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수당
2. 출산수당, 보육수당
3. 기초노령연금
2. 출산수당, 보육수당
3. 기초노령연금
본문내용
(2011년 1월 기준으로 2008년 2월생부터 해당)
소득인정
기준액변경
기존
4인 가족 163만원 이하
변경
4인 가족 173만원 이하
지급액
변경
기존
월 100,000원 / 1인당
변경
가. 0~11개월 - 200,000원 / 1인
나. 12~23개월 - 150,000원 / 1인
다. 24~35개월 - 100,000원 / 1인
2011년 1월 1일부터 시행하며 2008년 1월생이 2011년 1월에 신청하여 책정되었을 경우엔 2011년 1월분만 지급예정
2011년도 보육수당 지원안내(보육시설 이용아동)
서민희망 3대 핵심과제 추진되면 2011년 달라지는 것들
핵심과제
주요지표
2010년
2011년(안)
국가가
책임지는 보육
무상보육대상(4인가구
월소득 258만원 이하
월소득 450만원 이하
맞벌이 무상보육 대상
월소득 498만원 이하
월소득 600만원 이하
양육수당(대상연령)
월 10만원(0~14세)
월 20만~10만원(0~2세)
육아휴직급여
월 50만원
월 최대 100만원
희망교육사다리
복원
전문계고 교육비 지원
-
연 1인당 120만원
전문계고 산업체 현장연수
-
1인당 70만원
전문계고 선진화 지원
-
1개교당 2억원
함께하는 다문화
사회
다문화가족 무상보육
월소득 258만원 이하
전원
가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140개소
200개소
다문화자녀방문교육지도사 육성
2340명
3400명
3. 기초노령연금
1991년부터 생활보호대상노인에게 지급해 오던 노령수당을 1998년 7월 1일부터 경로연금으로 대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소득보장혜택을 부여함으로써 노후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고, 전 국민연금이 실시되어도 연령상의 이유로 국민연금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에게 연금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목적
경로연금의 지급대상 : 65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1933. 7. 1. 이전 출생의 저소득노인
경로연금의 지급액 : 80세 이상 월 5만 원, 65~79세 월 4만 원이며 일반 저소득 노인 중 전액 지급자는 월 3만 원, 감액 지급자는 월 22,500원 l3
참고문헌
1. 현외성 외, “사회복지정책강론”, 양서원, 2006.
2. 강욱모 외,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청목, 2002
3. 고영복 편저, “사회복지론”, 사회문제연구소, 1991
송근원 김태성 사회복지정책론 나남
길버트 테렐 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사회복지 정책론 1급 시험 대비 나눔의 집
소득인정
기준액변경
기존
4인 가족 163만원 이하
변경
4인 가족 173만원 이하
지급액
변경
기존
월 100,000원 / 1인당
변경
가. 0~11개월 - 200,000원 / 1인
나. 12~23개월 - 150,000원 / 1인
다. 24~35개월 - 100,000원 / 1인
2011년 1월 1일부터 시행하며 2008년 1월생이 2011년 1월에 신청하여 책정되었을 경우엔 2011년 1월분만 지급예정
2011년도 보육수당 지원안내(보육시설 이용아동)
서민희망 3대 핵심과제 추진되면 2011년 달라지는 것들
핵심과제
주요지표
2010년
2011년(안)
국가가
책임지는 보육
무상보육대상(4인가구
월소득 258만원 이하
월소득 450만원 이하
맞벌이 무상보육 대상
월소득 498만원 이하
월소득 600만원 이하
양육수당(대상연령)
월 10만원(0~14세)
월 20만~10만원(0~2세)
육아휴직급여
월 50만원
월 최대 100만원
희망교육사다리
복원
전문계고 교육비 지원
-
연 1인당 120만원
전문계고 산업체 현장연수
-
1인당 70만원
전문계고 선진화 지원
-
1개교당 2억원
함께하는 다문화
사회
다문화가족 무상보육
월소득 258만원 이하
전원
가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
140개소
200개소
다문화자녀방문교육지도사 육성
2340명
3400명
3. 기초노령연금
1991년부터 생활보호대상노인에게 지급해 오던 노령수당을 1998년 7월 1일부터 경로연금으로 대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인들에게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소득보장혜택을 부여함으로써 노후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고, 전 국민연금이 실시되어도 연령상의 이유로 국민연금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에게 연금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목적
경로연금의 지급대상 : 65세 이상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1933. 7. 1. 이전 출생의 저소득노인
경로연금의 지급액 : 80세 이상 월 5만 원, 65~79세 월 4만 원이며 일반 저소득 노인 중 전액 지급자는 월 3만 원, 감액 지급자는 월 22,500원 l3
참고문헌
1. 현외성 외, “사회복지정책강론”, 양서원, 2006.
2. 강욱모 외,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청목, 2002
3. 고영복 편저, “사회복지론”, 사회문제연구소, 1991
송근원 김태성 사회복지정책론 나남
길버트 테렐 사회복지정책론 나눔의 집
사회복지 정책론 1급 시험 대비 나눔의 집
추천자료
미국의 저소득모자가정 현황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한국의 저출산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저출산문제][출산율저하][출산력]저출산문제(출산율저하)의 원인, 출산력 변천과 희망자녀수...
[저출산]저출산의 문제의 원인과 배경, 저출산 사회문제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모색, 저출산사...
[고령화사회]고령화사회의 원인과 배경 분석, 고령화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심각성과 해결...
[저출산] 저출산문제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방안과 나의 의견 - 저출산에 대한 이론적 접...
아동복지론 - 저출산의 원인과 해결방안
고령화 저출산에 대한 대응방안<사회복지적 측면>
우리나라의 저출산.고령화대책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문제와 대안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문제론] 노인주거문제, 저소득층, 임대주택, 세대별, 계층별 문제점, 해결방안 : ...
저출산을 극복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해 생각을 나눠보세요.
현재의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서 아동복지와 노인복지의 정책 중 어느 복지에 더 생산성 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