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1번가 소개
(1) 개요
(2) 핵심역량
2. 오픈마켓 분석
(1) 오픈마켓 의의
(2) 오픈마켓 특징
(3) 오픈마켓 현황
(4) 오픈마켓 경쟁사
3. 11번가 문제점
(1) 서비스 실용성
(2) 빠른 쇼핑 vs 즐거운 쇼핑
(3) 레드오션
4. 11번가 전략적 방안
(1) 기존 문제점 개선
(2) 새로운 서비스
5. 최종 평가
(1) 개요
(2) 핵심역량
2. 오픈마켓 분석
(1) 오픈마켓 의의
(2) 오픈마켓 특징
(3) 오픈마켓 현황
(4) 오픈마켓 경쟁사
3. 11번가 문제점
(1) 서비스 실용성
(2) 빠른 쇼핑 vs 즐거운 쇼핑
(3) 레드오션
4. 11번가 전략적 방안
(1) 기존 문제점 개선
(2) 새로운 서비스
5. 최종 평가
본문내용
네트워크인 “싸이월드”에 특성에 맞게 벤치마킹한다면 좀 더 효과가 극대화 된 싸이월드, 그로 인해 더욱 활성화 된 11번가의 모습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이는 어느 한 쪽 사업에 치우친 전략이 아닌 Win-Win이 가능한 전략으로 SK 전체 기업 내에서 굉장히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2) Web 2.0
두 번째는 Web 2.0을 이용한 장바구니와 제품 매칭 시스템이다. 11번가의 전략은 '즐거운 쇼핑' 시스템이다. 그런데 '즐거운 쇼핑'은 어떤 것일까. 인터넷 쇼핑은 오프라인 쇼핑과는 다른 점이 많다. 물론 많은 장점이 있지만 또 그만큼 단점도 존재한다. 우리는 그러한 단점을 오프라인 쇼핑과 비슷한 구매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보완하려고 한다. 친구와 쇼핑 같이하기 등 여러 방안을 모색 중인데 다음의 아이디어들도 그 중 하나로 포함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바구니 시스템은 내가 관심가지고 있는 상품을 모아서 장바구니 페이지에서 내가 어떤 제품을 고려중인지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www.panic.com/goods의 장바구니 시스템은 웹페이지 하단에 실제적인 장바구니를 만들어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실질적인 의미의 장바구니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이 어떠한 상품들을 관심가지고 있는지 바로바로 파악 할 수 있을뿐더러 바로바로 상품들을 비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 웹페이지의 이용자가 오프라인 마켓같이 상품을 바구니에 담고 빼는 즐거움도 부가적인 장점이다. 의류는 오픈 마켓이 주된 판매 상품군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시장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주된 것은 자신의 체형과 맞는 옷인가, 제품의 질을 어떠한가에 대해서 많은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우리는 개인 아바타를 통한 옷 입어보기 등 다양한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 www.fashmatch.com의 매칭 시스템도 우리가 원하는 오프라인 마켓과 동일한 구매환경 제공의 일부분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 웹페이지를 이용하는 잠정적인 고객들은 상의와 하의 뿐 아니라 구두나 각종 악세사리와 매칭 시키면서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다.
3) M-Commerce
현재 M-Commerce 서비스는 기술력의 부재나 높은 투자비용 등 여러 제약의 이유로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몇 가지 제약 조건이 해결된다면 M-Commerce는 훌륭한 시장이 될 수 있다. 현재 오픈 마켓은 오프라인 시장과는 연동되지 못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는 소비자와판매자 그리고 기업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기 때문에 기존의 온라인 마켓과는 다르게 우리는 M-Commerce를 이용한 오프라인마켓과의 연동을 모색 한다. 6개월간의 시범서비스를 거쳐 시작한 Goopas 서비스는 날마다 지하철의 일정 구간을 왕복 이용하는 학생이나 직장인 등 정액권 구입자를 대상으로 자동개찰기를 통과하는 시간에 맞춰 하루 4번 행선지 정보나 쇼핑 정보, 할인쿠폰, 퀴즈, 리서치 등 개인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와 광고를 전송해 준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지하철 정액권을 구입해 13자리 정액권 넘버를 Goopas 웹사이트에 입력한 뒤, 회원가입을 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된다. 지하철역이라는 장소와 타이밍을 결합한 맞춤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의 경우 20%를 상회하는 클릭률을 자랑하고 있고 현재 63개의 기업이 Goopas를 이용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11번가는 SK라는 국내 굴지의 그룹에서 런칭된 만큼 다른 SK자회사와 연동된 서비스 제공 가능성이 높다. 이미 국내 가장 큰 이동통신사를 운영하구 있는 SK는 goopas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능력이 충분하다. 이런 점에 기대어 11번가는 온라인 시장과 오프라인 시장의 연결고리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할 수 있다. 즉 온라인 마켓을 이용하는 셀러들은 오프라인 마켓도 함께 겸하는 경우도 많다. 11번가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소비자들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 주변에 등록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마켓이 있을 경우 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에 M-Commerce를 구상하고 있다.
5. 최종 평가
오픈마켓에서 토종기업으로 유일하게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11번가밖에 안 남아있다. 우리나라 토종기업을 살리는 게 경제도 살리고 여러모로 좋을 것 같다. 비록 앞에서 열거 한 것처럼 문제도 많지만 아직 역사가 짧아 그렇다고 생각된다. 이런 문제점만 고치면 충분히 거대 오픈마켓이 다시 만들어질 것이다. 그리고 일단은 가격차별에 좀 더 힘을 써야 할 것 같다. 11번가는 다른 기업에 비해 가격 차별성에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인터넷 쇼핑을 이용하는 이유는 가격과 편의성인데, 가격이 높으면 굳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11번가 사이트의 완성도는 높은 편이라고 본다. 충분히 눈길을 끌만 한 부분도 있고 새로운 시도들이 새로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계속 이야기 하였지만 중요한 것은 이제부터라고 결론지었다. 빠른 쇼핑과 즐거운 쇼핑이라는 구분은 다소 식상했지만 제대로 구현되었다면 11번가의 의미를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SK텔레콤의 자금력과 마케팅 능력도 무시할 수 없는 강점이고, 기술력 또한 갖추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현재 11번가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고객의 수가 더 늘어나고 서비스가 안정화되는 시점에서 다른 오픈마켓 시장과의 경쟁에서 차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SK의 다른 온/오프라인 서비스, 사업과의 컨버전스에 있다고 결론짓고 수익성을 갖춘 세부전략에 대해 프로젝트의 방향을 맞추어 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11st.co.kr
www.gmarket.co.kr
www.auction.co.kr
www.seri.org
www.lgeri.com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2) Web 2.0
두 번째는 Web 2.0을 이용한 장바구니와 제품 매칭 시스템이다. 11번가의 전략은 '즐거운 쇼핑' 시스템이다. 그런데 '즐거운 쇼핑'은 어떤 것일까. 인터넷 쇼핑은 오프라인 쇼핑과는 다른 점이 많다. 물론 많은 장점이 있지만 또 그만큼 단점도 존재한다. 우리는 그러한 단점을 오프라인 쇼핑과 비슷한 구매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보완하려고 한다. 친구와 쇼핑 같이하기 등 여러 방안을 모색 중인데 다음의 아이디어들도 그 중 하나로 포함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장바구니 시스템은 내가 관심가지고 있는 상품을 모아서 장바구니 페이지에서 내가 어떤 제품을 고려중인지 볼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www.panic.com/goods의 장바구니 시스템은 웹페이지 하단에 실제적인 장바구니를 만들어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다. 실질적인 의미의 장바구니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자신이 어떠한 상품들을 관심가지고 있는지 바로바로 파악 할 수 있을뿐더러 바로바로 상품들을 비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 웹페이지의 이용자가 오프라인 마켓같이 상품을 바구니에 담고 빼는 즐거움도 부가적인 장점이다. 의류는 오픈 마켓이 주된 판매 상품군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시장에서 의류를 구매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다. 그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주된 것은 자신의 체형과 맞는 옷인가, 제품의 질을 어떠한가에 대해서 많은 의구심이 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우리는 개인 아바타를 통한 옷 입어보기 등 다양한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 www.fashmatch.com의 매칭 시스템도 우리가 원하는 오프라인 마켓과 동일한 구매환경 제공의 일부분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 웹페이지를 이용하는 잠정적인 고객들은 상의와 하의 뿐 아니라 구두나 각종 악세사리와 매칭 시키면서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을 찾을 수 있다.
3) M-Commerce
현재 M-Commerce 서비스는 기술력의 부재나 높은 투자비용 등 여러 제약의 이유로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몇 가지 제약 조건이 해결된다면 M-Commerce는 훌륭한 시장이 될 수 있다. 현재 오픈 마켓은 오프라인 시장과는 연동되지 못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는 소비자와판매자 그리고 기업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기 때문에 기존의 온라인 마켓과는 다르게 우리는 M-Commerce를 이용한 오프라인마켓과의 연동을 모색 한다. 6개월간의 시범서비스를 거쳐 시작한 Goopas 서비스는 날마다 지하철의 일정 구간을 왕복 이용하는 학생이나 직장인 등 정액권 구입자를 대상으로 자동개찰기를 통과하는 시간에 맞춰 하루 4번 행선지 정보나 쇼핑 정보, 할인쿠폰, 퀴즈, 리서치 등 개인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와 광고를 전송해 준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지하철 정액권을 구입해 13자리 정액권 넘버를 Goopas 웹사이트에 입력한 뒤, 회원가입을 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된다. 지하철역이라는 장소와 타이밍을 결합한 맞춤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의 경우 20%를 상회하는 클릭률을 자랑하고 있고 현재 63개의 기업이 Goopas를 이용해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11번가는 SK라는 국내 굴지의 그룹에서 런칭된 만큼 다른 SK자회사와 연동된 서비스 제공 가능성이 높다. 이미 국내 가장 큰 이동통신사를 운영하구 있는 SK는 goopas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능력이 충분하다. 이런 점에 기대어 11번가는 온라인 시장과 오프라인 시장의 연결고리를 소비자들에게 제공 할 수 있다. 즉 온라인 마켓을 이용하는 셀러들은 오프라인 마켓도 함께 겸하는 경우도 많다. 11번가는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소비자들이 지하철을 이용할 때 주변에 등록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오프라인 마켓이 있을 경우 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에 M-Commerce를 구상하고 있다.
5. 최종 평가
오픈마켓에서 토종기업으로 유일하게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11번가밖에 안 남아있다. 우리나라 토종기업을 살리는 게 경제도 살리고 여러모로 좋을 것 같다. 비록 앞에서 열거 한 것처럼 문제도 많지만 아직 역사가 짧아 그렇다고 생각된다. 이런 문제점만 고치면 충분히 거대 오픈마켓이 다시 만들어질 것이다. 그리고 일단은 가격차별에 좀 더 힘을 써야 할 것 같다. 11번가는 다른 기업에 비해 가격 차별성에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인터넷 쇼핑을 이용하는 이유는 가격과 편의성인데, 가격이 높으면 굳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11번가 사이트의 완성도는 높은 편이라고 본다. 충분히 눈길을 끌만 한 부분도 있고 새로운 시도들이 새로운 수익성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계속 이야기 하였지만 중요한 것은 이제부터라고 결론지었다. 빠른 쇼핑과 즐거운 쇼핑이라는 구분은 다소 식상했지만 제대로 구현되었다면 11번가의 의미를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SK텔레콤의 자금력과 마케팅 능력도 무시할 수 없는 강점이고, 기술력 또한 갖추고 있다고 본다. 이러한 현재 11번가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 고객의 수가 더 늘어나고 서비스가 안정화되는 시점에서 다른 오픈마켓 시장과의 경쟁에서 차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SK의 다른 온/오프라인 서비스, 사업과의 컨버전스에 있다고 결론짓고 수익성을 갖춘 세부전략에 대해 프로젝트의 방향을 맞추어 가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11st.co.kr
www.gmarket.co.kr
www.auction.co.kr
www.seri.org
www.lgeri.com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키워드
추천자료
오픈마켓 산업분석
오픈마켓의 시장 현황
인터넷쇼핑몰의 트렌드와 주요 종합쇼핑몰, 오픈마켓의 매출동향, 사업전략 분석 (07년, 1/4)
온라인 시장에서의 오픈 마켓의 발전과 장단점
오픈마켓 실패사례
G마켓 분석자료
E-비즈니스의 이해Ⅱ - 오픈마켓의 실태 -
CRM - 11번가 (파워포인트 애니메이션용)
오픈마켓(옥션,지마켓)의 대표 사이트를 비교, 분석하시오
오픈마켓의 현황 및 사례분석 PPT
오픈 마켓 성공 사례 - 메디앤케어
오픈마켓 생존 전략 GMarket 성공 사례 및 문제점, R&C분석
Gmarket 유통관리론 수업 - G마켓,온라인마케팅사례조사,오픈마켓,옥션,브랜드마케팅,서비스...
오픈 마켓의 세금 폭탄,! (오픈 마켓, 세금폭탄, 사연소개, 배경, 문제점, 긍정적 측면).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