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 품질관리 관리도 보는법 요약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계적 품질관리 관리도 보는법 요약정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관리도의 판정 및 해석

1 관리상태의 판정기준
1. 비관리상태의 이론적 배경
KS Q에 소개되고 있는 8가지 판정규칙

2. 관리도의 비정상적(이상) 성향
- 1 - 돌출성향(Freak Patterns)
- 2 - 연 (Run)
- 3 - 경향(Trend)
- 4 - 규칙적 주기(Cycle)
- 5 - 불안정(Instability)
- 6 - 중심선에 밀짐되는 경우

본문내용

이 상향되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원인을 규명하고 조치를 취해야 한다.
- 4 - 규칙적 주기(Cycle)
점이 주기적으로 상하를 변동하여 파형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주기변동의 원인추구와 관리목적에 따른 군구분의 방법, 시료채취 방법, 데이터를 얻는 방법 또는 데이터의 수정방법을 재검토 해야한다. KS Q의 판정규칙에서는 연속적으로 타점된 14점이 교대로 증감하고 있는 경우는 비관리상태로 판정하고 있다.
- 5 - 불안정(Instability)
점이 중심선 부근에는 거의 없고 불규칙 비정상적으로 큰 폭을 갖고 오르내리는 상태를 불안정 혹은 불안정 혼합(unstable mixture)이라고 하는데, 한계를 넘는 점이 타점한 점의 1/3이상이 되는 경우와 한계를 넘는 점이 타점된 전체의 점 중 5%를 넘는 경우이다. 이러한 상태는 점들이 중심선 부근에 별로 없고 낮은 수준과 높은 수준을 오르내리면서 톱니 같은 모양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표적인 현상인데, 이상원인이 존재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KS Q의 판정규칙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다음과 같은 경우로 규정하고 있으며, 비관리 상태로 판정한다.
1) 연속하는 5점이 상하 관계없이 C영역 (한계)을 넘는 영역에 있다.
정규분포에서 한계내의 확률은 0.6827이므로, 이를 연속적으로 5점이 넘을 확률은
=0.00322 가 된다. 그것은 관리도의 제1종 과오 0.0027과 거의 동일한 확률 로 나타나고 있다.
2) 연속하는 5점 중 4점이 B영역이 또는 그것을 넘는 영역에 있다.
정규분포에서 중심선 한쪽으로 B영역 또는 그것을 넘는 영역의 확률은 와 사이의 확률을 의미하며, 0.15735로 나타난다. 따라서 연속되는 5점 중 4점이 중심선 한쪽으로 나타나는 확률은 이항분포를 이용하면 X 로 계산 되는데, 이 확률은 0.00258로 관리도의 제1종 과오와 거의 같은 확률로 계산되어진다.
- 6 - 중심선에 밀짐되는 경우
작성된 관리도에서 타점된 점이 중심선 가까이에 지나치게 밀집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관리한계폭이 넓어진 경우로 볼 수 있는데, 관리도에서는 작성된 군내변동이 지나치게 커진 경우로 군구분이 잘못된 경우가 많다. 이는 합리적인 부분군의 설정에 문제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질적인 로트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정리하여 하나의 부분군으로 설정한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는 정규분포의 랜덤성을 위배한 경우로 관리상태라고 할 수는 없다.
  • 가격13,8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0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3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