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과 여가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과 여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여가의 어원
여가의 본질

2
여가의 역사
세계의 여가 발전사
한국의 여가 발전사
학습정리

3주차. 여가의 기능과 과제
1.여가의 긍정적 기능
2. 여가의 부정적 기능
3. 현대여가의 과제
▣ 학습정리

4
여가와 인접 유사개념과의 관계
1. 여가와 위락의 관계
2. 여가와 놀이와의 관계
3. 관광과 여행과의 관계

5
관광의 개념
1.관광의 어원
2.관광의 정의
3. 관광의 특성
4. 관광의 영향

6
관광의 역사
1. 고대 (A.D. 476년 이전)의 관광
2. 중세 (A.D.476~1450)
3.근대
4.현대 (1945년 이후)

▣ 한국의 관광사
1. 산업화이전
2. 산업화 이후

▣ 학습정리


7
1. 관광시스템의 이해
2. 관광시스템의 구성요소
▣ 관광주체

<학습정리>

본문내용

관광 휴양지(경주보문단지, 제주 중문단지) 개발
- 국제관광과 국민관광의 활성화 정책
- 관광국가 부상
1980년대: 관광진흥의 도약기
- 1981년 국민 해외여행 완화 조치
50세 이상 관광여권 발급
- 1983년 제53차 ASTA(미국여행업협회) 총회 서울 개최- 한국관광 소개
여행인구의 증가
여행의 다양화
숙박시설의 고급화
실내여가의 증가
레크리에이션 활동의 적극추진
해외여행 증가경향에 대비한 여가시설의 개발 등
- 1986년 아시안게임
- 1988년 서울 올림픽, 세계화(관광사업의 변화)
- 1989년 국민해외여행 전면 자유화
1990년대 이후: 비약적 발전기
- 1991년 여행업의 해외시장 개방
- 1992년 관광진흥중장기계획 수립
관광지의 기능과 특성을 파악한 개발계획의 수립
전국적으로 연계되는 개발 계획 추진
관광 기반 시설의 확충
관광자원의 다양한 활용과 새로운 관광상품의 창출
관광지개발 추진을 위한 지원제도의 강화
효율적인 관리 운영제도의 도입
- 1993년 대전 EXPO
- 1994년 한국방문의 해
- 1997년 IMF로 관광산업 어려움
21세기
- 2000년 ASEM 정상회담 개최
- 2001년 한국방문의해
-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한일 월드컵대회
중국의 여행 자유 지역화, 외환 자유화 조치(만불 폐지)
인천 공항 개항
- 관광공사 해외지사 개설- 관광비전제시
- 해외홍보 - 국제회의 유치
- 2005년 한.일 방문의 해
<2004년11월 18차 한-일 관광진흥협의회>
- 수학여행 교류 등을 포함한 각분야의 인적 교류 확대
- 각국의 인바운드 관광 활성화를 위해 중국과도 협력
- 특성있는 관광 자원의 개발과 상품화
- 전문인역 양성화, 관광 활성화
▣ 학습정리
세계관광의 발전사
생존을 위한 이동행위
종교, 요양, 체육행사에 참여
교통수단의 발달로 여행활성화
관광의 조직화 산업화
관광인식 및 사회 제도의 변화로 대중관광화
한국의 관광사
자연 숭배의 의식 참여
종교 학문 목적의 이동
교통수단의 발달로 여행 활성화
관련법규 정비로 관광여건 개선
국토종합개발계획으로 관광 자원 개발
특성있는 관광상품화와 관광 활성화
77777777777777777777777
1. 관광시스템의 이해
1) 시스템의 개념
어원
- System ← Systema(희랍어)
- 여러개의 요소로 구성된 전체 또는 전체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상호 관련된 복잡한 기능체
-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은 시스템 전체의 고유한 특성에 영향
- 관광 시스템이란 관광 잠재력이 관광활동으로 나타나게 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환경의 모든 요소들의 상호작용
2) 시스템의 구조 및 특징
시스템 기본구조
- 개발 시스템: 외부환경과 영향을 주고 받음
- 폐쇄시스템: 외부환경과 상호작용 없이 독립적
시스템 결합구조
- 응용 : 관광객 행동 이해, 정보체계의 구축, 마케팅 체계 개발, 관광계획의 정확도 확보
3) 관광 시스템 구조
관광발생에 중점을 둔 구조 -그림
관광기능에 중점을 둔 구조
- 관광현성을 기능적 체계로 인식하고,관광객,교통기관,매력물,서비스 및 시설 정보및지도 등 다섯 가지를 그 구성요소로 들고 있다.
지리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 구조
- 관광체계의 기본적 요소를 관광객, 관광배출지, 통과지역 또는 경유지, 관광목적지, 관광사업 등 5가지
구성요소의 단계에 중점을 둔 구조
- 관광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동태적, 정태적, 결과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있다.
영향요인에 중점을 둔 구조
- 관광체계 즉, 관광주체와 관광객체에 상위체계인 환경 인자를 삽입시켜 개방적 관광체계를 관광 발생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마케팅에 중점을 둔 구조
- 관광체계를 관광객 유치를 위한 마케팅 관점에서 파악 하고 관광현상을 관광시장, 관광목적지, 여행 그리고 마케팅 등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 체계로 간주하고 있다.
관광정책에 중점을 둔 구조
- 관광체계의 구성요소를 관광객, 관광매개체, 관광자원과 시설의 공급, 사회 생태적 배경 등 4가지로 개방적 관광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2. 관광시스템의 구성요소
▣ 관광주체
관광행동의 주체자
- 관광객은 관광에 대한 욕구로 관광 시장 수요를 형성
관광의 수요자
- 관광지(목적지)에서 활력을 얻으려는 소비자 목적지에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영향
관광 주체의 관광 의욕과 관광 동기는 가변적 욕구 변화 추적-욕구자극-관광상품개발
▣ 관광객체
관광대상(관광 목적물)
- 관광자원, 관광시설 그리고 인적 서비스의 복합체 관광객이 관광하는 동안 즐길 수 있는 자원
관광객체
- 관광주체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목적물
- 관광객의 수요 파악 - 공급 - 수요변화에 대응
관광대상의 특성 : 범위가 무제한
- 유형자원: 자연경관, 산업자원, 위락자원 등
- 무형자원: 문화자원, 풍습과 풍속, 국민성 등
관광자원
- 관광객의 관광동기를 유발하는 자원 매력성, 유인성, 관광개발 가능성 확보해야 기반시설, 지원 편익시설, 관광서비스 포함
▣ 관광매체(관광사업)
관광주체와 관광객체를 의도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
- 공간적 매체 : 항공, 육상 해상관련 도로 및 교통시설
- 기능적 매체 : 관광알선, 관광사업, 관광정책 등
교통 : 시간 비용과 관련
- 관광객의 주거지-관광목적지 간의 이동, 목적지 내 이동도로, 교통시설의 자체를 관광자원화
정보
- 관광객체 : 종류, 위치 , 현황 및 이용방법 등
- 관광매체 : 도로, 교통시설 ,편익시설 등
정부 및 행정
- 관광기회의 확대 및 지원 , 건전한 관광활동 유도,
- 관광자원의 관리와 개발, 관광사업의 감독과 지원 등
<학습정리>
관광 시스템 이해
- 관광시스템이란 관광 잠재력이 관광 활동으로 나타나게 하는데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환경의 모든 요소들의 상호작용
관광시스템의 구성요소
- 주체 (관광욕구의 형성과 동기)와 객체 (관광지)그리고 매체 (관광경영, 사업)로 대별
- 관광주체는 사회 경제적 배경과 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고 관광객체는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관광매체의 기본은 이동수단과 정보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5.21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8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