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 논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위일체 논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위일체 논쟁의 기원

2. 아리우스 논쟁

3. 니케아 종교회의

4. 니케아 회의 이후

5. 콘스탄티노플 회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출(發出)(proceeds)하시며, 곧 아버지와 아들과 더불어, 함께 경배 받으시며, 함께 영광을 받으실 분이시니,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여 오신 분이시니라.
4. 하나의 거룩한 보편적인 사도적 교회를 믿나이다. 우리는 죄의 사유를 위한 한 세례를 고백하나이다. 우리는 죽은 자의 부활과 오는 세상의 생을 바라고 있나이다. 아멘.‘ http://sgti.kehc.org/data/field/history/8.htm
※ 숫자와 단락 나눔은 비교하기위하여 임의대로 삽입함 원본에는 없음
두 신조의 공통점은 ‘1,2항목’ 즉 성부와 성자에 관한 설명이다. 니케아회의에서 결정한 성부와 성자의 동일본질론은 콘스탄티노플 회의까지 이어졌으며 이 두 항복은 글만 조금 다를 뿐이지 내용은 바뀌지 않았다.
그렇다면 이 두 신조의 다른 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3항목’인 성령에 관련된 항목인데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아직 성령을 성부와 동일본질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니케아 신경에는 ‘또한 성신을 믿는다.’라고만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플 신조에는 성신 즉 성령에 관한 설명이 좀 더 자세하게 나와 있다. 그 이유는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성령을 동일본질로 인정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콘스탄티노플 신조에는 ‘또한 성령을 믿사오니, 이는 주되시며 생명을 주시는 자이시니, 아버지로부터 발출(發出)(proceeds)하시며, 곧 아버지와 아들과 더불어 함께 경배 받으시며, 함께 영광을 받으실 분이시니,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여 오신 분이시니라’라고 성령에 대해 더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김홍기 『평신도를 위한 신학 역사신학적 조명』,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2006
이후 이 두 신조를 묶어서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 또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이라고도 불린다.
콘스탄티노플 공의회를 통하여 니케아공의에서부터 논의 되어왔던 아리우스 논쟁 즉 삼위일체 논쟁을 마무리 지었다.
참고문헌)
임영천, 『세계 초대교회사』, 쿰란출판사, 1998
유스토 L.곤잘레스, 『초대교회사』, 은성, 1987
박용규, 『초대교회사』, 총신대학교출판부, 1994
김성태, 『세계 교회사1』, 성바오로 출판사, 1986
조인형, 『초기 기독교사 연구』, 한국 학술정보, 2003
김홍기 『평신도를 위한 신학 역사신학적 조명』, 이화여자대학 출판부, 2006
도날드K.맥킴, 장종현 역, 『교회의 역사를 바꾼 9가지 신학 논쟁』, 기독교 연합 신문사, 2005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5.0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3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