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슈탈트(Gestalt)의 치료적 접근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창시자

Ⅱ. 주요 개념

Ⅲ. 게슈탈트 치료의 이론

Ⅳ.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목표

Ⅴ. 게슈탈트 심리 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Ⅵ. 게슈탈트의 치료 기법들

Ⅶ. 관련 사이트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내담자에게 특정한 장면을 연출하거나 시행해 보도록 제안하는 것(Polster, 1974)으로, 특정한 기법이라기보다는 치료자가 치료 작업을 해나가는 과정에서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생각해 냄으로써 치료를 촉진시켜 주는 독특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실험과 관련하려 아래에 김정규의 치료사례 3개와 스미스의 사례 1개를 소개하기로 한다. 심한 강박증을 보이는 남자 내담자가 있었다. 그는 완벽주의적인 어머니와의 관계를 모든 사람들에게 투사하여 항상 그들로부터 인정받기 위해 절망적인 노력을 하고 있었다. 즉, 그는 모든 사람들이 자기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자기에게 완벽적인 행동을 요구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매사에 실수하지 않으려고 무척 애썼다. 그래서 그는 항상 긴장하며 살았고 내적으로 심한 좌절감과 패배감에 젖어 있었다.
상담자는 이 내담자에게 매번 집단에서 어떤 행동을 하기 전에 상대편이 자기에게 무엇을 원하는지 짐작해 보도록 요구했다. 그는 몇 번의 실험을 거치면서 자신이 어머니와의 관계를 타인과의 관계에 투사라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으며, 그 후로는 집단에서 훨씬 여유로운 태도를 보였다.
청결벽이 좀 심한 내담자가 있었다. 그는 자신은 물론 가족들에게도 병균이 옮을까봐 항상 조바심하며 살았다. 상담자는 그에게 가능한 가장 비위생적인 행동을 집단에서 실험해보라고 제안하였다. 처음에 그는 매우 망설였으나 치료라 생각하고 해보라는 말에 힘을 얻어 열심히 노력했다.
그는 더러운 가구를 손으로 만지기도 하고, 아무 데나 털썩 주저앉기도 하다가 마침내 방바닥에 뒹굴기도 했다. 이 실험을 통해 그는 청결벽이 완치되지는 않았지만 이 문제에 대해 상당히 여유로운 태도를 갖게 되었다.
지나치게 목표지향적으로 살아온 나머지, 삶을 제대로 즐기지도 못하고 막연한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는 한 남자 내담자에게 상담자는 무엇이든 좋으니 한 시간동안 ‘실없는’ 행동을 최대한 많이 해보라고 제안했다.
그는 처음에 이 제안에 대해 매우 어이없어 했다. 일부러 귀한 시간을 쪼개서 왔는데, 기껏 시키는 것이 ‘실없는 짓’을 해보라니 이해가 안가는 표정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차츰 실험에 흥미를 보이면서 실없는 짓을 즐기기 시작했다. 저자는 그의 실없는 짓을 격려하면서, 보조자에게 그가 매번 실없는 짓을 한 번 할 때마다 그 횟수를 칠판에 기록하도록 시켰다.
그는 처음에 조심스럽게 성원들에게 장난을 걸기 시작하더니 나중에는 기상천외한 아이디어를 다 동원해서 놀이에 열중했다. 그가 한 시간 동안 생각해낸 실없는 짓의 수는 백여 개가 넘었다.
그는 이 실험을 통해 오랫동안 억압되었던 자신의 창조적 에너지를 재발견하였을 뿐 아니라, 이를 마음껏 펼쳐볼 수 있었다. 그는 실험이 끝난 뒤에 “이제까지 긴장의 연속이었던 삶에서 해방되었던 삶에서 해방되어 정말 마음껏 자유로운 체험을 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상사의 부당한 압력에 대해 ‘No\'라고 말하지 못하는 내담자에게 스미스는 그의 신체감각을 관찰하라고 말했다. 그는 숨을 멈추고 있었는데. 스미스는 “이제 숨을 길게 들이쉬고 상사를 한번 쳐다보세요.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한번 관찰해보세요. 자! 이번엔 한 쪽 다리를 꼬아 올리고 어깨를 쫙 펴고서 그를 한번 바로 쳐다보세요. 그리고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한번 보세요”라고 말했다.
내담자는 처음엔 상사를 바로 쳐다보는 것조차 두려워했으나. 치료자의 도움과 호흡의 지지를 받으며 상사를 쳐다봄으로써 차츰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 마침내 상사에게 당당하게 ‘No\'라고 말할 수 있었다(Smith, 1990)
Ⅶ. 관련 사이트
☆형태주의 심리학 http://home.pusan.ac.kr/~tokyah/perls.htm
☆게슈탈트 상담 http://cc.knue.ac.kr/~coun/uni-data/10.htm
☆게슈탈트 상담이론 소개와 사례 http://ncyok.or.kr/kcy/ch3/iwas/99.9/오늘9/38.htm
☆게스탈트 이론에 관한 연구http://sb.dpc.ac.kr/~jska/009web/htm/9912/게스탈트.htm
☆형태심리학(gestalt psychology) http://user.chollian.net/~sigma/word/gestalt.htm
☆The Theory of Gestalt Therapy http://www.aagt.org/html/chapter.HTM
☆Fritz Perls (1893 - 1970) http://psy1.clarion.edu/jms/Perls.html
☆GESTALTlinks http://www.chapman.edu/wilkinson/psych/faculty/ac/rellswor/Glinks.htm
☆Psychology 540
http://www.chapman.edu/wilkinson/psych/faculty/ac/rellswor/Psy540AVAC.html
☆Gestalt Therapy http://cc.knue.ac.kr/~coun/gestalt.htm
Ⅷ. 참고문헌
★김정규 저,1995, 게슈탈트 심리치료 : 창조적 삶과 성장, 서울 學志社
★장혁표 외 13인, 1997, 현대 상담심리 치료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김경희, 2000, 게슈탈트 심리학, 도서출판 학지사
* 과제물
1. 형태치료는 “왜”라는 질문보다는 무슨 경험, 어떤 경험을 강조한다. 이것들은 강조하는데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 “왜”라는 질문은 끊임없는 이유의 연속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에 동의하는가? 아니면 동의하지 않는가?
2. 형태치료와 인간 중심 치료는 둘 다 실존치료의 지류이다. 그리고 그것들은 인간 본성에 대한 몇 가지 철학적 견해를 공유한다. 동시에, 전자의 모형은 기법에 의존하는 반면, 후자는 기법이나 치료자의 지시를 경시한다. 형태치료를 인간 중심 개념과 통합시킬 수 있겠는가?( 통합시킬만한 근거를 발견할 수 있겠는가) 왜 그러하며 혹은 왜 그렇지 아니한가?
3. 당신 자신의 개인적 성장에 대해 형태치료는 어떤 의미가 있는가? 당신의 자기 이해를 조성하고 당신의 성격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그 기법이나 실험을 어떻게 사용하겠는가?
  • 가격12,6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10.18
  • 저작시기200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9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