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만약에 그림을 볼 때 옆에 친구가 앞으로 나오거나 그 자리에 서 일어나게 되면 어떨까요?
어린이 : 그림이 안보여요.
어린이 : 안보여서 그림을 보지 못해요.
선생님 : 맞아요. 그림을 볼 때 옆에 친구들이 앞으로 나오거나 일어서 게 되면 그림을 잘 보지 못하고, 다른 친구도 방해하게 될 거 에요. 그렇다면 그림을 잘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린이 : 그림을 보려고 너무 앞에 가지 않아요.
어린이 : 자리에서 일어서지 않아요.
선생님 : 맞아요. 착한아이들은 그림을 볼 때 다른 친구들이 함께 잘 볼 수 있도록 모두 약속을 잘 지킬 거라고 믿어요.
듣기
(바른 태도로 듣기)
읽기
(읽어주는 글 이해하기)
ㆍ선생님이 이야기 할 때 주의 깊게 듣는다.
ㆍ읽어주는 글의 내용에 관심을 보인다.
- 명화 ‘그랑자트섬의 오후’을 보여주며 선생님이 설명한다.
이 그림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요,
동물도 보이네요. 여러분들이 좋아하는 강아지에요.
강도 보이네요. 배에서 노를 젓는 사람들도 있어요.
사람들이 비도 안 오는데 우산을 썼내요.
사람들이 또 하나같이 다 모자를 썼내요.
아이와 함께 온 엄마도 보이네요,
말하기
(바른태도로 말하기,
자신의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
ㆍ말할 차례를 지키며 바른 태도로 말한다.
ㆍ자신의 느낌을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여 말한다.
- 그림을 다 본 후 다시 질문한다.
선생님 : 그림 재밌게 잘 보았나요?
어린이 : 네.
선생님 : 그림 중에 어떤 부분이 가장 기억이 나요? 가장 기억이 남는 부분을 얘기 해볼까요? 아이가 말해볼까요?
어린이 : 우산을 쓰고 있는 거요.
선생님 : 그렇구나, 아이는 그 부분이 기억이 남았군요.
그 우산은 양산이라고 해를 가려주는 우산이에요.
다른 친구도 말 해볼까요? 그래, 아이가 말해볼까요?
어린이 : 저는 사람들이 쓴 모자 때문에 더워보였어요.
선생님 : 아이는 사람들이 모자를 써서 더워보였군요.
그럼 선생님이 질문 하나 해볼까요?
어린이 : 네
선생님 : 그림에 나온 강아지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요?
어린이 : 냄새를 맡고 있었어요.
선생님 : 그래요. 강아지는 과연 무슨 냄새를 맡고 있었을까요?
여러분 모두 그림를 잘 본 것 선생님도 뿌듯해요. 조금 있다가 지금 봤던 그림을 다시 여러분이 그려볼 꺼에요, 그림 내용을 잊지 말고 잘 기억하도록 해요.
그럼 의자에 앉은 사람은 의자를 정리하고 화장실 가고 싶은 친구들은 화장실을 다녀오도록 해요.
어린이 : 그림이 안보여요.
어린이 : 안보여서 그림을 보지 못해요.
선생님 : 맞아요. 그림을 볼 때 옆에 친구들이 앞으로 나오거나 일어서 게 되면 그림을 잘 보지 못하고, 다른 친구도 방해하게 될 거 에요. 그렇다면 그림을 잘 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린이 : 그림을 보려고 너무 앞에 가지 않아요.
어린이 : 자리에서 일어서지 않아요.
선생님 : 맞아요. 착한아이들은 그림을 볼 때 다른 친구들이 함께 잘 볼 수 있도록 모두 약속을 잘 지킬 거라고 믿어요.
듣기
(바른 태도로 듣기)
읽기
(읽어주는 글 이해하기)
ㆍ선생님이 이야기 할 때 주의 깊게 듣는다.
ㆍ읽어주는 글의 내용에 관심을 보인다.
- 명화 ‘그랑자트섬의 오후’을 보여주며 선생님이 설명한다.
이 그림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어요,
동물도 보이네요. 여러분들이 좋아하는 강아지에요.
강도 보이네요. 배에서 노를 젓는 사람들도 있어요.
사람들이 비도 안 오는데 우산을 썼내요.
사람들이 또 하나같이 다 모자를 썼내요.
아이와 함께 온 엄마도 보이네요,
말하기
(바른태도로 말하기,
자신의 느낌, 생각, 경험 말하기)
ㆍ말할 차례를 지키며 바른 태도로 말한다.
ㆍ자신의 느낌을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여 말한다.
- 그림을 다 본 후 다시 질문한다.
선생님 : 그림 재밌게 잘 보았나요?
어린이 : 네.
선생님 : 그림 중에 어떤 부분이 가장 기억이 나요? 가장 기억이 남는 부분을 얘기 해볼까요? 아이가 말해볼까요?
어린이 : 우산을 쓰고 있는 거요.
선생님 : 그렇구나, 아이는 그 부분이 기억이 남았군요.
그 우산은 양산이라고 해를 가려주는 우산이에요.
다른 친구도 말 해볼까요? 그래, 아이가 말해볼까요?
어린이 : 저는 사람들이 쓴 모자 때문에 더워보였어요.
선생님 : 아이는 사람들이 모자를 써서 더워보였군요.
그럼 선생님이 질문 하나 해볼까요?
어린이 : 네
선생님 : 그림에 나온 강아지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요?
어린이 : 냄새를 맡고 있었어요.
선생님 : 그래요. 강아지는 과연 무슨 냄새를 맡고 있었을까요?
여러분 모두 그림를 잘 본 것 선생님도 뿌듯해요. 조금 있다가 지금 봤던 그림을 다시 여러분이 그려볼 꺼에요, 그림 내용을 잊지 말고 잘 기억하도록 해요.
그럼 의자에 앉은 사람은 의자를 정리하고 화장실 가고 싶은 친구들은 화장실을 다녀오도록 해요.
추천자료
활동중심교육을 통한 초등 식생활(영양교육)교육의 방법 및 개발
문학교육-반응중심유아문학활동(만점받음)
문학적 접근법 활동계획안) 동화 '가을'
유아 극놀이의 지도방법, 교사의 역할, 평가
아동문학의 전달방법 중 동화구연에 대해 정의를 기술하고 자신의 생각을 기술 - 동화구연의 ...
만5세에 적합한 동화를 하나 골라 언어활동을 영역별로 제시
[아동건강교육 C형] 만 3세를 위한 안전교육을 계획하시오.(교육내용, 누리과정 내용 환경구...
그림책 줄거리요약 후 그 속에 숨겨진 수학내용지식을 쓰고 영유아에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
극활동이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극활동의 개념, 극활동이 아동에게 미...
[유아교과교육론] <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 (만5세/동화/대집단) - 활동명 : 세계의 문...
[유아교과교육론] <교육(부분)활동(수업)계획안(만4세)> 활동유형(융판동화) 주제(가을) 활동...
그림책 1권을 선정하여, 그림책의 제목, 작가 소개, 그림책 줄거리, 출판사, 출판년도를 밝히...
그림책 1권을 선정하여 수학교육내용(분류, 서열, 수, 측정, 시간, 공간도형)을 근거로 분석...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동요, 동시대회는 필요한 교육과정인지에 대해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