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표현단위 및 해밍코드와 디지털,아날로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데이터 표현단위 및 해밍코드와 디지털,아날로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비트, 바이트의 개념과 데이터 표현단위인 필드, 레코드, 파일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라.
2. 해밍코드에 대해 설명하고, 원본데이터가 00101101일 경우 만들어지는 해밍코드를 풀이과정을 포함해서 쓰시오. 또한 제시한 원본데이터에서 오류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발생한 오류를 어떻게 교정하는지 그 과정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3. 아날로그 신호와와 디지털 신호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4.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anlog-to-Digital Converter)가 필요한 이유와 변환과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ng)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에서 일정한 구간마다 샘플 신호를 선택하는 것
- 양자화(quantization)
표본화에서 선택된 신호의 y축 값을 결정하는 것을 양자화라고 한다. 즉, 표본화된 신호의 크기를 몇 비트의 크기로 표현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표본화에서 선택된 각 신호를 8bit로 표현하면 256가지의 소리의 크기로 구분할 수 있고, 16bit로 표현하면 65,536가지의 소리의 크기로 구분할 수 있다. 표현하는 bit수가 많아지면 소리의 표현은 정확해지나 저장공간이 너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양자화는 그 간격으로 두가지 종류로 구분되어 진다.
* Linear PCM (Pulse Code Modulation) 방식 : 일정한 크기로 구분하는 방식
* Non-Linear PCM 방식 : 가변적인 크기로 구분하는 방식 : 소리가 낮을수록 세밀하게 양자화하고 소리가 클수록 대충 양자화하는 것이다. 이는 사람의 귀가 큰 소리보다 작은소리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착안점으로 만들어진 방식이다.
- 부호화(coding)
저장공간을 줄이기 위해서 샘플값을 암호화하는 것을 부호화라고 한다. 부호화된 디지털 오디오의 크기는 아래의 공식으로 구해진다.
<디지털 오디오 크기 = 표본화율 x 양자화bit수 x 신호의 경과시간>
예) 전화 음석인 경우 초당 8,000 표본이고 표본당 8bit로 양자화 되기 때문에 전화 음성을 위한 속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8,000 x 8 = 64kbps>
[출처] Digital Media 2005 제 4 장 Digital Audio 임영환 - 2006년 4월 PPT 문서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6.0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1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