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지식의 기본적 성격과 사회과학 발표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적 지식의 기본적 성격과 사회과학 발표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과학적 지식의 기본적 성격과 사회과학
서론

과학적 지식의 구조와 기능
과학적 지식의 타당성의 근거
과학적 지식에서의 발전의 양태
과학적 지식의 본질과 사회과학의 성격

제2장. 사회과학에서 방법론적인 쟁점의 사회학사적 배경
서론

오귀스트 콩트의 연구 프로그램
콩트의 가정
사회현상의 법칙성
콩트의 한계

뒤르켐의 사회적 사실주의와 경험주의적 방법론
뒤르켐의 두 가지 원칙, 즉 사회적 사실주의와 경험주의적 방법론에 대한 비판

베버의 방법론
이해의 사회학 및 그에 대한 비판
이념형적 방법론 및 그에 대한 비판
가치중립성 원칙 및 그에 대한 비판
베버의 방법론 및 에 대한 비판

독일 사회학의 실증주의 논쟁
비판사회학자들의 비판
포퍼의 비판
비판사회학자들의 재비판
포퍼의 대응

미국 사회학에서의 방법론 논의
파슨즈의 이론
파슨즈 이론에 대한 비판
대안이론의 등장 : 호만스의 교환이론, 가핑클에 의해 주도된 민속방법론
미국의 경험주의적인 연구 전통에 대한 비판

결론: 방법론 논의의 전망

본문내용

서의 방법론 논의
- 미국에서의 방법론에 관한 논의는 실용적인 성격을 띤다.
- 파슨즈의 이론 : 대표적인 저술인 「사회체계론」은 이론체계와는 상이한 것으로서, 하나의 체계로서의 사회를 기술하는데 개념적 틀을 제공할 일련의 개념들에 대한 설명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즉 사회체계를 대상으로 사회의 기능성과 통합성에 대한 가정을 기본적인 시각으로 함축하고 있다.
- 파슨즈 이론에 대한 비판
① 객관적인 성격 내지 이념적 편향성에 대한 비판.
② 기능론적 이론의 논리적 구조에 대한 분석이 지닌 과학적 지식으로서의 타당성에 관한 평가 문제.
③ 기능적인 분석 단위에 관해 ‘사회’가 독립성을 갖는 사실로 간주될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
- 대안이론의 등장 : 호만스의 교환이론, 가핑클에 의해 주도된 민속방법론
- 호만스의 이론 : 심리학적인 환원주의로서 특징. 인간의 행태는 법칙 지배적이어서 그것에 대한 지식 역시 법칙 기술적인 것일 수밖에 없으며, 개인들만이 실재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즉 모든 사회적 현상이란 개인들 간에 이루어지는 행위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있든지, 아니면 개인들의 행위를 통해서 존속하고 있는 현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입장에서는 파슨즈의 기능주의적 분석을 위한 개념 체계는 엄밀한 의미에서 이론이 아니다. 또한 규범, 역할, 기능과 같은 개념들은 설명을 위한 변인이 아니라 오히려 개인들의 행태에 의거하여 설명되어야 하는 변인이라고 본다.
- 민속방법론 : 행위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인식된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다. 호만스의 관심이 행태의 법칙의 규명에 있었던데 반해, 민속방법론자들은 어떤 유형의 질서가 존재한다는 인식 그 자체가 사회질서를 가져오는 방법들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고 보며, 일상적인 생활세계를 엮어지고 있는 모습 그대로 이해하려는데 관심을 두고 있다.
- 미국의 경험주의적인 연구 전통에 대한 비판 :
① 블루머는 상징적 교호(상호)주의의 입장에서 비판하는데, 사회적 상황이 행위자들에 의해 해석되고 또 그러한 해석을 매개로 형성되는 역동적 과정을 도외시한 채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단순한 분석은 사회현상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왜곡한다고 본다.
② 머튼과 윌러는 실증주의 내부로부터의 비판으로 경험적인 연구들이 경험적인 검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순환론에 대한 비판도 있다.
③ 밀즈를 위시한 체제 비판적인 경향의 사회학자들은 경험주의를 지향하는 자들이 기득권의 유지와 보호를 위한 도구적 기능에 있는 것으로 보거나 과학적이라는 명분 아래 추상적인 현실을 연구하는 것으로 비판한다.
결론: 방법론 논의의 전망
- 방법론에 관한 논의는 규범적인 성격을 강하게 갖는 활동일 수밖에 없다. 즉 사회현상의 연구는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을 처방하기 위한 활동이라는 것이다.
- 토머스 쿤 이후에 과학의 방법론에 관해서는 라카토쉬나 로단에게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당한 시각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머스 쿤의 이론 역시 과학적 연구활동의 본질과 실태에 관한 서술적인 설명에 그치고 있다기보다는 방법론적인 처방을 또한 함축하고 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성과들이 사회과학의 방법론 논의에서는 아직 충분히 반영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 과학의 방법론에 대한 이론들은 쿤을 분수령으로 한 이전과 이후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방법론의 준거를 실증주의 내지는 포퍼의 반증주의에서 찾고 있다. 쿤의 이론이 인용되는 것은 실증주의 내지 반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위한 것이지, 그 효용성을 강조하는 것은 아니다.
- 앞으로의 방법론 논의는 내용면에서 상당한 전환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고 이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어야 한다.

키워드

실증주의,   방법론,   조사,   과학,   뒤르켐,   콩트,   베버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10.18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2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