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에릭슨의 성격발달이론을 선택한 이유
Ⅱ. 에릭슨 성격발달이론에 근거한 나의 성격 발달
Ⅱ. 에릭슨 성격발달이론에 근거한 나의 성격 발달
본문내용
의 학생 으로써, 딸로써 ,친구 로써 등등) 역할에 대한 내 나름대로의 identity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근간으로 다른 사람을 아끼고 배려하며, 사랑하는 법을 알고, 그들과 더불어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 나가며, 나의 생각이나 가치관등을 적절하게 표현할 줄 안다고 생각된다.
7.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 40대, 50대)
성인 중기에 해당되며 이 시기에는 다음세대에 공헌하려는 것이 지배적인 동기가 된다. 이 동기가 가족부양에 의해 채워지는지 혹은 다른 방식들로 생산적, 창조적인 사람이 됨으로써 채워지는지 관계없이, 구체적 활동은 다음에 올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게 된다.생산의 소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침체가 오고 일종의 자멸적인 자기중심성 내지는 자기도취가 된다. 이 시기에는 자녀를 낳거나 자신의 직업을 통해 사회적 성취나 업적을 낳아 생산성을 발휘하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침체감에 빠지게 된다.
♠ 나의 성격발달 단계: 성인중기
일을 계속하면서 몇 년간 열심히 일하며 여유가 생기면 그동안 배워보고 싶었던 여려가지 취미활동을 하고 싶다. 결혼은 30세쯤에 할 것이며 성격 좋은 사람을 만나고 싶다.
자녀 양육은 자유를 많이 주고 싶다. 강제적으로 무언가를 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 같다.
8. 제8단계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성인후기 :60대이후)
노인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지나간 일곱 단계의 경험들을 다져서 하나의 최종적인 자아 통합기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상적으로라면 그것은 지상의 짧은 수명의 가치를 용납하는 데서 오는 만족의 기간이다. 경험, 사람, 사건들이 달랐더라면 하는 바람이 없이 그것들을 소중히 생각한다. 자기 인생을 정리하면서 의미를 부여하게 될 때는 자아통합을,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낄 경우에는 자아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에릭슨의 발달단계는 각 단계마다 중요한 심리 사회적 과업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면 긍정적인 자아형성과 더불어 건강한 성격발달로 이루어 갈 수 있지만 각 단계의 위기들이 해결되지 못하면 부정적인 자아혼돈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 나의 성격발달 단계: 성인후기
죽음은 사람으로 태어났다면 당연한 것이고 노년기에 사고 없이 편안히 잠들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무덤도 좋지만 먼 훗날 관리가 잘 안 되는 것을 보면 화장하는 것 도 좋을 것 같다. 장기기증은 동의한다.
7.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 40대, 50대)
성인 중기에 해당되며 이 시기에는 다음세대에 공헌하려는 것이 지배적인 동기가 된다. 이 동기가 가족부양에 의해 채워지는지 혹은 다른 방식들로 생산적, 창조적인 사람이 됨으로써 채워지는지 관계없이, 구체적 활동은 다음에 올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게 된다.생산의 소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침체가 오고 일종의 자멸적인 자기중심성 내지는 자기도취가 된다. 이 시기에는 자녀를 낳거나 자신의 직업을 통해 사회적 성취나 업적을 낳아 생산성을 발휘하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침체감에 빠지게 된다.
♠ 나의 성격발달 단계: 성인중기
일을 계속하면서 몇 년간 열심히 일하며 여유가 생기면 그동안 배워보고 싶었던 여려가지 취미활동을 하고 싶다. 결혼은 30세쯤에 할 것이며 성격 좋은 사람을 만나고 싶다.
자녀 양육은 자유를 많이 주고 싶다. 강제적으로 무언가를 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 같다.
8. 제8단계 자아 통합감 대 절망감 (성인후기 :60대이후)
노인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지나간 일곱 단계의 경험들을 다져서 하나의 최종적인 자아 통합기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상적으로라면 그것은 지상의 짧은 수명의 가치를 용납하는 데서 오는 만족의 기간이다. 경험, 사람, 사건들이 달랐더라면 하는 바람이 없이 그것들을 소중히 생각한다. 자기 인생을 정리하면서 의미를 부여하게 될 때는 자아통합을,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낄 경우에는 자아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에릭슨의 발달단계는 각 단계마다 중요한 심리 사회적 과업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면 긍정적인 자아형성과 더불어 건강한 성격발달로 이루어 갈 수 있지만 각 단계의 위기들이 해결되지 못하면 부정적인 자아혼돈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 나의 성격발달 단계: 성인후기
죽음은 사람으로 태어났다면 당연한 것이고 노년기에 사고 없이 편안히 잠들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무덤도 좋지만 먼 훗날 관리가 잘 안 되는 것을 보면 화장하는 것 도 좋을 것 같다. 장기기증은 동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