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관련이론
1. 생산능력
2. 이용률
3. make-to-stock 과 make-to-order
II.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사례분석
1. 맥도날드
(1) 프로세스 흐름에 대한 다이어그램
(2) 맥도날드는 make-to-stock인가?
(3) 생산능력 산출 및 병목현상
2. 버거킹
(1) 프로세스 흐름에 대한 다이어그램
(2) 버거킹은 make-to-order인가?
(3) 생산능력 산출 및 병목현상
3.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1) 그릴 시스템 vs 체인브로일러 시스템
(2)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1. 생산능력
2. 이용률
3. make-to-stock 과 make-to-order
II.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사례분석
1. 맥도날드
(1) 프로세스 흐름에 대한 다이어그램
(2) 맥도날드는 make-to-stock인가?
(3) 생산능력 산출 및 병목현상
2. 버거킹
(1) 프로세스 흐름에 대한 다이어그램
(2) 버거킹은 make-to-order인가?
(3) 생산능력 산출 및 병목현상
3.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1) 그릴 시스템 vs 체인브로일러 시스템
(2)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본문내용
: 5.5개 = 3600초 : X개
- 평균산출률(최대)을 구해보면, 금요일의 오후12시~13시이므로(최소는 화요일 오전10~11시. -과정생략-)
(34227 ÷ 4.3) × 0.18 × 0.179 = 256
즉 가장 피크타임일 때의 샌드위치 수요라 할 수 있다.
- 이는 다시 여러 종류의 버거로 나뉘게 된다.
샌드위치 종류
매출비율
패티수
햄 버 거
0.186
48
합: 147
치 즈 버 거
0.2
51
더블치즈버거
0.094
24×2=
48
와 퍼
0.145
37
합 : 80
치 즈 와 퍼
0.077
20
와퍼주니어
0.09
23
- 브로일러의 이용률을 구해보면(유효이용률과 설계이용률을 구할 수 있다)
<유효이용율>
일반햄버거가 시간당 200개 만들어 질때 2파운드 고기덩어리는 147개 만들어지므로
(147 ÷ 200) × 100 = 74%
와퍼샌드위치가 시간당 100개 만들어 질때 3.6파운드 고기덩어리는 80개 만들어지므로 (80 ÷ 100) × 100 = 80%
<설계이용률>
일반햄버거가 시간당 480개까지 만들어질 수 있을 때 2파운드고기는 147개 만들어지므로
(147 ÷ 480) × 100 = 31%
와퍼샌드위치가 시간당 330개까지 만들어질 수 있을 때 3.6파운드 고기는 80개 만들어지므로
(80 ÷ 330) × 100 = 24%
- 따라서 브로일러의 이용률은 다음과 같다.
일반햄버거
와퍼샌드위치
유효이용률
5% ~ 74%
6% ~ 80%
설계이용률
2% ~ 31%
2% ~ 24%
- 가장 한가할 때는 5~6% 정도의 이용률이 피크타임에는 74~80%에 육박할 정도로 이용률이 올라갔다.
3.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1) 맥도날드 그릴 시스템 vs 버거킹의 체인브로일러 시스템
그릴시스템과 브로일러 시스템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부터 그 차이점이 나타난다. 맥도널드의 그릴의 경우 불판 위의 햄버거 패티를 기름 위에 지글지글 튀겨서 조리를 하는 반면에, 버거킹의 경우는 고기를 올려놓은 체인이 flame-broiled방식이라 부르는 불꽃 석쇠를 통과하여 고기나 빵을 불 위에 직접 구워서 음식을 조리한다.
그릴시스템과 브로일러 시스템의 차이점은 또 다른 차이는 공정이 연속형이냐 아니냐에 달려 있다. 그릴시스템의 경우 일단 한 명 이상의 작업자에 의해서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며, 일단 한번 고기를 굽고 난 후에는 15초간 그릴을 청소해야 하고 다음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시간의 간격이 필요하다. 또한 계속적으로 작업자의 관리 하에 모든 음식이 조리된다.
한편 체인 브로일러(continuous chain broiler) 시스템은 고성능의 자동화된 조리기구로 특별 제작된 콘베이어형 프로세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한번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연속적으로 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고기나 빵을 체인 위에 올려놓으면 그 체인은 브로일러 안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통과하면서 고기나 빵을 조리하며, 이러한 가공과정은 모두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작업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도 음식을 연속해서 가공할 수 있다.
(2) 맥도널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부문
- 맥도날드 : make-to-order 시스템을 이용한 재고의 비축으로 보다 신속하게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
- 버거킹 : make-to-order 시스템중 주문조립생산공정을 통화여 보다 고객화 된 제품을 제공하고자 함
- 맥도날드 : 그릴에 고기를 튀기는 방식
버거킹 : 브로일러를 이용 석쇠에 고기를 굽는 방식
-> 맛에서 차이가 남
② 생산 및 서비스에 관한 부문
- 생산능력을 살펴보면 유효생산능력이나 설계생산능력에서 맥도널드가 버거킹 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즉 시간당 만들 수 있는 햄버거의 수가 맥도널드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시 말해 맥도널드는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수의 햄버거를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맥도널드의 신속함과 연결이 된다.
- 각 공정에 대한 이용율을 살펴보면 맥도널드가 버거킹보다 낮은 이용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맥도널드가 버거킹보다 더 폭발적인 수요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맥도널드가 추구하는 보다 많은 고객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버거킹의 경우, 브로일러에 대한 이용율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만약 수요가 급증할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더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맥도널드와 버거킹의 비교를 통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해석)
한편 버거킹의 경우 재고수준은 낮고 브로일러에 대한 의존율이 높은데, 만약 브로일러에 이상(기계의 오류 등)이 생길 경우, 상당히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이상 생산을 못한다던지...등등)
- 두 기업은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에서도 차이가 있다. 맥도널드의 경우는 완성된 제품을 하나의 재고로 유지하여 이미 완성된 제품에는 더 이상의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는 반면, 버거킹의 경우는 각 재료(고기, 빵, 야채등)들에 대해서는 이미 조리가 다 끝난 상태이되 각기 재료들은 따로 보관하고 있어 언제든지 고객의 욕구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조립품에 대한 재고를 유지하고 있었다.
- 프로세스의 흐름에서도 보면 맥도널드를 볼 경우 각 제품에 대해 경직된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는 반면에 버거킹의 경우 언제든지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보다 탄력적인 공정을 통해 고객들의 욕구에 만족시켜주기 위함이다.
- 맥도널드는 그릴시스템을, 버거킹은 브로일러 시스템을 기본으로 음식을 가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작업자 배치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맥도널드의 경우는 최소 각 그릴 당 1인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수요량에 따라 인원의 증감이 바뀌는 반면 버거킹은 고성능의 자동화된 브로일러를 최대한 활용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매장의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는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종업원 고용계획에서 확실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그릴의 경우는 매출(수요)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인원 보충이 필요한 반면에 브로일러의 경우는 매출(수요)과 상관없이 1명의 종업원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 평균산출률(최대)을 구해보면, 금요일의 오후12시~13시이므로(최소는 화요일 오전10~11시. -과정생략-)
(34227 ÷ 4.3) × 0.18 × 0.179 = 256
즉 가장 피크타임일 때의 샌드위치 수요라 할 수 있다.
- 이는 다시 여러 종류의 버거로 나뉘게 된다.
샌드위치 종류
매출비율
패티수
햄 버 거
0.186
48
합: 147
치 즈 버 거
0.2
51
더블치즈버거
0.094
24×2=
48
와 퍼
0.145
37
합 : 80
치 즈 와 퍼
0.077
20
와퍼주니어
0.09
23
- 브로일러의 이용률을 구해보면(유효이용률과 설계이용률을 구할 수 있다)
<유효이용율>
일반햄버거가 시간당 200개 만들어 질때 2파운드 고기덩어리는 147개 만들어지므로
(147 ÷ 200) × 100 = 74%
와퍼샌드위치가 시간당 100개 만들어 질때 3.6파운드 고기덩어리는 80개 만들어지므로 (80 ÷ 100) × 100 = 80%
<설계이용률>
일반햄버거가 시간당 480개까지 만들어질 수 있을 때 2파운드고기는 147개 만들어지므로
(147 ÷ 480) × 100 = 31%
와퍼샌드위치가 시간당 330개까지 만들어질 수 있을 때 3.6파운드 고기는 80개 만들어지므로
(80 ÷ 330) × 100 = 24%
- 따라서 브로일러의 이용률은 다음과 같다.
일반햄버거
와퍼샌드위치
유효이용률
5% ~ 74%
6% ~ 80%
설계이용률
2% ~ 31%
2% ~ 24%
- 가장 한가할 때는 5~6% 정도의 이용률이 피크타임에는 74~80%에 육박할 정도로 이용률이 올라갔다.
3. 맥도날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1) 맥도날드 그릴 시스템 vs 버거킹의 체인브로일러 시스템
그릴시스템과 브로일러 시스템은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부터 그 차이점이 나타난다. 맥도널드의 그릴의 경우 불판 위의 햄버거 패티를 기름 위에 지글지글 튀겨서 조리를 하는 반면에, 버거킹의 경우는 고기를 올려놓은 체인이 flame-broiled방식이라 부르는 불꽃 석쇠를 통과하여 고기나 빵을 불 위에 직접 구워서 음식을 조리한다.
그릴시스템과 브로일러 시스템의 차이점은 또 다른 차이는 공정이 연속형이냐 아니냐에 달려 있다. 그릴시스템의 경우 일단 한 명 이상의 작업자에 의해서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며, 일단 한번 고기를 굽고 난 후에는 15초간 그릴을 청소해야 하고 다음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때까지 일정시간의 간격이 필요하다. 또한 계속적으로 작업자의 관리 하에 모든 음식이 조리된다.
한편 체인 브로일러(continuous chain broiler) 시스템은 고성능의 자동화된 조리기구로 특별 제작된 콘베이어형 프로세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한번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연속적으로 그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고기나 빵을 체인 위에 올려놓으면 그 체인은 브로일러 안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동안 통과하면서 고기나 빵을 조리하며, 이러한 가공과정은 모두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작업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도 음식을 연속해서 가공할 수 있다.
(2) 맥도널드와 버거킹의 차이점
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부문
- 맥도날드 : make-to-order 시스템을 이용한 재고의 비축으로 보다 신속하게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
- 버거킹 : make-to-order 시스템중 주문조립생산공정을 통화여 보다 고객화 된 제품을 제공하고자 함
- 맥도날드 : 그릴에 고기를 튀기는 방식
버거킹 : 브로일러를 이용 석쇠에 고기를 굽는 방식
-> 맛에서 차이가 남
② 생산 및 서비스에 관한 부문
- 생산능력을 살펴보면 유효생산능력이나 설계생산능력에서 맥도널드가 버거킹 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즉 시간당 만들 수 있는 햄버거의 수가 맥도널드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시 말해 맥도널드는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수의 햄버거를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맥도널드의 신속함과 연결이 된다.
- 각 공정에 대한 이용율을 살펴보면 맥도널드가 버거킹보다 낮은 이용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맥도널드가 버거킹보다 더 폭발적인 수요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맥도널드가 추구하는 보다 많은 고객에게 보다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버거킹의 경우, 브로일러에 대한 이용율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만약 수요가 급증할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더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맥도널드와 버거킹의 비교를 통한 상대적인 개념으로 해석)
한편 버거킹의 경우 재고수준은 낮고 브로일러에 대한 의존율이 높은데, 만약 브로일러에 이상(기계의 오류 등)이 생길 경우, 상당히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이상 생산을 못한다던지...등등)
- 두 기업은 재고를 관리하는 방법에서도 차이가 있다. 맥도널드의 경우는 완성된 제품을 하나의 재고로 유지하여 이미 완성된 제품에는 더 이상의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는 반면, 버거킹의 경우는 각 재료(고기, 빵, 야채등)들에 대해서는 이미 조리가 다 끝난 상태이되 각기 재료들은 따로 보관하고 있어 언제든지 고객의 욕구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조립품에 대한 재고를 유지하고 있었다.
- 프로세스의 흐름에서도 보면 맥도널드를 볼 경우 각 제품에 대해 경직된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있는 반면에 버거킹의 경우 언제든지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보다 탄력적인 공정을 통해 고객들의 욕구에 만족시켜주기 위함이다.
- 맥도널드는 그릴시스템을, 버거킹은 브로일러 시스템을 기본으로 음식을 가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작업자 배치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맥도널드의 경우는 최소 각 그릴 당 1인의 작업자가 필요하며 수요량에 따라 인원의 증감이 바뀌는 반면 버거킹은 고성능의 자동화된 브로일러를 최대한 활용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매장의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는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종업원 고용계획에서 확실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그릴의 경우는 매출(수요)이 증가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인원 보충이 필요한 반면에 브로일러의 경우는 매출(수요)과 상관없이 1명의 종업원으로도 운영이 가능하다.
추천자료
SCM의 이해와 성공사례 및 제안
[MIS]경영정보시스템(MIS)의 정의, 경영정보시스템(MIS)의 발전단계, 경영정보시스템(MIS)의 ...
[관광정보시스템][관광정보]관광정보의 개념, 관광정보시스템의 개발 목표, 관광정보시스템의...
[기업정보화][기업정보시스템][중소기업 정보시스템][기업 인사정보시스템][기업정보시스템 ...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발전배경과 발전역사, 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장...
정보시스템 개발사례) Personalized 인터넷 정보검색 시스템
BI시스템, BI시스템적용사례, 도입배경및특징, 산업별BI적용사례, Business Intelligence
AIRCIS(항공물류정보시스템),AIRCIS실패와원인,AIRCIS개선과한계점,AIRCIS사례의시사점,항공...
지능형 교통체계(지능형 교통시스템)의 정의와 필요성, 지능형 교통체계(지능형 교통시스템)...
[금융정보시스템, 금융시스템 선진화, 금융시스템, 금융정보]금융정보시스템의 선진화, 금융...
[지금결제시스템 감시, 지급결제시스템 감시 특징, 지급결제시스템 감시 역할]지금결제시스템...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민주화, 국정운영시스템, 노무현정부(참여정부)의 국정원리, 정치적 ...
전사적 시스템을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분석
공정혁신 사례 (ERP,휴맥스 사례, ERP시스템의 도입 배경,크린앤사이언스 사례,EPR시스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