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케이스 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기간 및 연구방법

Ⅱ. 본론
▶ 문헌고찰 (승모판막 폐쇄 부전증 ; Mitral regurgitation)

Ⅲ. 간호과정
1. 일반적 사항
2. 입원관련 정보
3. 신체검진
4. 진단검사 결과와 해석
5. 치료 및 경과
6. 약물치료
7. 간호진단

Ⅳ. 결론
1. 사례연구의 평가
2. 실습후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적은 양으로 배액
검사항목
검사결과
정상범위
WBC
12.32
4.0-11 10E3/
seg neutrophil
86.7
40-73%
CRP
7.47
0-0.5mg/dL
-5/2 CBC 검사
-대상자는 5/2 11:00 41병동으로 전동될 때까지 수술부위 및 침습적 시술 부위에 발적, 종창, 부종, 열감 등의 감염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고, J-P drain은 유지 중 이었다.
7. 간호진단
간호진단 2) 수술과 관련된 통증
사정
주관적 자료
-“으으으으으.......”
객관적 자료
-5/1 open heart valvuloplasty of mitral valve, Maze, MICS 수술 시행
-수술부위 손으로 만지는 모습 관찰됨.
-얼굴을 찡그리는 모습 관찰됨
-통증사정(Wong-baker scale) 강도 : 5/부위 : Rt. chest/양상 : 둔하고 쑤시는 듯한/빈
도 : 지속적
-진통제 투여(trolac 1amp IV)
간호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통증 점수가 2점 이하로 감소한다.
계획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2.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한다.
3.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킨다.
4. 자극을 최소화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5. 비약물적 통증완화법을 교육하고 적용
한다.
7.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 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8. 통증을 인정해주며 정서적 지지를 통
해 긴장과 불안을 완화한다.
9. 객담 배출과 기침시 수술부위를 지지
하도록 교육한다.





1. 대상자의 전반적인 신체 상태를 사
정하고 통증은 혈압과 호흡을 상
승시킨다.
2. 통증의 정도를 알고 그에 따른 알
맞은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3. 불편감이 적은 자세를 취하면 통증
이 경감된다.
4. 불필요한 자극은 통증을 증가시킨
다.
5. 통증은 주관적 호소이므로 관심을
다른 곳으로 전환함으로써 내성을
증가시킨다.
7. 처방에 따른 진통제 및 보조제의
적절한 사용은 통증을 경감시킨다.
8. 정서적 지지와 통증의 표현을 인정
해 주는 것은 통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
9. 수술부위의 지지는 활동을 용이하
게 하고 통증을 감소시킨다.
수행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2.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하였다.
-통증의 위치, 정도, 양상, 지속시간을 사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3.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킨다.
-대상자가 편안해 하는 자세로 30도 거상된 자세를 취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4. 자극을 최소화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외부자극을 최소화하는 조용하고 통제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5. 비약물적 통증완화법을 교육하고 적용 하였다.
-심호흡, 자세변경 등을 교육하였다.
7.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 하고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trolac 1Amp IV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8. 통증을 인정해주며 정서적 지지를 통해 긴장과 불안을 완화한다.
-통증을 말로 표현하도록 설명하였고, 통증 호소시 지지적 간호와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9. 객담 배출과 기침시 수술부위를 지지 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5/2 대상자는 기침시 수술부위를 지지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5/2 11:00 전동 후 통증사정(Wong-baker scale) 강도 : 4~5/양상 : 쑤시는 듯한/빈도 : 간헐적 확인 되었고, 통증점수가 4점 이상일 때 trolac을 IV 하도록 오더가 내려졌다.
수술상처부위는 문제없었다.
Ⅳ. 결론
1. 사례연구의 평가
대상자는 2012년 4월 26일 dyspnea로 입원하여 5월 1일 open heart valvuloplasty of mitral valve, Maze, MICS 수술을 받고 중환자실로 전동된 환자로 수술 후 3시간만에 intubation remove를 하고 의식은 alert 한 상태였다. 하지만 체온이 37.9℃로 오르며 lab 검사상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넘어서 감염의 위험성을 염두해 두고 항생제 투여 및 체온을 내리기 위한 ICE pack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체온은 서서히 떨어져 36.5℃의 정상범위를 찾았고, 41병동으로 전동될 때까지 감염의 징후는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는 수술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였는데 그 때마다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2. 실습후기
마지막 3주째의 실습은 1ICU였는데 저번 성인 실습 때 ICU를 실습했던지라 그래도 익숙할 것이라 예샹했지만 생각보다 많이 낯설고 분위기도 달랐다. 일단 학생은 무조건 observation 만 하도록 되어 있었다. 많이 아쉬웠지만 1분 1초의 정확성을 다투는 곳이라 이해는 갔다. 그래도 첫 날부터 아무런 오리엔테이션도 주지 않은 것은 정말 섭섭했다.
1ICU는 주로 순환기계 쪽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이 들어오는데 흉부외과 수술을 한 환자들이 대부분이었다. 그 중에서도 선천성 심장병을 앓는 어린아이들이 많이 입원해 있었다.
ER 보다는 바쁘거나 하지는 않았지만 대체적으로 이곳도 어수선하긴 마찬가지인 것 같았다. 그래도 선생님 옆에서 보고 듣고 하려고 많이 노력했다. 케이스 과제 때문에 EMR보는 시간이 조금 많긴 했지만 그래도 ICU에서 어떤 처치를 하고 어떤 체계로 돌아가는지 알게 되어서 보람 있었다.
그리고 ICU에 있다가 상태가 나아져서 병동으로 가는 환자들을 보면 나도 기분이 덩달아 좋았다.
마지막 주를 ICU에서 할 수 있어서 뜻 깊었고,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다.
※ 참고 문헌
-이향련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 Ⅱ」, 수문사, 2010
-드러그 인포, www.druginfo.co.kr
-서울대학교병원 저,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편집부 저,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2003
-이성호 저, 「인체해부학」, 현문사, 2010
-송미순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2
-김선화 외, 「진단적 검사가이드북」, 정담미디어, 2004
-네이버 건강,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
-최정신 저,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현문사, 1992
  • 가격3,5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2.05.21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