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북한의 對蘇관계(조․소 분쟁을 중심으로)
2) 북한의 對中관계(조․중 분쟁을 중심으로)
2) 북한의 對中관계(조․중 분쟁을 중심으로)
본문내용
하지만 예전 같은 형제가 아님을 깨닫는데 그리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 1990년대의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이나 북핵문제와 같은 예민한 문제에서 중국이 늘 북한의 손을 들어준 것은 아니었다. 한중 수교, 중국의 개혁개방 등 혈맹관계만으로는 극복하지 못할 환경이 새롭게 도래하게 된 것이다. 또한 김일성의 사망과 같이 혁명 1세대의 퇴진은 중국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에 옛날과 같은 혈맹의 논리만으로 국제사회에서 생존하기는 어려워진 것 같다.
§ 참고문헌 §
---------------------------------------------
이 상우 외, 『북한40년』, 을유문화사, 1988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을유문화사, 2000
고태우, 『북한현대사101장면』, 가람기획, 1996
§ 참고문헌 §
---------------------------------------------
이 상우 외, 『북한40년』, 을유문화사, 1988
서대숙, 『현대 북한의 지도자』, 을유문화사, 2000
고태우, 『북한현대사101장면』, 가람기획, 1996
추천자료
북한 선교의 전망
북한의 인권
북한의 군사정책과 북핵문제
북한의 실생활
북한 무역정책의 제문제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북한의 언론통제정책과 남북언론교류의 실태
북한핵위기와 6자회담을 통한 해결
북한 핵 문제의 올바른 인식과 대응방향
북한핵실험이 주변국가에 미치는 파장의 국제법적 고찰
북한 핵정책에 관련한 군사정책의 변화과정과 북미협상의 전망
[외교정책][외교][중국 외교정책][북한 외교정책][일본 외교정책][영국 외교정책]중국의 외교...
[결의안][북한인권 결의안][위안부문제][대이라크][이라크제재][비정규직고용][유엔수산]북한...
[남북화해, 남북화해와 대북정책, 남북화해와 포용정책, 평화협상, 북한정치관, 종교적 자유]...
[인권문제, 한국, 북한, 러시아, 대만(타이완), 나이지리아]한국의 인권문제, 북한의 인권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