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져 있는 성당에서 거둔 헌금을 일단 로마로 다 보내도록 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 돈을 다시 각 지역의 성당 운영비와 성직자들의 봉급으로 환전해 보내주었습니다.
비에리 메디치는 교황청으로 달려가, 영업사원과 같이 거둔 헌금을 환전하게 해 달라는 제안을 합니다. 그는 전 세계에서 모여드는 헌금들을 로마 돈으로 환산해서 메디치 은행에 보관해두었다가 교황청이 필요로 할 때 즉시 주겠다고 이야기 합니다. 또한 세계 어느 나라로 돈을 보내건 다른 은행보다 훨씬 싼 환율로 환전해 주겠다고 제안을 합니다.
비에리 메디치는 프랑스에서 거둔 헌금의 대부분이 다시 프랑스 교회 운영비로 지급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각 나라 성당이 교황청으로 보내는 돈을 굳이 로마 돈으로 환전하는 대신, 그 나라에 메디치 은행을 세워 보관했다가 다시 지급하면 되었습니다.
즉, 장부상으로만 돈을 바꾸는 것으로 막대한 환차익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입니다. 교황에게는 헌금의 현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계좌'를 만들어 줌으로써 보관과 도난에 대한 염려를 덜어주었습니다. 비에리 메디치 입장에서는 실제로 환전할 필요 없이 그 나라에서 들어온 돈을 그 나라 성당에 보내면 되므로 환율을 대폭 낮춰도 남는 장사였던 것입니다.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는 '알짜 비즈니스‘ 였던 것입니다.
교황청은 이를 통해 멋진 성당과 예술 작품을 사들일 수있는 여력이 생겼으며 이는 르네상스 예술의 불씨를 당길 수 있게 했습니다. 초창기에 메디치 은행이 관리하던 교황청의 돈은 10만 피오리노(약 4조원)였습니다. 비에리 메디치의 조카 조반니 메디치는 오랫동안 은행 창고에서 잠자고 있는 이 돈을 이용하여 사채의 형태를 띤 장사를 시작합니다.
당시 피렌체에는 베네치아에서 대형 무역 사업을 하는 상인들이 많았는데, 무역을 하려면 배가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동양과 아랍에서 물건을 사오려면 거의 전 재산을 배에 투자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배에서 물건을 풀기 전에는 현금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역업자들은 자금 압박을 받곤 했습니다. 조반니는 이러한 틈새시장을 이용하여 현금이 즉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아직 도착하지 않은 물건들을 할인하여 미리 자신에게 팔도록 합니다. 조반니는 이러한 형태로 할인 사업을 실시하여 큰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이후 조반니의 아들 코시모는 명반에 투자하여 실크 산업에서 성공할 수 있었고 또 다른 큰 부를 이루기도 합니다.
비에리 메디치는 교황청으로 달려가, 영업사원과 같이 거둔 헌금을 환전하게 해 달라는 제안을 합니다. 그는 전 세계에서 모여드는 헌금들을 로마 돈으로 환산해서 메디치 은행에 보관해두었다가 교황청이 필요로 할 때 즉시 주겠다고 이야기 합니다. 또한 세계 어느 나라로 돈을 보내건 다른 은행보다 훨씬 싼 환율로 환전해 주겠다고 제안을 합니다.
비에리 메디치는 프랑스에서 거둔 헌금의 대부분이 다시 프랑스 교회 운영비로 지급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각 나라 성당이 교황청으로 보내는 돈을 굳이 로마 돈으로 환전하는 대신, 그 나라에 메디치 은행을 세워 보관했다가 다시 지급하면 되었습니다.
즉, 장부상으로만 돈을 바꾸는 것으로 막대한 환차익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입니다. 교황에게는 헌금의 현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계좌'를 만들어 줌으로써 보관과 도난에 대한 염려를 덜어주었습니다. 비에리 메디치 입장에서는 실제로 환전할 필요 없이 그 나라에서 들어온 돈을 그 나라 성당에 보내면 되므로 환율을 대폭 낮춰도 남는 장사였던 것입니다.
그야말로 '꿩 먹고 알 먹는 '알짜 비즈니스‘ 였던 것입니다.
교황청은 이를 통해 멋진 성당과 예술 작품을 사들일 수있는 여력이 생겼으며 이는 르네상스 예술의 불씨를 당길 수 있게 했습니다. 초창기에 메디치 은행이 관리하던 교황청의 돈은 10만 피오리노(약 4조원)였습니다. 비에리 메디치의 조카 조반니 메디치는 오랫동안 은행 창고에서 잠자고 있는 이 돈을 이용하여 사채의 형태를 띤 장사를 시작합니다.
당시 피렌체에는 베네치아에서 대형 무역 사업을 하는 상인들이 많았는데, 무역을 하려면 배가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동양과 아랍에서 물건을 사오려면 거의 전 재산을 배에 투자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배에서 물건을 풀기 전에는 현금을 얻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역업자들은 자금 압박을 받곤 했습니다. 조반니는 이러한 틈새시장을 이용하여 현금이 즉시 필요한 사람들에게 아직 도착하지 않은 물건들을 할인하여 미리 자신에게 팔도록 합니다. 조반니는 이러한 형태로 할인 사업을 실시하여 큰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이후 조반니의 아들 코시모는 명반에 투자하여 실크 산업에서 성공할 수 있었고 또 다른 큰 부를 이루기도 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미지의 걸작과 요나 통한 예술과 예술가
마키아벨리 군주론(君主論)
복식의 시대변천
루벤스의 작품감상및 평가
아로마 테라피
여왕 마고를 보고
[A+평가 레포트]발레의 역사 - 발레의 발생, 발전, 발레의 성장, 낭만 발레, 러시아 발레, 현...
군주론을 읽고
[르네상스][건축][건축가][철학][수사학][음악]르네상스의 어원, 르네상스의 의미, 초기 르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의의,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인,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건축, 이탈리아 ...
FRANCE (프랑스)
르네상스 시대 도서관에 대하여 -서구 인쇄술의 발명과 도서관-
서양건축사 르네상스(Renaissance) 건축 - 14∼6세기에 서유럽 문명사에 나타난 문화운동.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