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식중독이란?
ⅱ. 본론 - 세균성 식중독의 정의
- 세균성 식중독의 종류 및 특징
(각 균주별 최근 식중독 발생 현황)
ⅲ. 결론 - 시사점 & 참고문헌
ⅱ. 본론 - 세균성 식중독의 정의
- 세균성 식중독의 종류 및 특징
(각 균주별 최근 식중독 발생 현황)
ⅲ. 결론 - 시사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균이다. Clostridium속이기 때문에 산소를 싫어하는 혐기성 균이다. 주 감염원은 이 균에 의해 오염된 음식에 의해서 인데 이 음식을 적당히 가열하면 열에 저항성이 있는 균주가 아포가 되어서 살아 있다가 섭취하면 몸속에서 독소(Enterotoxin)를 내 발병한다. 주요 원인식품으로는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고기 등으로 조리한 식품 및 그 가공품인 동물성 단백질식품이며 미리 가열 조리된 후 실온에 5시간 이상 방치된 식품에 한정되어 있다.
2004년에는 경기 고양시의 고등학교에서 위생 평가에서 기준 미달의 업체에 학교급식을 맡겨오다 집단 식중독을 일으켰다. 학생들이 먹은 비빔밥에서 웰치균이 발견된 사례이다.
- 최근 식중독 현황
세균에 의한 전체 식중독 발생률의 68.4%가 하절기인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되었으며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도 전체의 64%가 이 시기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균성 식중독 중 비브리오 식중독은 하절기에 발생률이 높으며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 식중독은 연중 발생하고 있다. 장염 비브리오에 의한 식중독 발생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발생사례건당 환자 수는 살모넬라 식중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식중독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동물성 자연독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일단 발생하면 치사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식품접객업소가 39.1%로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도 식중독 발생비율이 전체의 37.7%를 차지하였다. 식품접객업소에서 발생된 식중독의 원인 식품으로는 46.2%가 해산물 섭취에 의한 것으로 생선회 같은 날 음식 또는 덜 익힌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ⅲ. 결론
세균의 증식에는 적당한 영양분, 수분, 온도 3가지 조건이 필요하고 하나가 결핍하여도 증식할 수 없다. 보통 식품에는 영양분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온도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된다. 영양분과 수분, 적당한 온도에서 1개의 세균은 몇 시간 만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수백 만개로 증식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청결수칙을 철저히 행하고, 식중독균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신속하게 조리하거나 냉장수칙을 지켜 보관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열할 수 있는 식품은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해 식중독균을 죽여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식중독 사건에 의해 관심을 받고 있는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은 샐러드 등 간편 조리식품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이 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위험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 임사부들에게 위험할 수 있으니 감염방지를 위해 충분히 익혀먹는 것이 좋다.
먹거리가 늘어나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손쉽게 다양한 음식을 접할 수 있다. 식중독은 거의 음식섭취로 인하여 발병하므로 식중독 예방을 위하여 위생청결을 가장 신경 써야 할 것이며 음식 섭취를 하기 전에 앞서 주의 깊게 살펴보고 조심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 식품미생물학/형성출판사/강성태윤재영 공저
- 식품학/교문사
- 네이버 백과사전
- 식중독 Familly physican/홍명호
2004년에는 경기 고양시의 고등학교에서 위생 평가에서 기준 미달의 업체에 학교급식을 맡겨오다 집단 식중독을 일으켰다. 학생들이 먹은 비빔밥에서 웰치균이 발견된 사례이다.
- 최근 식중독 현황
세균에 의한 전체 식중독 발생률의 68.4%가 하절기인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되었으며 독성물질에 의한 식중독도 전체의 64%가 이 시기에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균성 식중독 중 비브리오 식중독은 하절기에 발생률이 높으며 살모넬라, 포도상 구균 식중독은 연중 발생하고 있다. 장염 비브리오에 의한 식중독 발생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발생사례건당 환자 수는 살모넬라 식중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식중독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동물성 자연독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일단 발생하면 치사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식품접객업소가 39.1%로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도 식중독 발생비율이 전체의 37.7%를 차지하였다. 식품접객업소에서 발생된 식중독의 원인 식품으로는 46.2%가 해산물 섭취에 의한 것으로 생선회 같은 날 음식 또는 덜 익힌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ⅲ. 결론
세균의 증식에는 적당한 영양분, 수분, 온도 3가지 조건이 필요하고 하나가 결핍하여도 증식할 수 없다. 보통 식품에는 영양분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온도의 조절이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된다. 영양분과 수분, 적당한 온도에서 1개의 세균은 몇 시간 만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수백 만개로 증식된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청결수칙을 철저히 행하고, 식중독균을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 신속하게 조리하거나 냉장수칙을 지켜 보관하여야 한다. 그리고 가열할 수 있는 식품은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해 식중독균을 죽여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식중독 사건에 의해 관심을 받고 있는 리스테리아균 식중독은 샐러드 등 간편 조리식품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이 균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위험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약자, 임사부들에게 위험할 수 있으니 감염방지를 위해 충분히 익혀먹는 것이 좋다.
먹거리가 늘어나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손쉽게 다양한 음식을 접할 수 있다. 식중독은 거의 음식섭취로 인하여 발병하므로 식중독 예방을 위하여 위생청결을 가장 신경 써야 할 것이며 음식 섭취를 하기 전에 앞서 주의 깊게 살펴보고 조심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 식품미생물학/형성출판사/강성태윤재영 공저
- 식품학/교문사
- 네이버 백과사전
- 식중독 Familly physican/홍명호
추천자료
해산물의 특성과 관리에 대한 이해
식품관리에 있어 식품의 보존과 저장, 변질, 식품으로 인한 질병에 대해 요약, 주방의 위생관...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에대하여 조사하시요
[여시니아균][여시니아][세균성 식중독]세균성 식중독의 특성, 세균성 식중독균 여시니아의 ...
학교급식 식중독현황과 대책방안
식중독균 종류1 포도상구균, 식중독균 종류2 O-157균, 식중독균 종류3 리스테리아균,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식중독]장염비브리오균의 정의, 장염비브리오균의 성질, 장염비브리오균의 ...
[질병(질환)]질병(질환)과 가축, 질병(질환)과 사회환경, 질병(질환)과 식중독, 질병(질환)과...
[식중독균][식중독][세레우스균][대장균][보툴리누스균]식중독균 세레우스균, 식중독균 대장...
[식생활관리 : 식중독 예방] ①채소류에 해당하는 식품 5가지를 정하고 (식품의 영양적 특징, ...
식품위생학 2017+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
(방통대 생활과학 식품위생학4) 1.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
식품위생학- 용혈성 요독증후군 유발 대장균에 대한 이해와 이에 대처하기 위한 식중독 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