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해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나트륨>
◎ 저나트륨혈증 Hyponatremia (<135mEq/L)
◎고나트륨혈증(>145mEq/L)

<칼륨>
◎ 고칼륨혈증 5.0mEq/L 이상
◎ 저칼륨혈증 < 3.5mEq/L

<칼슘>
◎저칼슘혈증
◎ 고칼슘혈증

본문내용

래)을 가볍게 두드림 -> 안면근육의 비정상적 경련
호흡곤란, 후두강직, 천명
장유동의 증가, 설사
심계항진, 부정맥, 저혈압
병리적 골절
출혈시간의 지연
- EKG: QT 간격 증가, 심부정맥, 심장마비
6.0mg/dl 이하시 QT 간격 증가
- 간호
칼슘보충제 섭취: 식사 30분전에 우유 한 컵과 함께 복용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으로 인한 것은 비타민 D를 알약으로 복용
*부갑상선부전 : 유제품, 탄산음료, 고단백 식품(계란, 생선), 통밀 등 고인산 식품은 피할 것
-> 칼슘 + 비타민 D 보충제
고칼슘 식품: 우유, 치즈, 요거트, 두부, 시금치, 오렌지, 생선, 아몬드
테타니 발생시
: 칼슘클로라이드 혹은 칼슘글루코네이트를 포도당용액에 희석하여 IV로 서서히 주입 (저혈압, 서맥, 부정맥 관찰)
칼슘클로라이드-> 피하조직에 매우 자극적-> 정맥염 유의
용액 희석시 N/S는 칼슘 손실을 초래하므로 5%DW 사용
: 칼슘과 중탄산염을 같이 투여하면 침전이 생기므로 다른 곳으로 주입
저칼슘-> 출혈 경향 : 잠혈, 혈뇨, 점상출혈, 뇌출혈(두통) 증상 감시
병리적 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체위 변경시 도와줌
◎ 고칼슘혈증 : 무반응, 신경 및 근육의 흥분성 저하
- 원인 :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장기간 부동, 칼시토닌 생성 저하, 지나친 비타민 D 섭취, 암, 대사성 산증, 저인산혈증, 디지털리스 중독
- 증상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변비, 장음감소
경증에서 중등도의 고칼슘혈증시: 허약감, 피로감, 우울, 집중력 감소
고칼슘혈증 위기:7mEq/L 시 발생, 심장마비 발생, 혼돈, 혼수
부정맥, 심차단,
다뇨, 신결석, 신부전
뼈의 골절
- EKG: ST분절이 감소, OT 간격 연장
- 간호
저칼슘식이, 고인산식이
체위변경, 이동시 주의
오심, 구토가 없다면 수분섭취 격려 : 신결석 예방
6-10L의 생리식염수 24시간 내에 주입-> 희석
이뇨제 투여-> 칼슘배설
부갑상선 기능항진일 경우 칼시토닌 투여
콜티코스테로이드 : 비타민 D와 경쟁하여 장에서 칼슘의 흡수 감소, 프로스타글란들을 억제하고 뼈에서 칼슘 유리 막음
신결석이라면 소변의 산도 증가-> 칼슘용해 : 고기, 치즈, 계란, 통밀, 자두 섭취
gallium nitrate도 뼈에서 칼슘이 유리되는 것을 억제하고 뼈의 파골작용을 줄임.
합병증 : 구루병, 골절, 신결석, 요로감염, 심장마비, 빈맥, 반사 감소, 마비성 장폐색

키워드

전해질,   나트륨,   칼륨,   칼슘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10.0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1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