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인지된 경험이나 지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국가들이 상대와의 안보협력을 불신하며 군비를 서로 증강시킨다면 이는 전 지구적 안보딜레마가 형성 되지만 반대의 논리가 확산된다면 이는 전쟁을 없애고 상호 강력한 안보 공동체를 형성 할 수 있다.(하지만 구성주의적인 면에서 모든 걸 설명하기엔 실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힘의 논리나 패권의 전이는 너무 확연하고 뚜렷하다)
현실주의는 국제사회를 힘에 의한 갈등의 연속으로 보며 자유주의는 상호간의 하모니 즉 이익에 의한 조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레짐은 비민주적인 국가의 지도자나 이념에 의해 변질되고 세력균형과 같은 정책에서 퇴보되었다. 국제무역의 증대로 국가 간 경제적인 상호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국제관계의 경쟁은 줄어드는 반면 평화적인 협력이 늘 것이라고 자유주의자들은 정망한다. 하지만 현실주의는 상호존중이 증가 할수록 보이지 않는 곳의 갈등과 경쟁도 오히려 함께 증가할 것이라 본다. 현실주의자들은 국가만을 바라보며 끝없는 대립을 얘기한다. 국제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자유주의자들은 국가 외에 연명이나 집단 안보 등 정부를 대신할 수 있는 국제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윌슨은 이런 세력균형 체제를 탈피하기 위해서 국제기구에 의한 집단 안보라는 개념을 주창해냈다.
현실주의나 자유주의 중 어느 것이 더 지금에 맞는지 혹은 앞으로를 설명해 줄지는 알 수 없다. 모든 현상에 있어서 어느 논리도 맞을 수 있으며 보는 관점에 따라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것으로 인해 구성주의가 발현된 것 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국제정치는 이 양립된 두 가지 논리만 놓고 보더라도 한 가지 시점이 아닌 반대적인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런 자유주의나 현실주의의 부족한 면을 메우다 보면 구성주의를 생각해 보게 되는데 국가 간에 서로를 적으로 혹은 경쟁자나 친구 중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국익이 변화 한다는 설명이다. 합리적 선택이론과 상통하게 되는데 구성주의는 개별국가의 관념이나 규범 제도 정체성 가치체계에 따라 변화된 요인을 갖게 된다. 현실주의나 자유주의를 보충해 준다는 면에서의 구성주의는 꽤 괜찮지만 모든 변수나 상황을 끝도 한도 없이 찾다보면 막상 어느 것이 절대적인 변수가 되는지 찾아내지 못하게 된다.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는데 국제정치를 측정하는 지표는 객관적일 수가 없기에 어떤 현상에 대해 일반적인 통계나 견해를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
아직까지 여러 이론을 놓고 보았을 때 현재의 국제정치를 가장 잘 대변해 주는 것은 현실주의에 의한 세력전이 이론이 아닐까 싶다. 월츠는 국제정치를 설명하는데 체계적인 접근으로 효용성을 잃지 않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한다. 중요시 되어지는 국가의 정체성이나 각 국가 간의 사상, 추구점 등은 개별 국가들의 속성으로서 국제정치를 정의 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의 부상을 놓고만 보아도 결국 자유주의나 구성주의도 현실주의를 바탕으로 한 이론에 약간의 수정이나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어진다.
-국가들이 상대와의 안보협력을 불신하며 군비를 서로 증강시킨다면 이는 전 지구적 안보딜레마가 형성 되지만 반대의 논리가 확산된다면 이는 전쟁을 없애고 상호 강력한 안보 공동체를 형성 할 수 있다.(하지만 구성주의적인 면에서 모든 걸 설명하기엔 실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힘의 논리나 패권의 전이는 너무 확연하고 뚜렷하다)
현실주의는 국제사회를 힘에 의한 갈등의 연속으로 보며 자유주의는 상호간의 하모니 즉 이익에 의한 조화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레짐은 비민주적인 국가의 지도자나 이념에 의해 변질되고 세력균형과 같은 정책에서 퇴보되었다. 국제무역의 증대로 국가 간 경제적인 상호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국제관계의 경쟁은 줄어드는 반면 평화적인 협력이 늘 것이라고 자유주의자들은 정망한다. 하지만 현실주의는 상호존중이 증가 할수록 보이지 않는 곳의 갈등과 경쟁도 오히려 함께 증가할 것이라 본다. 현실주의자들은 국가만을 바라보며 끝없는 대립을 얘기한다. 국제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자유주의자들은 국가 외에 연명이나 집단 안보 등 정부를 대신할 수 있는 국제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윌슨은 이런 세력균형 체제를 탈피하기 위해서 국제기구에 의한 집단 안보라는 개념을 주창해냈다.
현실주의나 자유주의 중 어느 것이 더 지금에 맞는지 혹은 앞으로를 설명해 줄지는 알 수 없다. 모든 현상에 있어서 어느 논리도 맞을 수 있으며 보는 관점에 따라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것으로 인해 구성주의가 발현된 것 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국제정치는 이 양립된 두 가지 논리만 놓고 보더라도 한 가지 시점이 아닌 반대적인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이런 자유주의나 현실주의의 부족한 면을 메우다 보면 구성주의를 생각해 보게 되는데 국가 간에 서로를 적으로 혹은 경쟁자나 친구 중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국익이 변화 한다는 설명이다. 합리적 선택이론과 상통하게 되는데 구성주의는 개별국가의 관념이나 규범 제도 정체성 가치체계에 따라 변화된 요인을 갖게 된다. 현실주의나 자유주의를 보충해 준다는 면에서의 구성주의는 꽤 괜찮지만 모든 변수나 상황을 끝도 한도 없이 찾다보면 막상 어느 것이 절대적인 변수가 되는지 찾아내지 못하게 된다.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지는데 국제정치를 측정하는 지표는 객관적일 수가 없기에 어떤 현상에 대해 일반적인 통계나 견해를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
아직까지 여러 이론을 놓고 보았을 때 현재의 국제정치를 가장 잘 대변해 주는 것은 현실주의에 의한 세력전이 이론이 아닐까 싶다. 월츠는 국제정치를 설명하는데 체계적인 접근으로 효용성을 잃지 않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한다. 중요시 되어지는 국가의 정체성이나 각 국가 간의 사상, 추구점 등은 개별 국가들의 속성으로서 국제정치를 정의 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의 부상을 놓고만 보아도 결국 자유주의나 구성주의도 현실주의를 바탕으로 한 이론에 약간의 수정이나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고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