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바보제란?
∎ 서론
∎ 1장. 제축(祭祝)
1. 제축: 그 구성요소
2. 제축과 신의 죽음
∎ 2장. 환상(幻想)
1. 환상: 그 구성요소
2. 환상과 종교
3. 환상과 유토피아
∎ 3장.
∎ 서론
∎ 1장. 제축(祭祝)
1. 제축: 그 구성요소
2. 제축과 신의 죽음
∎ 2장. 환상(幻想)
1. 환상: 그 구성요소
2. 환상과 종교
3. 환상과 유토피아
∎ 3장.
본문내용
에서 새로운 신학이 새생명을 얻는다고 말한다. 신의 죽음의 신학자는 과거와 관계를 끊음으로서 현재 살수 있기를 원하고, 신앙이 우리들의 역사에 완전한 현실로서 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주장한다. 즉 그들은 현재를 신성시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들에게서 배울 수 있는 점은 환상과 개인의 관계에서 보듯 과거에 집착하는 신학에서 탈피하고자 했음이다.
환상의 요소에 관해서는 현실의 불의와 치우친 조직화 사회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유토피아를 그리기 위해 혁명도 불사하겠다는 신전투파를 통해 찾고 있다. 이것을 신학적으로는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제도 탐색을 하는 소망의 신학과 결부시킨다. 두가지 대비되는 운동과 신학의 갈래이지만 이를 통해서 제축과 환상의 정신이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 광대 그리스도
현대의 세속적 심상에 그리스도가 광대로 등장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그리스도의 광대의 모습이야 말로 제축과 환상이 거의 사라진 현대에 있어 제축과 환상의 화신이라 할 수 있다. 그리스도는 여러 가지 모습으로 지나간 시대에 나타났는데 광대그리스도의 상징은 초기 기독교사와 아주 잘 부합되며, 이후에도 성경이나 시 등에서 희극적인 모습이 드러나는 것과 같이 광대로서의 그리스도의 상징은 깊은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기도는 흥취와 제축적 기분을 담고 있다는 점, 자신의 진정성을 보게 하면서 과거에 속박되지 않는 행위 등이 놀이가 가진 환상의 기능과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기도는 놀이라고 말한다. 이와 함께 기독교의 희극성을 강조한다. 이 희극성이 인간에게 제축과 환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것이다.
환상의 요소에 관해서는 현실의 불의와 치우친 조직화 사회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유토피아를 그리기 위해 혁명도 불사하겠다는 신전투파를 통해 찾고 있다. 이것을 신학적으로는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제도 탐색을 하는 소망의 신학과 결부시킨다. 두가지 대비되는 운동과 신학의 갈래이지만 이를 통해서 제축과 환상의 정신이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 광대 그리스도
현대의 세속적 심상에 그리스도가 광대로 등장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그리스도의 광대의 모습이야 말로 제축과 환상이 거의 사라진 현대에 있어 제축과 환상의 화신이라 할 수 있다. 그리스도는 여러 가지 모습으로 지나간 시대에 나타났는데 광대그리스도의 상징은 초기 기독교사와 아주 잘 부합되며, 이후에도 성경이나 시 등에서 희극적인 모습이 드러나는 것과 같이 광대로서의 그리스도의 상징은 깊은 역사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기도는 흥취와 제축적 기분을 담고 있다는 점, 자신의 진정성을 보게 하면서 과거에 속박되지 않는 행위 등이 놀이가 가진 환상의 기능과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기도는 놀이라고 말한다. 이와 함께 기독교의 희극성을 강조한다. 이 희극성이 인간에게 제축과 환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것이다.
추천자료
[독후감]‘인간속의 악마’를 읽고
[독후감] 전인권 ‘남자의 탄생’
[독후감] <감시와 처벌>을 읽고 _ 미셀 푸코 저
[독후감] ‘오래된 미래’를 읽고 _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저
[독후감] 에너지 버스 (THE ENERGY BUS) _ 존 고든 (Jon Gordon) 저
[독후감] 남자의 탄생
[독후감, 비평] 당신들의 대한민국 _ 박노자 저
[독후감] 연애의 시대
[독후감] 박원서의 나목
[독후감] 감시와 처벌
[독후감] 연애의 시대
[독후감] 연애의 시대 _ 권보드래 지음
[독후감] 바보 예수
[독후감] 『리콴유 자서전 (The Singapore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