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협심증
1. 병태생리
2. 원인
3. 증상
4. 분류
5. 진단
6. 치료
7. 증상
8. 합병증
8. 간호
1. 병태생리
2. 원인
3. 증상
4. 분류
5. 진단
6. 치료
7. 증상
8. 합병증
8. 간호
본문내용
로 글리세린(질산염제제)
- 협심증 치료법에 쓰이는 약물들 중 가장 효과적인 계통인 니트로글리세린 정체를 혀 아래 넣어 녹이면 30초이내 점막에 흡수되어 혈관을 확장시켜 심장의 긴장을 완화시켜 준다.
② 칼슘차단제
- 혈관세포내로 칼슘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 공급을 증가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것
- 부작용으로는 변비 두통 홍조 두근거림이 나타난다.
③ 베타차단제
- 고혈압 치료에 잘 쓰이는 치료제로 심혈관계 작용하여 교감신경을 차단시킴으로 심근수축력을 감소시켜 산소소모량을 감소시킨다.
- 부작용으로는 기관지천식 저혈당 성기능 저하 등이 있다.
(4) 동반된 질환을 치료함
-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 시키거나 산소 공급량을 감소시켜 협심증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킬지 모르는 다른 동반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 폐질환,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흡연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 빈혈 등
① 관상동맥우회로 수술
협심증 치료법에서 관상동맥 협착이 심하고 여러 곳에 증상이 나타나면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다. 이 방법은 가슴과 심장을 열고 정맥 일부를 떼어내어 관상동맥을 우회하여 새로운 동맥을 만들어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5) 협심증의 수술
② 관상동맥 확장술
- 우측 사타구니에 대퇴동맥의 혈관내로 가늘고 긴 튜브를 넣어 좁아진 부위에 풍선 확장술을 해서 좁아진 동맥을 넓힌다.
- 이 방법은 동맥벽을 손상시킴으로 동맥의 협착으로 재발되는 경우도 있다.
<빨간화살표가 우측 관상동맥의 좁아진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Ⅶ. 합병증
(1) 심근 경색(myocardial infarction)
- 내피 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 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 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
(2) 부정맥(arrhythmia)
- 혈액이 충분이 공급되지않아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진 상태
- 경미한 가슴 두근거림, 흉통으로부터 실신과 돌연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 심장의 능력이 저하되어 뿜어져 나오는 혈액량 감소 ⇒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 등
- 심실 무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과 같은 악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심장 기능이 완전히 마비되어 곧바로 심장마비로 사망.
Ⅷ. 간호
①섭취량과 배설량을 적게하여 대상자의 적절한 영양 비례를 맞춘다.
②혼자 눕거나 일어나게 하지 않는다.(보호자의 부축을 받도록 한다.)
이는 CABG후 가슴쪽과 다리쪽, 팔쪽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③매일 아침 소변을 본 후.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잰다.
④inspiratory spironater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격려한다.
⑤통증이 있더라도 기침을 격려하여 가래가 나올수 있도록 해준다.
⑥짜고 매운 음식등 자극적인 음식은 심장에 무리를 주므로 피하도록 한다.
⑦운동을 많이 하도록 격려한다.(특히 걷기) 하지만 무리한 운동은 수술 부위에 통증이 올 수 있다.
- 협심증 치료법에 쓰이는 약물들 중 가장 효과적인 계통인 니트로글리세린 정체를 혀 아래 넣어 녹이면 30초이내 점막에 흡수되어 혈관을 확장시켜 심장의 긴장을 완화시켜 준다.
② 칼슘차단제
- 혈관세포내로 칼슘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 공급을 증가하고 산소를 공급하는 것
- 부작용으로는 변비 두통 홍조 두근거림이 나타난다.
③ 베타차단제
- 고혈압 치료에 잘 쓰이는 치료제로 심혈관계 작용하여 교감신경을 차단시킴으로 심근수축력을 감소시켜 산소소모량을 감소시킨다.
- 부작용으로는 기관지천식 저혈당 성기능 저하 등이 있다.
(4) 동반된 질환을 치료함
-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 시키거나 산소 공급량을 감소시켜 협심증을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킬지 모르는 다른 동반된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 폐질환, 고혈압, 갑상선 기능 항진증, 흡연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 빈혈 등
① 관상동맥우회로 수술
협심증 치료법에서 관상동맥 협착이 심하고 여러 곳에 증상이 나타나면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다. 이 방법은 가슴과 심장을 열고 정맥 일부를 떼어내어 관상동맥을 우회하여 새로운 동맥을 만들어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5) 협심증의 수술
② 관상동맥 확장술
- 우측 사타구니에 대퇴동맥의 혈관내로 가늘고 긴 튜브를 넣어 좁아진 부위에 풍선 확장술을 해서 좁아진 동맥을 넓힌다.
- 이 방법은 동맥벽을 손상시킴으로 동맥의 협착으로 재발되는 경우도 있다.
<빨간화살표가 우측 관상동맥의 좁아진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Ⅶ. 합병증
(1) 심근 경색(myocardial infarction)
- 내피 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 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 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
(2) 부정맥(arrhythmia)
- 혈액이 충분이 공급되지않아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진 상태
- 경미한 가슴 두근거림, 흉통으로부터 실신과 돌연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
- 심장의 능력이 저하되어 뿜어져 나오는 혈액량 감소 ⇒ 호흡곤란, 현기증, 실신 등
- 심실 무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과 같은 악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순간적으로 심장 기능이 완전히 마비되어 곧바로 심장마비로 사망.
Ⅷ. 간호
①섭취량과 배설량을 적게하여 대상자의 적절한 영양 비례를 맞춘다.
②혼자 눕거나 일어나게 하지 않는다.(보호자의 부축을 받도록 한다.)
이는 CABG후 가슴쪽과 다리쪽, 팔쪽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③매일 아침 소변을 본 후. 같은 시간에 몸무게를 잰다.
④inspiratory spironater기를 이용하여 호흡을 격려한다.
⑤통증이 있더라도 기침을 격려하여 가래가 나올수 있도록 해준다.
⑥짜고 매운 음식등 자극적인 음식은 심장에 무리를 주므로 피하도록 한다.
⑦운동을 많이 하도록 격려한다.(특히 걷기) 하지만 무리한 운동은 수술 부위에 통증이 올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