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심리학 특강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범죄 심리학이란

범죄심리학의 연구분야

우리나라의 범죄심리학

범죄심리사 제도 소개

범죄심리사 1급 수련 내용

사이코패스(Psychopath)

사이코패스의 정의

사이코패스의 특징

의식지도를 통한 정신병리와 범죄의 이해

수치심: 절망(측정수준 20)

죄책감: 보복적 증오(측정수준 30)

무감정: 무기력(측정수준 50)

슬픔 (측정수준 75)

두려움 (측정수준 100)

욕망 (측정수준 125)

분노 (측정수준 150)

자부심 (측정수준 175)

세상을 바라보는 자세와 상담가 자신

본문내용

범죄 심리학이란

범죄심리학은 범죄 및 범죄자를 이해하려는 학문으로 범행 심리, 범죄 수사 등을 다루는 학문이다

범죄의 원인론은 물론 수사, 판결과정, 범죄예측, 교정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연구되어지고 응용된다

범죄학과 범죄 심리학은 차이가 있다
.
.
.
범죄심리학의 필요성 대두
1. 범죄심리에 대한 일반인들의 높은 관심에 비해 최근까지 우리나라에 서 범죄심리학을 실제적으로 이용한 사람은 매우 적음

2. 1990년대, 에이브람센이 쓴 범죄심리학 번역본과 이상현교수가 쓴 범죄심리학 개론서가 전부임

3. 우리나라의 범죄가 증가하고 선진화되어 가면서 교도소 수용인원이 증가하고 과학적 수사기법의 필요성이 대두

4. 2001년 한국심리학회에서 범죄심리사 자격제도 제정

5. 2003년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석,박사 과정 개설, 심리학 전공자들의 범죄분석관, 교도소 임상심리사, 보호관찰사, 피해자 관리관 특재모집 증가
  • 가격13,86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2.10.1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51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