저장방법
마늘의 저장벙법으로는 관행저장법, 저온저장고를 이용한 저온저장 그리고 PE 필름 저장법 등이 있는데 온도 1 3 , 습도 63 73%(단, 표준 온.습도이며 실제로는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야 함)로 조절된 저온저장고에 6-8개월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시설 및 운영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여기서는 농가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P.E필름저장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분함량 65%이하로 완전히 건조된 마늘을 상처가 없고 병충해 및 부패증상이 없는 것들을 등급별로 선별해서 0.05 0.1mm두께의 투명한 비닐튜브에 1백 2백 구(球)씩 담아서 입구를 밀봉하면 호흡을 억제하기 때문에 보통저장에 비해서 감모 및 부패율을 훨씬 감소시킬수 있다. 완전히 밀봉해서 오래두면 호흡으로 발생한 탄산가스의 농도장해로 인편의 색깔이 이듬해 2월 경부터 황갈색으로 변하는 수가 있으므로 완전히 밀봉해서 저장한 마늘은 인편의 내부가 변색하기 전에 출하해야 한다. 이러한 가스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후에 마늘 1백 구(球)당 10개 정도의 바늘 구멍을 뚫어주면 호흡작용으로 발생한 탄산가스를 확산시켜 가스피해를 막아 마늘인편이 변색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위경련(胃經攣)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3일 먹는다.
위암(胃癌)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먹는다. 주 침해서도 복용한다.
음식체(飮食滯)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먹는다.
음종(陰縱)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5~6회 먹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 다.
이뇨(利尿)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4~5일 먹는다.
정력증진(精力增進)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10일 이상 먹는 다.
조갈증(操喝症)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5~6일 먹는다.
종독(腫毒)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5~6회 공복에 먹는다. 또는 마늘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중이염(中耳炎) -마늘을 까서 귓구멍에 4~5일 환부에 갈아가며 끼워 넣는다.
진정(鎭靜)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4~5일 먹는다. 주침해서 도 복용한다.
진통(陣痛) -마늘 4~5g 또는 구운 마늘 15~20g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먹는다. 주침 해서도 복용한다.
출혈(出血)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먹는다.
충치(蟲齒)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먹으면서 아울러 구운 마늘을 입에 담고 있는다. 2~3회 하면 통증이 가신다.
치은염(齒은炎)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4일 먹는다.
치질(痔疾)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먹으면서 아울러 구운 마늘을 으깨어 5~6회 빠져 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갈아 넣는 다.
토사곽란(吐瀉?亂)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2~3회 먹는다.
토혈(吐血)과 각혈(?血)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먹 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티눈 -구운 마른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 에 살구 씨를 금한다.
풍습(風濕)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먹는다.
피로회복(疲勞回復)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단, 먹기가 거북한 것이 흠이다.
해수(咳嗽)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먹는다.
혈담(血痰) -구운 마늘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먹는다. 주침해서도 복용한 다.
7.마늘 선별 및 보관법
1)좋은 마늘 구입 방법
색이 하얗고 통통하며 묵직한 것이 좋습니다.
껍질은 얇고 불그스름한 빛이 돌며 잘 마른 것을 고릅니다.
알이 작게 여러 쪽으로 나누어진 것보다 알의 크기가 굵은 육쪽마늘이 좋습니다.
2)가정에서의 보관방법
실온 보관
마늘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그대로 망에 담아 바람이 잘 통하는 벽에 걸어두면 됩니다.
냉장 보관
마늘 껍질을 벗긴 뒤 깨끗이 씻어 물기를 완전히 빼고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면 됩니다. 또는 요리하기 쉽도록 다져서 조그만 밀폐용기에 꼭꼭 눌러 담아 주고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모두 5일 이상 두지 않도록 적당한 양만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마늘을 담아 두었던 용기는 냄새가 심하게 배므로 전용용기로 이용하면 좋습니다.
냉동 보관
마늘을 넉넉히 다져서 냉동시켜 두면 편리 합니다.
곱게 다진 마늘은 작은 지퍼백에 아주 얇게 펴 담아 냉동시키면 됩니다.
꽁꽁 언 뒤 지퍼백의 마늘을 조금씩 떼면 마늘이 똑똑 부스러져 쓰기가 편합니다.
3)저온저장 방법
1>저장전처리
마늘저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수분이다. 6 7월초에 수확한 직후의 마늘의 수분함량은 약80% 정도인데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수분함량을 65%이하가 되게 건조시켜야 한다. 대개의 경우 수확 후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2 3개월 건조시켜야 수분함량65%의 상태가 되는데 열풍건조(40 50 )를 하면 2 3일 정도에 완전히 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건조를 하기 위해서는 마늘의 잎줄기를 마늘통 위에서 1 2cm정도 남기고 자르며 뿌리부분도 짧게 자르는 것이 좋다.
2>장기저장마늘의 선택
마늘의 저장력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대체로 휴면이 얕은 제주종, 고흥종, 대서마늘, 남도마늘 등의 난지형마늘은 맹아(萌芽)가 빨라서 저장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감모율 및 부패율이 많아지게 되므로 年內에 김장용으로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휴면이 깊은 한지형 마늘(서산종(안면도산 육종마늘), 의성종, 단양종 등)은 맹아(萌芽)가 늦기때문에 이듬해 봄까지 장기저장이 가능하다. 특히 안면도산 육종마늘은 구(球)가 단단하고 매운맛이 많기 때문에 저장력이 매우 높다.
3>저장방법
마늘의 저장벙법으로는 관행저장법, 저온저장고를 이용한 저온저장 그리고 PE 필름 저장법 등이 있는데 온도 1 3 , 습도 63 73%(단, 표준 온.습도이며 실제로는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야 함)로 조절된 저온저장고에 6-8개월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시설 및 운영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여기서는 농가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P.E필름저장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분함량 65%이하로 완전히 건조된 마늘을 상처가 없고 병충해 및 부패증상이 없는 것들을 등급별로 선별해서 0.05 0.1mm두께의 투명한 비닐튜브에 1백 2백 구(球)씩 담아서 입구를 밀봉하면 호흡을 억제하기 때문에 보통저장에 비해서 감모 및 부패율을 훨씬 감소시킬수 있다. 완전히 밀봉해서 오래두면 호흡으로 발생한 탄산가스의 농도장해로 인편의 색깔이 이듬해 2월 경부터 황갈색으로 변하는 수가 있으므로 완전히 밀봉해서 저장한 마늘은 인편의 내부가 변색하기 전에 출하해야 한다. 이러한 가스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후에 마늘 1백 구(球)당 10개 정도의 바늘 구멍을 뚫어주면 호흡작용으로 발생한 탄산가스를 확산시켜 가스피해를 막아 마늘인편이 변색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추천자료
김치의 기능
인체의 체액 구성성분과 수분의 생리작용
Semi-micro Kjeldahl법에 의한 마늘 조단백질 정량
차(茶)문화 A+ 완벽정리(차의 역사와 종류, 원산지와 재배조건, 효능과 성분 및 마시는 법)
[검은깨][들깨][참깨][깨]검은깨(검은깨술, 검은깨차, 검은깨와 탈모, 검은깨와 건강), 들깨,...
[식품 부산물 이용학]수산 가공 부산물 어분 & 어유에 대한 성분 및 이용
[콩][검정콩][강낭콩][땅콩]다양한 콩의 특징 고찰과 검정콩(검정콩의 장점과 검정콩의 질병...
마늘 발표 ppt
[국어][국어 오용][표준어][띄어쓰기][문장부호][맞춤법]국어 표준어 오용 사례, 국어 띄어쓰...
초등4) <(국어)과 교수 학습 과정안 (중안) (4/6, 106~109)> 6. 의견을 나누어요(듣·말&#...
과일과 채소 숙성 저장과정 및 특징 및 종류, 성분, 품질, 활용도, 과정, 좋은점 조사분석
[식품 재료학] Report 소고기에 대한 자료 : 각 선택한 식품재료에 대하여 모양, 성분, 수확...
[빈혈] 빈혈과 뇌빈혈, 빈혈예방의 중요성, 혈액의 성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